$\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een Chemistry emerged at the end of 20th century, which aims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ies for the sustainable society at the molecular level. Most products we consume in everyday life are produced through chemical processes, and we often oversee the fact that huge amount of solvents are us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응 매체로 scCO2를 이용할 때 장단점은? 반응 매체로 scCO2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 즉, (a) 기존의 유기용매를 녹색 용매로 대체할 수 있고, (b) 반응성과 선택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c) 생성물과 촉매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회수할 수 있으며, (d) 균질 scCO2를 반응 매체로 사용하면 비교적 분자의 확산 및 열전달 속도가 높이진다. 반면에 scCO2의 단점은 (a) 극성 및 큰 분자량의 화합물에 용해도가 낮고, (b) 높은 압력에서 프로세스를 진행시키기 때문에 시설 투자비용이 높다[26].
고리형 협동반응이란? 고리형 협동반응이란 반응 중간물질이 고리 형태 구조를 갖는 반응을 일컫는다.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의 K.
Claisen 재배치반응은 언제 누가 발견하였는가? Claisen 재배치반응이란 탄소-탄소 결합을 생성하는 강력한 화학반응으로서, University of Bonn의 R. L. Claisen이 1912년에 최초로 발견하였다. Sharpless는 naphthyl ether의 Claisen 재배치반응을 다양한 용매 내에서 진행시킨 후 재배치 된 분자의 생성 수율을 측정하였는데, ‘on water’ 조건에서는 100% 전환된 반면 다른 용매들 속에서는 이보다 수율이 훨씬 낮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Horvath, I. and Anastas, P. T., Chem. Rev., 107, 2167, 2007. 

  2. 이준웅,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14(2), 246, 2011. 

  3. Thakkar, B., "Water : A Green Solvent with Differences", http://www.slideshare.net/balmukund/water-a-green-solvent-with-a-diference 

  4. http://www.lbl.gov/MicroWorlds/Kevlar/KevlarClue4.html 

  5. Darryl, C. et al., J. Am. Chem. Soc., 102, 7816, 1980. 

  6. Narayan, S. et al., Angew. Chem. Int. Ed. 44, 3275, 2005. 

  7. Otto, S. and Jan Engberts, B. F. N., J. Am. Chem. Soc., 121, 6798, 1999. 

  8. Ruliㄴek, L. and Havlas, Z., J. Am. Chem. Soc., 122, 10428, 2000. 

  9. http://en.wikipedia.org/wiki/Barbier_reaction 

  10. Tan, K.-T. et al., J. Am. Chem. Soc., 125, 2958, 2003. 

  11. Manabe, K. et al., J. Am. Chem. Soc., 124, 11971, 2002. 

  12. Ooi, T. et al., Heterocycles, 52, 575, 2000. 

  13. Breitschuh, R. and Seebach, D., Synthesis, 83, 1992. 

  14. Yorimitsu, H. et al., J. Am. Chem. Soc., 122, 11041, 2000. 

  15. Smith, R. M., Anal. Bioanal. Chem. 385, 419, 2006. 

  16. Hawthorne, S. B. et al., Anal. Chem., 66, 2912, 1994. 

  17. Miller, D. J. et al., J. Chem. Eng. Data, 43, 1043, 1998. 

  18. Lagadec, A. J. M. et al., Environ. Sci. Technol., 34, 1542, 2000. 

  19. Tajuddin, R. and Smith, R. M., Analyst 127, 883, 2002. 

  20. Tajuddin, R. and Smith, R. M., J. Chromatogr., A, 1084, 194, 2005. 

  21. Smith, R. M., Anal. Bioanal. Chem. 385, 419, 2006. 

  22. Beckman, E. C., J. of Supercritical Fluids, 28, 121, 2004. 

  23. Carbon Dioxide ;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http://en.wikipedia.org/wiki/Carbon_dioxide 

  24. Phase Change Data for Carbon Dioxide, NIST, http://webbook.nist.gov/cgi/cbook.cgi?IDC124389&UnitsSI&Mask4#Thermo-Phase. 

  25. Lozowski, D., Chem. Engineering, 117, 2, 2010. 

  26. Bell, S., "Supercritical $CO_{2}$ ; A Green Solvent", PEP Report No. 269, SRI Consulting, Menlo Park, Calif., 2009. 

  27. Licence, P. et al., Green Chem., 5, 99, 2003. 

  28. Erdmenger, T. et al., Chem. Soc. Rev., 39, 3317, 2010. 

  29. Mingotaud, A.-F. et al., Macromol. Symp., 153, 77, 2000. 

  30. Stassin, F. and Jerome, R., Macromol. Symp., 217, 135, 2004. 

  31. Clark, M. R. and DeSimone, J. M., Macromolecules, 28, 3002, 1995. 

  32. Nalawade, S. P. et al., Prog. Polym. Sci., 31, 19, 2006. 

  33. Salehpour, S. and Dube, M. A., Green Chem., 10, 321, 2008. 

  34. Aparicio, S. and Alcalde, R., Green Chem., 11, 65, 2009. 

  35. Virot, M. et at., J. Chromatogr., A, 1196-1197, 147, 2008. 

  36. Reddy, C. S. K. et al., Bioresour. Technol., 87, 137, 2003. 

  37. Gu, Y. and Jeome, F., Green Chem., 2, 1127, 2010. 

  38. Leitner, W., Green Chem., 11, 603, 2009. 

  39. Wolfson, A., et al., Tetrahedron: Asymmetry, 17, 2043, 2006. 

  40. Quijano, G., et al., Bioresour. Technol., 101, 8923, 2010. 

  41. Gu, Y. et al., Adv. Synth. Catal., 350, 2007, 2008. 

  42. Gu, Y. et al., Adv. Synth. Catal., 350, 2007, 2008. 

  43. He, F. et al., Green Chem., 11, 1767, 2009. 

  44. Li, M. et al, Adv. Synth. Catal., 352, 519, 2010. 

  45. Tan, J.-N. et al., Green Chem., 12, 908, 2010. 

  46. Lenardao, E. J. et al., J. Braz. Chem. Soc., 20, 2009. 

  47. Andrade, L. H. et al., Tetrahedron : Asymmetry, 20, 1521, 2009. 

  48. Silveira, C. C. et al., Tetrahedron Lett., 50, 6060, 2009. 

  49. Wolfson, A. et al., Tetrahedron Lett., 50, 5951, 2009. 

  50. Karam, A. et al., Chem. Eur. J., 14, 10196, 2008. 

  51. Dias, M. O. S. et al., "Anhydrous Bioethanol Production in One Side Stream Distillation Column Using Bioglycerol as Solvent", http://www.cori.unicamp.br/centenario2008/2007/compl 

  52. Sinha, A. and Sharma, B. P., Mater. Res. Bull., 37, 407, 2002. 

  53. Sinha, A. and Sharma, B. P., Bull. Mater. Sci., 28, 213, 2005. 

  54. Subramanian, V. et al., Chem. Phys. Lett., 453, 242, 2008. 

  55. 이준웅, '녹색화학 기술동향', 기술동향보고서, 한국과학기술정보원, 2010. 

  56. 조선일보, B5, 2010년 10월 22일 판.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