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소기억의 재현을 주제로 조성된 서울숲, 선유도공원의 장소성 형성 구조 연구
Internal Structure of the Sense of Place for Parks that were aimed at Reenacting the Place Memory - Focusing on Seoul Park and Seonyudo Park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5, 2014년, pp.1 - 12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권윤구 (미국 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건축도시대학) ,  정윤희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  허윤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조경학전공) ,  변재상 (신구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최형석 (수원대학교 도시부동산개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전세계적으로 공장과 공단, 공업도시, 노동자 주거 단지, 쓰레기 매립지 등의 인더스트리얼 사이트를 공공의 땅으로 회복하고 공원화함에 있어 장소가 지니고 있던 역사적, 형태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고유한 장소성을 고려한 장소기억의 재현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공원설계에 있어 주요한 목표가 되고 있는 장소성 높은 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조성 및 개원 당시 공원을 설계하는 방식에 있어 장소의 기억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 서울숲과 선유도공원의 장소성 형성 구조를 도출하여, 향후 장소성을 고려한 공원계획 및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도출된 서울숲, 선유도공원에 대한 장소성 형성구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서울숲과 선유도공원은 자연물리적, 인공물리적, 체험적 요인의 만족도가 장소성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소성이 높아질수록 방문용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소의 물리적 환경에 따라서 서울숲과 선유도공원은 놀이, 운동 등 체험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소성을 높이기 위하여는 물리적 요인에 더하여 체험적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동일한 유형의 장소일지라도 개별 장소의 특성에 따라 요인 및 변수의 상대적 중요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장소별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각 요인과 관련된 구체적 변수의 중요도는 장소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숲에서는 자연물리적 요소가 인공물리적 요소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선유도공원에서는 인공물리적 요소가 자연물리적 요소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소성 연구에 있어 정량적 연구방법인 구조방정식 모형을 다양한 장소에 도입하여 장소성 구조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장소성 형성을 위한 보다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장소성의 실체에 한걸음 더 접근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방법 및 결과를 토대로 더욱 다양한 장소를 대상으로 장소성 형성모델을 도출하는 후속 연구가 계속된다면, 의미 있고 개성적이며 정겨운 도시의 장소, 더 나아가서 인간적인 도시, 경쟁력 있는 도시를 만드는 일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reenaction of place's memories that were considered sense of place based on its histor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 were assumed important topics for recovering and making the park from industrial sites, such as factory, industrial complex, industrial city, labor residential dev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장소성 형성 구조 연구에서 연구자별로 형성 구조를 구성하는 요소 및 측정항목이 서로 다르게 적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인 장소성 형성 구조를 제안하는데 한계점을 지닐 수 있다. 따라서 각 연구에서 제안하였던 장소성 형성 구조를 참고하여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소성 형성 구조를 도출하고, 장소성의 특성의 개념적인 특성을 규정하고자 하였다.
  • 앞으로 인더스트리얼 사이트에 대한 공원화 사업은 시대의 흐름에 따른 산업의 변화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생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최근 인더스트리얼 사이트에의 공원화에 있어 주요한 목표가 되고 있는 장소성이 높은 공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존의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장소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장소성 형성 전략을 세워 조성하는 과정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고, 이에 본 연구는 조성 및 개원 당시 공원을 설계하는 방식에 있어 장소의 기억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 서울숲과 선유도공원의 장소성 형성 구조를 도출하여, 향후 장소기억의 재현을 주제로 조성되는 공원계획 및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장소기억의 재현을 주제로 조성된 서울숲과 선유도공원의 장소성 형성구조를 도출하여, 향후 장소기억의 재현 및 장소성을 고려한 공원 형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장소성 연구에 있어 정량적 연구방법인 구조방정식 모형을 다양한 장소에 도입하여 장소성 구조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장소성형성을 위한 보다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장소성의 실체에 한걸음 더 접근할 수 있었다 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방법 및 결과를 토대로 더욱 다양한 장소를 대상으로 장소성 형성모델을 도출하는 후속 연구가 계속된다면, 의미있고 개성적이며 정겨운 도시의 장소, 더 나아가서 인간적인 도시, 경쟁력 있는 도시를 만드는 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참여를 통한 관리와 운영이 사람들에게 서울숲의 장소정체성을 심어주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선유도공원은 공원 내의 기존 정수공장의 구조물들을 부분적으로 철거하고, 철근들이 여기저기 드러나고, 물때가 깊이 각인된 표면들을 부분적으로 남기고, 알맞게 제거하여 시간의 흔적을 남기고자 하였다. 이는 정수장이었던 장소의 시간의 층위와 철근들을 비롯한 기존 구조물들로 물성을 최대한 잘 드러낸 예이다(Choi, 2008; Han et al.
  • 이에 본 연구는 장소기억의 재현을 주제로 조성된 서울숲과 선유도공원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장소성 형성의 의미와 구조를 정량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장소기억의 재현 및 장소성을 고려한 공원 형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설계 목표 및 설계 개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화두는 기존 인더스트리얼 사이트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장소성을 고려한 장소기억의 재현이다. 장소가 지니고 있던 역사적, 형태적 특성을 기반으로 장소성을 살리면서 보존과 개발이라는 양면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실제로 '역사성과 장소성을 승화시킨 창조 공원 조성'을 주요한 목표로 삼았던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기존의 흔적을 중첩하고 역사성과 장소정체성을 연결하는 공원 조성'을 목표로 삼았던 부산의 미군 하야라야 부대 이전 대상지의 공원화사업(부산시민공원)(Busan, 2005)과 ‘근대산업유산으로서의 가치(역사성, 지역성)를 유지하면서 문화창작발전소로서의 관련기획에 따른 활용에 관한 공원조성’을 목표를 제시한 서울시의 당인리 서울복합화력발전소 공원화 현상공모와 마포석유비축기지 국제현상설계 공모(Lafent, 2013; 2014) 등 최근 국내에서 진행되었던 다양한 공원화 사업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장소성 형성 구조 도출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장소성 형성 구조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설모형을 설정하는 과정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에 장소성 형성 구조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ㆍ가설 2. 장소성의 형성은 방문용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지닐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더스트리얼 사이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산업유형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공장과 공단, 공업도시, 노동자 주거 단지, 쓰레기 매립지, 항만, 비행장, 군사 기지 등의 인더스트리얼 사이트를 공공의 땅으로 회복하고, 이를 공원화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Czerniak et al., 2007).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설계 목표는? 이러한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설계 목표 및 설계 개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화두는 기존 인더스트리얼 사이트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장소성을 고려한 장소기억의 재현이다. 장소가 지니고 있던 역사적, 형태적 특성을 기반으로 장소성을 살리면서 보존과 개발이라는 양면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국내의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예는? , 2007). 국외에서는 이미 프레쉬킬즈(Fresh kills) 와 다운스뷰파크(Downsview park) 등의 많은 공원화 사업에서 인더스트리얼 사이트가 공원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에도 하늘공원, 서울숲, 선유도공원, 서서울호수공원 등의 공원이 기존의 인더스트리얼 사이트에서 공원으로 변화하였고, 시민들에게 공공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aik, Seonhae(2004) Intentional Formation of Placeness in Place Marketing Strategy,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백선혜(2004)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Brown, Gregory and Christopher Raymond(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and landscape values: Toward mapping place attachment. Applied Geography 27(2): 29-111. 

  3. Chau, P. Y. K.(1996) An empirical assessment of a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3: 185-204. 

  4. Choi, Jungmin(2008) A Study on the Koreanity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최정민(2008) 현대 조경에서의 한국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Czerniak, Julia and George Hargreaves(2007)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e Press. 

  6. Deutsch, Kate, Seoyoun Yoon and Konstadinos Goulias(2010) Modeling sense of place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90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7. Gefen, David, Detmar Straub andMarie-Claude Boudreau(200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4, Article 7. 

  8. Greene, T. C.(1996) Cognition and the management of place. In the Nature and the Human Spirit edited by B. Driver, et al., State College, PA: Venture Publishing. 

  9. Han, Soyoung and Kyungjin Zoh(2010) Urban parks in Seoul as place repres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2): 37-52.(한소영, 조경진(2010) 서울시 도시공원의 장소적 재현: 기념성, 상징성, 장소기억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8(2): 37-52.) 

  10. Hong, Sunghee, Joonseo Park and Seungbin Im(2011) A study on the concept of sense of place for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gn. Journal of the Korea Landscape Council 3(1): 14-29.(홍성희, 박준서, 임승빈(2011) 환경계획.설계를위한장소성개념연구. 한국경관학회지 3(1): 14-29.) 

  11. Im, Seungbin(2007) Environment Psychology and Human Behavior. Seoul: Bomoondang.(임승빈(2007)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서울: 보문당.) 

  12. Im, Seungbin(2009) Theories in Landscape Analy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임승빈(2009)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13. Im, Seungbin, Younsun Hue, Yunhee Jung, Yoonku Kwon, Jaesang Byeon and Hyungseok Choi(2011)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the sense of place in cities.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3): 67-78.(임승빈, 허윤선, 정윤희, 권윤구, 변재상, 최형석(2011) 도시 내 장소성 분포 연구. 국토계획학회지 46(3): 67-78.) 

  14. Jorgensen, Bradley S. and Richard C. Stedman(2001) Sense of place as an attitude: lakeshore owners attitudes toward their proper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 233-248. 

  15. Joreskog, K. G. and D. Sorbom(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Publications. 

  16. Joreskog, K. G. and D. Sorbom(1993) LISREL 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SIMPLIS, Command Language,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17. Kim, Donggeun(2008) A Study on the Place Attach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Seoul. Korea.(김동근(2008) 주거지역의 장소애착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Kim, Dongki(2010)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Place by Storytelling and Composition Factors of Tourism Experience. Sejong University Ph.D. Dissertation, Seoul. Korea.(김동기(2010) 스토리텔링을 통한 장소성 인식과 관광경험구성요인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Kim, Hyeonyeop and Changgyu Choi(2011)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of placeness's factors and use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1): 7-20.(김현엽, 최창규(2011) 장소성형성 요인의 인지와 지역 내 시설 이용 특성의 관련성에 대한 실증 분석. 국토계획학회지 46(1): 7-20.) 

  20. Kim, Hyoju(2008) How Tourist's Level of Cognition about Placeness of Yourism Destination Affects Tourism Behavior. Master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김효주(2008) 관광객의 관광지 장소성 인식도가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Kim, Miok(2001) A Empirical Analysis of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Sense of Place. Master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김미옥(2001) 장소성의 의미와 가치에 관한 실증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Kim, Yungeum and Jongsang Sung(2005) The placeness of Deokjin Park in Jeon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3): 65-77.(김연금, 성종상(2005) 전주시 덕진공원의 장소성. 한국조경학회지 33(3): 65-77.) 

  23. Kwon, Yoonku(2010) A Study on the Sense of Place of Street Environ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aster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권윤구(2010)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가로환경의 장소성 형성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Kwon, Yoonku(2013) The Formation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Sense of Place on Urban Street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권윤구(2013)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Kwon, Yoonku, Yunhee Jung and Seungbin Im(2011)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Insa-dong street's sense of place.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2): 139-151.(권윤구, 정윤희, 임승빈(2011) 인사동가로의장소성구조모형. 국토계획학회지 46(2): 139-151) 

  26. Kwon, Yoonku and Seungbin Im(2014) A type classification of representative places' sense of place in Seoul through the adjective indexs for measuring the sense of place. Urban Design 15(3): 135-150.(권윤구, 임승빈(2014) 장소성 측정 형용사를 통한 서울시 대표 장소의 장소성 유형 분류. 한국도시설계학회: 도시설계 15(3): 135-150.) 

  27. Lee, Muyong(2006) A study on the cultural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placemarketing strategy. The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41(1): 43.(이무용(2006)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41(1): 43.) 

  28. Lee, Namhwi and Changgyu Choi(2011) Causality of placeness formation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3): 19-36.(이남휘, 최창규(2011) 장소성 형성의 인과구조 실증적 분석: 서울 홍대 지역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46(3): 19-36.) 

  29. Lee, Seokhwan and Keewon Hwang(1997) The ambiguous concepts of place and placeness.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2(5): 181.(이석환, 황기원(1997)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학회지 32(5): 181.) 

  30. Lee, Seokhwan(1998) The Placeness in Urban Street,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이석환(1998) 도시가로의 장소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1) Design Guideline for International Competition of Youngsan Park, Seoul.(국토해양부(2011) 용산공원 국제현상공모 가이드라인.) 

  32. Norberg-Schulz, Christian(1980) Genius Loci: Toward a Phenomenology of Architecture. London; Academy Edition. 

  33. Patterson, Gene Edward(1992) Sense of Place in an Emerging Home Area: Investigations in the Bear Creek Area of King County, Washingto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Washington, USA. 

  34. Relph, Edward(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Limited. 

  35. Shin, Yongjae(1991) A Study on th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lley Spaces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Ph.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신용재(1991) 도시주택지 골목공간의 장소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Shin, Jungran and Changgyu Choi(2010) Impacts of human factors on the placeness in the Hongik University area.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5(7): 5-20.(신정란, 최창규(2010) 홍대지역의 장소성 형성에 있어서 인적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학회지 45(7): 5-20.) 

  37. Shim, Won Seop and Injae Lee(2008) A study on direct experience impact on placeness formation. The Tourism Sciences 32(6): 449-467.(심원섭, 이인재(2008) 직접적 방문경험이 장소성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학연구 32(6): 449-467.) 

  38. Steele, Fritz(1981) The Sense of Place. Boston: CBI Publishing Company. 

  39. Steiger, J. H.(1990)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5: 173-180. 

  40. Tabachnik, B. G. and L. S. Fidell(1996)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3rd Ed.). NY: Harper Collins. 

  41. Taylor, S. and P. Todd(1995) Decomposition and crossover effects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study of consumer adoption inten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12: 137-155. 

  42. Thornquist, Lisa Mary(1992) Home on the Range: Sense of Place in Economically Stressed Area(Iron Range, Minnesota, Community).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USA. 

  43. Tuan, Yi-Fu(1979)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44. Lafent(2013, 2014) www.lafent.co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