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온난화 현상과 대기오염증가와 아울러 알레르기 유발성 꽃가루의 증가로 천식, 비염, 결막염 등 알레르기 질환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꽃가루 농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체계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하여 한국의 꽃가루 특성을 분석하였다. 관측된 꽃가루는 1998~2010년(단, 2006년은 제외)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소나무, 수목류(소나무 제외), 잡초류를 서울, 부산, 대구, 광주, 강릉,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꽃가루는 지난 12년간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 지역에서는 장기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장기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꽃가루 농도와 기상요소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기온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지역별로는 꽃가루 농도와 기상요소는 서로 다른 상관관계를 가진다. 꽃가루농도에 영향을 주는 기상요소 중저온누적도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꽃가루 개화기간의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로부터 수목류의 경우, 충분히 낮은 기온이 만족되면, 개화기간이 줄어드는 결론을 얻었다. 이 모형에 의한 결과로부터 알레르기 유발 꽃가루의 유행시기변화를 생물계절모형으로 예측 가능함을 판단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s been increasing number of patients with asthma, rhinitis, and conjunctivitis due to the atmospheric pollution and global warm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daily observed number of pollens to establish a standardized method for the impact analysis of the climate changes on the numb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꽃가루 농도와 기상요소의 관련성과 꽃가루 농도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수종에 따른 꽃가루 관측시기를 통한 개화일수와 저온누적도의 관계식을 도출하여 꽃가루의 주요 위해 요소인 개화일수를 예측 하고자 하였다.
  •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온난화 현상과 대기오염증가와 아울러 알레르기 유발성 꽃가루의 증가로 천식, 비염, 결막염 등 알레르기 질환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꽃가루 농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체계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하여 한국의 꽃가루 특성을 분석하였다. 관측된 꽃가루는 1998~2010년(단, 2006년은 제외)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소나무, 수목류(소나무 제외), 잡초류를 서울, 부산, 대구, 광주, 강릉,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2년간 관측된 꽃가루 농도를 이용하여 한국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꽃가루 농도 특성을 분석하고 기상요소를 통한 개화기간의 예측식을 개발하였다. 대도시에서의 꽃가루 농도는 장기적으로 점점 증가 할 것으로 판단되며, 기후변화에 따른 꽃가루 농도의 증가추세 지속성을 감시 및 진단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측면에서 꽃가루에 대한 기상조건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첫째, 관측된 꽃가루 농도 변화의 장기적인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꽃가루 알레르기란 무엇인가? 꽃가루는 봄과 가을에 걸쳐 알레르기성 비염,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 각종 알레르기 관련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꽃가루 알레르기는 꽃가루가 원인 항원으로 작용하여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바람에 의하여 화분이 전파되며 생산량이 많고 작고 가벼우며, 공기주머니 등을 가져 잘 날아 다닐 수 있는 향기 없는 수목류, 잔디, 잡초 등이 알레르기의 주된 원인이 된다(Park et al., 2008).
기상요소와 꽃가루 농도의 관계가 중요한 이유는? 기상조건에 따라 식물의 개화시기가 결정되고 꽃가루의 농도가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기상요소와 꽃가루 농도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상관분석결과, 유의수준 0.
기상요소에 따른 꽃가루 농도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꽃가루 주요 개화시기에 따라 수목류 4, 5월, 잡초류 9, 10월로 구분하여 분석을 하였는데 수목류와 잡초류의 시기를 분류한 이유는? 기상요소에 따른 꽃가루 농도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꽃가루 주요 개화시기에 따라 수목류 4, 5월, 잡초류 9, 10월로 구분하여 기상요소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목류와 잡초류의 시기를 분류한 것은 주로 수목류는 봄철, 잡초류는 가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Park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uchau, V., and S. R. Durham, 2004: Prevalence and rate of diagnosis of allergic rhinitis in Europe.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4, 758-764. 

  2. Beggs, P. J., 2004: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aeroallergens: past and future. Clinical and experimental allergy 34, 1507-1513. 

  3. Cho, S. S., and Y. S. Sohn, 2009: The time series using SAS/ETS. Yulgokbook Publishing Co., 143-149pp. 

  4. Hiroshi, Y., S. Takaharu, and S. Takao, 1983: Isolation and particle characteristic of the major allergen from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pollen. Journal of Allergy Clinic Immunology 71, 77-86. 

  5. Gioulekas, D., C. Balafoutis, A. Damialis, D. Papakosta, G. Gioulekas, D. Patakas, 2004: Fifteen years' record of airborne allergenic pollen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in Thessaloniki, Gree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8(3), 128-136. 

  6. Green, B. J., M. Dettmann, E. Yli-Panula, S. Rutherford, R. Simpson, 2004: Atmospheric Poaceae pollen frequencies and associations with meteorological parameters in Brisbane, Australia: a 5-year record, 1994-1999.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8(4), 172-178. 

  7.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ISBN 92-9169-122-4. 

  8. Jung, J. E., E. Y. Kwon, U. Chung, and J. I. Yun, 2005: Predicting cherry flowering date using a plant phenology model.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7(2), 148-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aufman, H. S., and K. Ranck, 1988: Antigen recognition in Filipinos, Japanese, Chinese, and Caucasians. Annals of allergy 60, 53-56. 

  10. Kim, S. O., J. H. Kim, U. Chung, S. H. Kim, G. H. Park, and J. I. Yun, 2009: Quantification of temperature effects on flowering date determination in Niitaka pea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2), 6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won, E. Y., G. C. Song, and J. I. Yun, 2005: Prediction of dormancy release and bud burst in Korean grapevine cultivars using daily temperature dat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3), 185-1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aaidi, M., 2001: Forecasting the start of the pollen season of Poaceae: evaluation of some methods based on meteorological fa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5, 1-7 

  13. Makra, L., M. Juhasz, J. Mika, A. Bartzokas, R. Beczi, and Z. Sumeghy, 2006: An objective classification system of air mass types for Szeged, Hungary, with special attention to plant pollen level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0, 403-421. 

  14. Makra, L., and I. Matyasovszky, 2011: Assessment of the daily ragweed pollen concentration with previous-day meteorological variables using regression and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for Szeged, Hungary. Aerobiologia 27, 247-259. 

  15. Matyasovzky, I., and L. Makra, 2011: Autoregressive modeling of daily ragweed pollen concentrations for Szeged in Hungary.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104, 277-283. 

  16.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2008: Advanced Research on Industrial Meteorology (I).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Seoul, 190pp. 

  17. Oh, J. W., H. B. Lee, I. J. Kang, S. W. Kim, K. S. Park, M. H. Kook, B. S. Kim, H. S. Baek, J. H. Kim, J. K. Kim, D. J. Lee, K. R. Kim, and Y. J. Choi, 2011: The Revised edition of Korean Calendar for allergenic pollens.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Research Published online in 2011 September 3 pISSN 2092-7355/eISSN 2092-7363. 

  18. Park, K. J., H. A. Kim, K. R. Kim, J. W. Oh, S. Y. Lee, and Y. J. Choi, 2008: Characteristics of regional distribution of pollen concentration in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4), 167-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uc, M., 2012: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etula pollen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Szczecin (Po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6(2), 395-401. 

  20. Riedinger, F., J. Kuehr, E. Stranuch, H. Schulz, G. Ihorst, and J. Forster, 2002: Natural history of hay fever and pollen sensitization, and doctors' diagnosis of hay fever and pollen asthma in German schoolchildren. Allergy 57, 488-492. 

  21. Sabariego, S., P. Cuesta, F. Fernandez-Gonzalez, and R. Perez- Badia, 2012: Models for forecasting airborne Cupressaceae pollen levels in central S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6(2), 253-258. 

  22. Stennett P. J., and P. J. Beggs, 2004: Pollen in the atmosphere of Sydney, Australia, and relationships with meteorological parameters. Grana 43(4), 209-2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