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참나무 꽃가루 확산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Oak Pollen Emission and Transport Modeling Framework in South Kore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5 no.2, 2015년, pp.221 - 233  

임윤규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김규랑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조창범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김미진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최호성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한매자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오인보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환경보건센터) ,  김백조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len is closely related to health issues such as allergenic rhinitis and asthma as well as intensifying atopic syndrome. Information on current and futur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allergenic pollen is needed to address such issues. In this study, th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Model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적 꽃가루 배출량은 산림청 임상도(1:5000)를 이용한 꽃가루 수종별 면적율을 모델 격자별로 계산하여 적용하였고, 하루 중 총 꽃가루 배출량은 최근 5년간 기상자료와 꽃가루 농도자료를 이용한 로버스트 다중회귀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참나무 꽃가루 비산계절을 대상으로 개발된 꽃가루 확산예측모델의 꽃가루 농도와 꽃가루 측정 자료 비교를 통해 향후, 개선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CMAQ에 꽃가루 배출량 모듈을 추가하여 시 · 공간적 꽃가루 농도를 모의 할 수 있도록 꽃가루 확산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로버스트 다중회귀식을 이용한 참나무 꽃가루 배출식을 CMAQ에 추가하여 시 · 공간적 꽃가루 농도를 모의 할 수 있도록 참나무 꽃가루 확산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중 꽃가루 배출량은 어떠한 요소들로 구성되는가? 일중 꽃가루 배출량은 기상학적 요소인 바람과 상대습도 그리고 발원지 요소인 참나무 면적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Zhang et al., 2014).
신뢰성 있는 꽃가루 농도 예측을 위해선 어떠한 인자의 추정이 필요한가? 수치모델을 이용한 꽃가루 모델링은 크게 꽃가루 배출량을 추정하는 부분과 확산 및 침적을 모의하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신뢰성 있는 꽃가루 농도 예측을 위해서는 꽃가루 배출량의 정확한 추정은 매우 중요하다. 꽃가루 배출량은 일반적으로 기상요소와 식생분포, 비산기간 등을 고려한 모수화 과정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국내에서 대기질 모델에 꽃가루 확산 모듈을 접합한 사례는 어떠한가? 최근에는 대기질 모델에 꽃가루 확산 모듈을 접합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데, 꽃가루의 일중 변화패턴을 반영할 수 있고 대기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알레르기 위험도가 더욱 악화되는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국내에서는 울산과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대기질 모델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Modeling(CMAQ)을 이용한 참나무 꽃가루에 대한 수치모의 연구가 시도되었다(Oh et al., 2012,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ggs, P. J., 2004: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aeroallergens: past and future. Clin. Exp. Aller., 34, 1507-1513. 

  2. Burkard, 2001: 7-day recording volumetric spore trap (http://www.burkard.co.uk/7dayst.htm). 

  3. Chang, J. S., R. A. Brost, I. S. A. Isaksen, S. Madronich, P. Middleton, W. R. Stockwell, and C. J. Walcek, 1987: A three-dimensional eulerian acid deposition model: Physical concepts and formation. J. Geophys. Res., 92, 14681-14700. 

  4. D'Amato, G., L. Cecchi, S. Bonini, C. Nunes, I. Annesi-Maesano, H. Behrendt, G. Liccardi, T. Popov, and P. van Cauwenber, 2007: Allergenic pollen and pollen allergy in Europe. Allergy, 62, 976-990. 

  5. Despres, V. R., and Coauthors, 2012: Primary biological aerosol particles in the atmosphere: a review. Tellus B, 64, 15598, doi:10.3402/tellusb.v64i0.15598. 

  6. Efstathiou, C., S. Isukapalli, and P. Georgopoulos, 2011: A mechanistic modeling system for estimating largescale emissions and transport of pollen and co-allergens. Atmos. Environ., 45, 2260-2276. 

  7. Emberlin, J., J. Mullins, J. Corden, W. Millington, M. Brooke, M. Savage, and S. Jones, 1997: The trend to earlier birch pollen seasons in the UK: A biotic response to changes in weather conditions. Grana, 36, 29-33. 

  8. Esch, R. E., and R. K. Bush, 2003: Aerobiology of outdoor allergens. Mosby, Philadelphia, Pa, USA, 6th edition, 533-534. 

  9. Greely, R., and J. D. Iversen, 1985: Wind as a geological process on Earth, Mars, Venus and Titan. Cambrigde University Press, New York. 

  10. Helbig, N., B. Vogel, H. Vogel, and F. Fiedler, 2004: Numerical modeling of pollen dispersion on the regional scale. Aerobiologia, 3, 3-19. 

  11. Jackson, S. T., and M. E. Lyford, 1999: Pollen dispersal models in quaternary plant ecology: assumptions, parameters, and prescriptions. The Botanical Review, 65, 40-61. 

  12. Kim, K. R., K.-J. Park, H.-R. Lee, M. Kim, Y.-J. Choi, and J.-W. Oh, 201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forecast models for daily pollen allergy. Korean J. Agric. Forest Meteor., 14, 265-2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wis, W. H., P. Vinay, and V. E. Zenger, 1983: Airborne and allergenic pollen of north america.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 London. 

  14. NIMR, 2012: Advanced research on meteorological sciences-advanced research on bio-and industrial meteorology (I), 481 pp. 

  15. NIMR, 2014: Advanced research on applied meteorologyadvanced research on bio-meteorology (II), 69 pp. 

  16. Oh, I., Y. Kim, K.-R. Choi, M. Suzuki, and J. Lee, 2012: Pollen simulations in a coastal urban area of Ulsan, Korea: Preliminary results using WRF-CMAQ model, Proceeding of the 13th International Palynological Congress and 9th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Palaeobotany Conference, Tokyo, Japan, Paper No SS28-O05, 11 pp. 

  17. Oh, I., M.-K. Hwang, J.-H. Bang, J.-W. Oh, K. R. Kim, and C.-B. Jo, 2014: Numerical simulation of oak pollen dispers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of Korea. Proceeding of the 10th International Congress of Aerobiology, Sydney, Australia, 30 pp. 

  18. Oh, J.-W., 2009: Development of pollen concentration prediction models. J. Korean Med. Assoc., 52, 579-5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K.-J., H.-A. Kim, K. R. Kim, J.-W. Oh, S.-Y. Lee, and Y.-J. Choi, 2008: Characteristics of regional distribution of pollen concentration in Korea peninsula. Korean J. Agric. Forest Meteor., 10, 167-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fender, W., R. Graw, W. Bradley, M. Carney, and L. Maxwell, 2007: Emission rates, survival and modeled dispersal of viable pollen of creeping bentgrass. Crop Sci., 47, 2529-2539. 

  21. Reid, C. E., and J. L. Gamble, 2009: Aeroallergens, allergic disease, and climate change: impacts and adaption. EcoHealth, 6, 458-470. 

  22. Schueler, S., and K. H. Schlunzen, 2006: Modeling of oak pollen dispersal on the landscape level with a mesoscale atmospheric model. Environ Model Assess, 11, 179-194. 

  23. Seinfeld, J. H., and S. N. Pandis, 1998: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John Wiley, New York. 

  24. Sofiev, M., P. Siljamo, H. Ranta, and A. Rantio-Lehtimaki, 2006: Towards numerical forecasting of long-range air transport of birch polle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 feasibility study. Int. J. Biometeorol., 50, 392-402. 

  25. Veriankanite, L., P. Siljamo, M. Sofiev, I. Sauliene, and J. Kukkonen, 2010: Modeling analysis of source regions of long-range transported birch pollen that influences allergenic seasons in Lithuania. Aerobiologia, 26, 47-62. 

  26. Vogel, H., A. Pauling, and B. Vogel, 2008: Numerical simulation of birch pollen dispersion with an operational weather forecast system. Int. J. Biometeorol., 52, 805-814. 

  27. Wesely, M. L. and B. B. Hicks, 1977: Some factors that affect the deposition rated of sulfur dioxide and similar gases on vegetation. J. Air Pollution Control Assoc., 27, 1110-1117. 

  28. Zhang, R., and Coauthors, 2014: Development of a regional-scale pollen emission and transport modeling framework for investigat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llergic airway disease. Biogeosciences, 11, 1461-1478. 

  29. Zink, K., H. Vogel, B. Vogel, D. Magyar, and C. Kottmeier, 2012: Modeling the dispersion of Ambrosia artemisiifolia L. pollen with the model system COSMO-ART. Int. J. Biometeorol., 56, 669-6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