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관리 전문 인력의 전문성 증진 요건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rofessional Qualification Factors of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3 no.3, 2012년, pp.85 - 104  

유혜정 (용인시청)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1년도에 개정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은 기록관리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와 기록관리학 학사학위 취득자 및 역사학, 문헌정보학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 중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시험에 합격한 자로 전문요원의 학력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기록관리 전문 인력에 대한 상세한 자격이나 전문성에 대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 선진국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록관리 전문 인력이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제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록물관리 전문 인력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표준교육과정 개발 및 인증, 자격 인증 시험 및 등록 제도의 도입과 실무 경력 및 업무 수준에 따른 인정 기준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quirements of being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were revised in 2011 and expanded in the scope of their education levels such as having master's or higher degrees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or completion of one year program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fter having B. A. d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기간은 2년으로 기록관리 전문가가 지녀야 할 이론과 실무를 포함한 기본지식의 틀을 제공하여 실제 기록관리 실무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록은 활동과정의 산물이며 활동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교과과정도 이론과 실무에 있어서 보편성과 개별성의 조화를 중요시하고 있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기록관리 전문 인력 전문성과 관련된 주요 개념을 파악하고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특성과 역할을 규정한 후, 외국 기록관리 전문가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비교 분석하고 국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요건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기록관리 전문 인력 자격 확보를 위한 제도적 방안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인력 양성을 위한 표준 교육 및 훈련 과정에도 참고가 될 것이며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전문성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 전문 인력이 공식적인 전문가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자격요건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록관리 전문가의 본질과 역할에 대한 연구,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내용에 관한 연구, 기록관리 전문가의 전문성 강화에 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전문가로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자격요건을 구체화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방법을 수행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기록관리 전문 인력 자격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국과 캐나다, 영국, 호주를 중심으로 기록관리 교육과정, 전문가 자격인증 제도, 실무경력 인정제도를 조사하였다.
  • 한편, 기록관리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과정 인증제도도 운영하고 있는데, 이것의 목적은 기록관리 전문교육의 질적인 향상과 양성될 기록관리 전문 인력 자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다. 교육과정의 인증기준은 기록관리 연속체 모델(Record Continuum Model)에 기반을 두는지 여부와 호주 아키비스트 협회가 준수해야 할 기록관리 표준인 국립기록보존소 표준(National Records and Archives Competency Standards)과 부합하는지 여부로 판단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의 가치가 증가하면서 어떤 것도 늘어났는가? 최근 미디어의 발달과 민주주의의 발전으로 행정업무의 투명성, 책임성이 강화되면서 기록의 중요성이 커지고 디지털 환경의 발전과 함께 국민들의 알 권리를 존중하는 인식의 확산 속에서 기록의 가치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기록의 가치가 증가하는 만큼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일반기업이나 문화단체에 이르기까지 기록의 양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방대한 양의 기록물 속에서 기록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기록관리 전문 인력이 전문화된 역할을 수행해야만 한다.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이 확대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기록물관리법이라 함)을 제정하여 국가기관의 기록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기록물관리기관의 업무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과 배치기준 등을 법으로 규정하였고 2011년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은 기록관리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와 기록관리학 학사학위 취득자 및 역사학, 문헌정보학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 중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시험에 합격한 자로 전문요원의 학력범위가 확대되었다. 이는 2010년 6월 공공부문내의 학력규제완화에 대한 공공기관의 학력규제 개선에 따른 결과로 우리나라에 기록학 학부과정 설치를 유도하고 학사학위 이상자가 행정안전부령의 기록관리학 교육과정 이수를 통해 전문요원의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국가기록원 2012).
우리나라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란 어떤 사람을 의미하는가? 우리나라 기록물관리법에 나타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은 기록물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관리를 위해 기록물관리기관에 배치된 기록물관리 종사자를 의미한다. 그래서 기록물관리기관에서 일어나는 모든 기록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기록의 생애주기에 따라 처리과의 기록 담당자, 기록관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법적 역할은 크게 다르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강대신, 박지영. 2004. 중국?일본의 기록관리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2): 92-117. 

  2. 국가기록원. 2006. 기록관리 전문 인력 체계적 양성 및 교육방안. 대전: 국가기록원. 

  3. 국가기록원. 2012. 2011 국가기록원 백서. 대전: 국가기록원. 

  4. 김기석. 1999. 기록과학과 기록관리전문가.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창립심포지움자료집, 2(1): 7-39. 

  5. 김기석. 2000. 아키비스트 양성 어떻게 할 것인가. 기록학연구, 1: 77-106. 

  6. 김순희. 2009. 기록관리 전문가의 실무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71-293. 

  7. 김영애. 2000. 독일의 아키비스트 양성제도. 기록학연구, 2: 195-230. 

  8. 김태수. 2002. 기록관리의 전문교육과정 및 전문 인력제도.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1): 7-39. 

  9. 김희정. 2007. 국외 기록관리전문직 유형 및 역할 분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1): 129-143. 

  10. 박순복. 2005. 외국의 사례를 통해 본 기록관리전문가 양성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11. 시귀선. 2011. 국가기록원의 기록관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3-45. 

  12. 신창석, 김영필, 박정희. 2003. 직업윤리. 서울: 세종출판사. 

  13. 오항녕. 2003. 아키비스트의 역할과 윤리. 제3회 기록학심포지움, 3: 9-28. 

  14. 이상민. 1988. 기록관리학과 아키비스트 교육훈련제도. 기록보존연구, 11: 109-141. 

  15. 이성태. 2009. AHP방법에 의한 기록연구사의 직무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33-158. 

  16. 이승휘. 2003. 건국 후 문화기까지 중국 역사기 록물의 보존과 이용 - 정치적 변동과 관련하여. 국제중국학연구, 47: 611-632. 

  17. 이영학. 2009.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운영 현황과 전망. 기록학연구, 21: 323-353. 

  18. 이재영. 2008.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기록물관리학. 

  19. 이제환. 2003. 전문직이론을 통해 본 사서직의 전문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57-87. 

  20. 전병재, 안계춘, 박종연. 1995. 한국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 서울: 사회비평사. 

  21. 전수진. 2009.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역할과 성과. 제5회 기록관리포럼 자료집, 15-27. 

  22. 정연경. 2003. 기록학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비교연구 - 한국과 북미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1): 81-100. 

  23. 정연경. 2010. 기록 전문직 양성 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99-118. 

  24. 조이현. 2009.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제도의 현황과 과제 - 전문요원 배치 문제를 중심으로. 제5회 기록관리포럼 자료집. 대전: 국가기록원. 5-13. 

  25. 최정태, 윤송원. 2001. 기록관리학과 기록전문가의 정립.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 95-130. 

  26. 한국기록관리학회. 2010. 기록관리론. 서울: 아세아문화사. 

  27. 한상훈. 1997.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전문직. 교육연구, 13: 115-134. 

  28. ACA. 2011. Handbook for Certification. [online]. . 

  29. ACA. 1990.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a Two-years Curriculum for a Master of Archival Studies. [online]. . 

  30. ARA. 2010. Archives & Records Association Registration Scheme Guidance Notes part9-Summary of Applying to the Scheme. [online]. . 

  31. ARA. 2011. Archives & Records Association Registration Scheme Guidance Notes part1-Enrolment. [online]. . 

  32. ASA. 2006. Statement of Knowledge for Recordkeeping Professional. [online]. . 

  33. Cox, Richard J. 1986. "Professionalism and Archivist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Archivist, 49(1): 229-247. 

  34. Cox, Richard J. 2000. "The Society American Archivists and Graduate Education: Meeting at the Crossroads." American Archivist, 63(2): 368-379. 

  35. Dearstyne, B. W. 2005. "The Information Enterprise: New Challenge New Dimensions." The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July/August: 39-45. 

  36. Duranti, Luciana. 1993. "The Archival Body of Knowledge: Archival Theory, Method and Practice, and Graduate and Continuing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4(1): 8-24. 

  37. Duranti, Luciana. 2000. "Meeting the Challenge of Contemporary records: Does It Require a Role Change for the Archivist?" American Archivist, 63(1): 7-14. 

  38. Eastwood, Terry. 1988. "Nurturing Archiv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American Archivist, 51(1): 228-252. 

  39. Ericson, Timothy L. 1988. "Professional Association and Archival Education: A Different Role, or Different Theater?" American Archivist, 51(3): 298-311. 

  40. Gilliland-Swetland, Anne J. 2000. "A New Issue for Graduate Education." American Archivist, 63(2): 258-270. 

  41. Hickerson, Thomas H. 2001. "The Challenges for the Archival profession." American Archivist, 64(1): 6-16. 

  42. ICRM. 2012. Preparing for the CRM Examination: A Handbook. [online]. . 

  43. Johnson, Elizabeth Snowden. 2008. "Our archives, Our Selves: Documentation Strategy and the Re-appraisal of Professional Identity." American Archivist, 71(1): 190-202. 

  44. Maher, William J. 1998. "Contexts for Understanding Professional Certification: Opening Pandora's Box?" American Archivist, 51(4): 408-427. 

  45. OPM. 1968. Position Classification Standard for Archives Technician Series, GS-1421. [online]. . 

  46. O'Toole, James M. 1990. "Curriculum Development in Archival Education: a Proposal." American Archivist, 53(3): 460-466. 

  47. O'Toole, James M. 2004. 기록의 이해. 이승억 역. 서울: 진리탐구. 원저: Understanding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1992. 

  48. Pemberton, J. Michael and Christine R. Nugent. 1995. "Information Studies: Emergent Fields, Convergent Curriculum."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2): 126-138. 

  49. RIMPA. 2011. Statement of Knowledge for Recordkeeping Professional. [online]. . 

  50. Tibbo, Helen R. 2006. "So Much to Learn, So Little Time to Learn It: North American Archival Education Programs in the Information Age and the Role for Certificate Programs." Archival Science, 6(2): 231-2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