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laceness in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3 no.3, 2012년, pp.253 - 278  

이정호 (서울연구원 출간자료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구조를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와 공공도서관의 가치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요인, 장소애착, 장소가치 지각, 이용자 행위의도를 연구 변인으로 설정하였고, 각각의 변인들 간에 어떠한 인과관계를 가지고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가치 간의 매개 요인으로서 장소애착의 직 간접적인 효과를 규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ormation of placeness in public libraries, to understand placeness of public library, and to explain its social value. This study conducted causality analysis of placeness formation in public libraries. And this study analys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소의 공공성이 지니는 이상적인 기능은 무엇이 있는가? 사람들의 일상은 업무, 경제활동, 여가 등이 서로 뒤섞이며 사적 장소에서 공공장소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이러한 장소의 공공성이 지니는 이상적인 기능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위한 공동의 장으로서의 기능, 사회적 학습, 개인의 발전과 정보의 교류를 위한 장으로서의 기능이 있다. 공공장소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공공도서관이다.
장소의 공공성이 지니는 이상적인 기능은 무엇인가? 사람들의 일상은 업무, 경제활동, 여가 등이 서로 뒤섞이며 사적 장소에서 공공장소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이러한 장소의 공공성이 지니는 이상적인 기능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위한 공동의 장으로서의 기능, 사회적 학습, 개인의 발전과 정보의 교류를 위한 장으로서의 기능이 있다. 공공장소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공공도서관이다.
공공도서관은 두 가지 사회적 기능을 수행했는데, 그 두가지는 무엇인가? 전통적으로 공공도서관은 두 가지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며 현재까지 발전하여 왔다. 하나는 서비스로서의 도서관(library as service)의 기능이고 다른 하나는 장소로서의 도서관(library as place)의 기능이다(Hardy 2006). 전자는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자원의 이용 및 유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반면에 후자는 도서관 공간 자체의 운영 및 활용 등 도서관이라는 장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강신겸, 최승담. 2002. 관광지 지역주민의 지역사회 애착도 측정 척도 개발. 관광학연구, 26(1): 103-117. 

  2. 경기도 공공도서관향유지표개발TFT. 2008. 경기도 공공도서관 향유지표 개발에 관한연구. 수원: 경기도공공도서관향유지표 개발TFT. 

  3. 국립중앙도서관. 2007. 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 및 표준모델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권윤구, 정윤희, 임승빈. 2011. 인사동 가로의 장소성 구조모형. 국토계획, 46(2): 139-151. 

  5. 김남수. 2009. 항공서비스 품질, 가치지각, 고객만족, 행동의도와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6. 김창완, 최내영. 2003. "성남시 모란 재래시장의 장소성을 고려한 설계대안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 학술발표회. 2003년 4월 19일. 서울: 한국도시설계학회. 

  7. 김효주. 2008. 관광객의 관광지 장소성 인식도가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8. 박종진. 2009. 지방박람회 환경단서와 장소성이 지속가능성 및 지역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9. 백선혜. 2005. 장소성과 장소마케팅. 경기도: 한국학술정보(주). 

  10. 심광택. 2005. 지역학습을 위한 공간성, 장소성, 환경가치의 연구: 진주지역의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5): 349-367. 

  11. 양준영, 김억. 2009. 지역의 장소브랜드강화를 위한 새로운 장소성 표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29(1): 25-28. 

  12. 이석환. 1998. 도시 가로의 장소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3. 이석환, 황기원. 1997.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國土計劃, 32(5): 169-184. 

  14. 이주호. 2009. 장소이미지, 체험가치, 그리고 재방문의도관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15. 이진희. 2003. 장소마케팅. 서울: 대왕사. 

  16. 임하경. 2005. 장소애착 인지 및 결정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7. 차미경. 2006. 유비쿼터스 시대 도서관 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325-343. 

  18. 최막중, 김미옥. 2001.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대학로와 로데오 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6(2): 153-162. 

  19. 최병두. 2002. 자본주의 사회에서 장소성의 상실과 복원. 도시연구, 8: 253-278. 

  20. 한상일. 1995. 觀光者의 觀光地 正體性 認知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漢陽大學校大學院. 

  21. 홍경구. 2009. 주제가로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선택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25(1): 255-262. 

  22. Alstad, C. and A. Curry. 2003. "Public Space, Public Discourse, and Public Libraries." Libres, 13(1). [online]. [cited 2010.3.20]. . 

  23. Buschman, J. 2006. "Libraries and the Decline of Public Purposes." Public Library Quarterly, 24(1): 1-12. 

  24. Buschman, J. 2003. Dismantling the Public Sphere: Situating and Sustaining Librarianship in the Age of the New Public Philosophy. Libraries Unltd Inc. 

  25. Cronin, Jr J. J., M. K. Brady, and G. T. Hult. 2000. "Assessing the Determinants of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in Service Environments: An Investigation of a Comprehensive Model of the Effects of Quality, Valu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Retailing, 76(2): 193-218. 

  26. Dodds, W. B. 1991. "In Search of Value: How Price and Store Name Information Influence Buyers' Product Perceptions."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5(3): 27-36. 

  27. Dodds, W. B. and K. B. Monroe. 1985. "The Effect of Brand and Price Information on Subjective Product Evaluation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2(1): 85-90. 

  28. Entrikin, J. N. 1991. The Betweenness of Place: Towards a Geography of Modernity.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9. Feldman, R. M. 1990. "Settlement-Identity: Psychological Bonds with Home Places in a Mobile Society." Environment and Behavior, 22(2): 183. 

  30. Fisher, K. E., M. L. Saxton, P. M. Edwards, and J. E. Mai. 2007. "Seattle Public Library as Place: Reconceptualizing Space, Community, and Information at the Central Library." In J. E. Buschman and G. J. Leckie, (Eds.), The Library as Place: History, Community, and Culture. Westport: Library Unlimited. 

  31. Giuliani, M. V. and R. Feldman. 1993. "Place Attachment in a Developmental and Cultural Contex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3(3): 267-274. 

  32. Gorman, M. 2000. Our Enduring Values: Librarianship in the 21st Century.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33. Gregory, B. and C. Raymond.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and Landscape Values: Toward Mapping Place Attachment." Applied Geography, 27(2): 89-111. 

  34. Habermas, J., T. Burger, and F. Lawrence. 1989.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Cambridge, MA: MIT Press. 

  35. Hammitt, W. E., G. T. Kyle, and C. O. Oh. 2009. "Comparison of Place Bonding Models in Recreatio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1(1): 57-72. 

  36. Hardy, N. 2006. "Library: Place, Service, or Both?" Interface, 28(4). 

  37. Lawson, K. 2004. "Libraries in the USA as Traditional and Virtual Third Places." New Library World, 105(3/4): 125-130. 

  38. Lukermann, F. 1964. "Geography as a Formal Intellectual Discipline and the Way in which it Contributes to Human Knowledge." Canadian Geographer, 8(4): 167-172. 

  39. Mathwick, C., N. Malhotra, and E. Rigdon. 2001. "Experiential Value: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pplication in the Catalog and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1." Journal of Retailing, 77(1): 39-56. 

  40. May, J. A. 1970. Kant's Concept of Geography.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1. Moore, R. L. and A. R. Graefe. 1994. "Attachments to Recreation Settings: The Case of Rail-Trail Users." Leisure Sciences, 16(1): 17-31. 

  42. Noberg-Schulz, C. 1985. 실존?공간?건축. 김광현 역. 서울: 대림문화사. 

  43. Oldenburg, R. 1999. The Great Good Place: Cafes, Coffee Shops, Bookstores, Bars, Hair Salons, and Other Hangouts at the Heart of a Community. New York: Marlowe & Co. 

  44. Oliver, R. L. 1997.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ustomer. New York: Mcgraw-Hill. 

  45. Proshansky, H. M. 1978. "The City and Self- Identity." Environment and Behavior, 10(2): 147. 

  46.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Limited. 

  47. Schreyer, R. et al. 1981. "Environmental Meaning as a Determinant of Spatial Behaviour in Recreation." Proceedings of the Applied Geography Conferences, 294-300. 

  48. Stokols, D. and S. A. Shumaker. 1981. "People in Places: A Transactional View of Settings." In Harvey, J. H. (Eds.), Cognition, social behavior, and the environmen. Hillsdale: Erlbaum. 

  49. Sweeney, J. C. and G. N. Soutar. 2001.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Journal of Retailing, 77(2): 203-220. 

  50. Tuan, Y. F. 2001.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51. Waxman, L., S. Clemons, J. Banning, and D. McKelfresh. 2007. "The Library as Place." New Library World: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Socialization, Relaxation, and Restoration, 108(9/10): 424-434. 

  52. Wiegand, W. A. 2005. "Library as Place." North Carolina Libraries, 63(3): 76-81. 

  53. Wiegand, W. A. 2003. "To Reposition a Research Agenda: What American Studies can Teach the LIS Community about the Library in the Life of the User." The library quarterly, 73(4): 369-382. 

  54. Williams, D. R., B. S. Anderson, C. D. McDonald, and M. E. Patterson. 1995. Measuring Place Attachment: More Preliminary Results. In: Symposium on Outdoor Recre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Leisure Research Symposium, San Antonio, TX (October, 1995). 

  55. Williams, D. R. and J. W. Roggenbuck. 1989. Measuring Place Attachment: Some Preliminary Results. In: Symposium on Outdoor Recre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Research Symposium on Leisure Research. San Antonio, USA. 

  56. Williamson, M. 2000. "Social Exclusion and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32(4): 178-186. 

  57. Yuan, Y. H. and Chihkang Wu. 2008. "Relationships among Experiential Marketing, Experiential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32(3): 387. 

  58. Zeithaml, V. A. 198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The Journal of Marketing, 52(3): 2-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