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나무의 체세포배 유도 및 발아에 미치는 ABA, 삼투압제 및 배발생조직 라인 효과
Effects of ABA, osmoticum and embryogenic tissue lines for somatic embryo induction and germination in Pinus densiflora 원문보기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식물생명공학회지, v.39 no.2, 2012년, pp.93 - 98  

김용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  문흥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나무의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gelrite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 및 abscisic acid (ABA) 농도, 배발생 조직 라인에 따른 체세포배 발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비교에서 최대의 체세포배 유도 수는 0.1 M maltose+3.75% polyethylen glycol (PEG) 4000 처리구에서 45개 (/90 mg FW)로 나타났으며, 0.2 M maltose 처리구 또한 41개로 효과가 있었다. Gelrite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비교에서 0.4 및 0.6%의 농도에서는 전혀 체세포배가 유도되지 않았으며, 0.8% 이상의 농도부터 체세포배가 발생되는 경향을 보였다. 최대 체세포배 유도 수는 1.0% gelrite에서 41개로 가장 높은 유도 수를 보였으며, 0.8 혹은 1.2%에서의 농도에서 또한 각각 37.3 및 39.7개로 높은 유도수를 보여 0.8% gelrite 이상에서 체세포배 유도 효과가 있었다. ABA농도, 배발생조직 라인 및 활성탄 첨가에 따른 체세포배 발아율 비교에서 06-6조직라인의 경우 150 혹은 $200{\mu}M$ ABA 처리구 유래 체세포배를 0.2% 활성탄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45%의 최대 발아율을 보였다. 활성탄 무첨가 배지의 경우 최대 발아율은 06-6라인, $250{\mu}M$ ABA 처리구 유래 체세포배에서 28.9%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somatic embryos (SEs) induction with different kinds and concentrations of osmoticum, with gelrite and SEs germination with different abscisic acid (ABA) and embryogenic tissue lines (ETLs) in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In comparison of so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결과에서는 소나무 15개 배발생조직 라인을 대상으로 조직증식, 체세포배 발생 및 식물체 재분화 비교에 중점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체세포배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ABA, 삼투압 적정 종류 및 농도 및 체세포배 발아를 위한 구체적인 조건은 구명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나무의 체세포배 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묘목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일련의 시도로서, ①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 효율 비교 ② gelrite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 효율 비교 ③ 체세포배 발아에 영향하는 ABA농도, 배발생조직 라인 및 활성탄 첨가 효과에 따른 발아율 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 본 실험은 Figure 2에서와 같이 gelrite 농도 별 처리구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 비교를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0.
  • 본 연구는 소나무의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gelrite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 및 abscisic acid (ABA) 농도, 배발생 조직 라인에 따른 체세포배 발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 비교에서 최대의 체세포배 유도 수는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소나무는 어디서 자생하고 있는가? 우리나라의 향토수종중 하나인 소나무 (적송)는 북부의 고원지대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標高) 1,300 m 이하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일본, 우리나라 및 만주에 분포하는 상록 침엽수림으로 수고 35 m, 직경 180 cm까지 생장한다. 목재는 재질이 연하고 부드러우며 무늬가 아름다워 건축용재, 펄프재 등으로 용도가 많으며, 조경수로도 널리 이용되는 수종이다.
소나무의 생장정도는? 우리나라의 향토수종중 하나인 소나무 (적송)는 북부의 고원지대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標高) 1,300 m 이하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일본, 우리나라 및 만주에 분포하는 상록 침엽수림으로 수고 35 m, 직경 180 cm까지 생장한다. 목재는 재질이 연하고 부드러우며 무늬가 아름다워 건축용재, 펄프재 등으로 용도가 많으며, 조경수로도 널리 이용되는 수종이다.
소나무 목재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향토수종중 하나인 소나무 (적송)는 북부의 고원지대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標高) 1,300 m 이하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일본, 우리나라 및 만주에 분포하는 상록 침엽수림으로 수고 35 m, 직경 180 cm까지 생장한다. 목재는 재질이 연하고 부드러우며 무늬가 아름다워 건축용재, 펄프재 등으로 용도가 많으며, 조경수로도 널리 이용되는 수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YW, Shin HN and Moon HK (2011)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with embryogenic tissue lines in Pinus densiflora. J Kor For Soc 100:499-504 

  2. Garin E, Bernier-Cardou M, Isabel N, Klimaszewska, Plourde A (2000) Effect of sugar, amino acids, and culture technique on maturation of somatic embryos of Pinus strobus on medium with two gellan gum concentrations. Plant Cell Tiss Org Cult 62 27-37 

  3. Hakman I, Fowke LC, von Arnold S, Eriksson T (1985) The development of somatic embryos in tissue cultures initiated from immature embryos of Picea abies (Norway spruce). Plant Sci 38:53-59 

  4. Kim JH, Park JI (1986) Shoot formation in culture of mature Pinus densiflora. The Res Rep Inst For Gen 23:123-127 

  5. Kim YW, Moon HK (2007) Regeneration of plant by somatic embryogenesis in Pinus rigida ${\times}$ P. taeda. In Vitro Cell Dev Biol-Plant 43:335-342 

  6. Kim YW, Moon HK (2007) Enhancement of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Plant Cell Tiss Org Cult 88:241-245 

  7. Kong L, Yeung EC (1995) Effects of silver nitrate and polyethylene glycol on white spruce somatic embryo development: enhancing cotyledonary embryo formation and endogenous ABA content. Physiol Plant 93:298-304 

  8. Klimaszewska K, Bernier-Cardou M, Cyr DR, Sutton BCS (2000) Influence of gelling agents on culture medium gel strength, water availability, tissue water potential, and maturation response in embryogenic cultures of Pinus strobus L. In Vitro Cell Dev Biol-Plant 36:279-286 

  9. Li YY, Huang FH, Murphy JB, Gbur EE (1998) Polyethylene glycol and maltose enhance somatic embryo maturation in loblolly pine (Pinus taeda L.). In Vitro Cell Dev Bio-Plant 34:22-26 

  10. Litvay JD, Verma DC, Johnson MA (1985) Influence of a loblolly (Pinus taeda L.) culture medium and its components on growth somatic embryogenesis of the wild carrot (Darcus carota L.). Plant Cell Rep 4:325-328 

  11. Maruyama E, Hosoi Y, Ishii K (2005) Somatic embryo pro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of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J For Res 10:403-407 

  12. Montalban IA, De Diego N, Igartua EA, Setien A, Moncalean P (2011) A combined pathway of somatic embryogenesis and organogenesis to regenerate radiata pine plants. Plant Biochem Rep 5:177-186 

  13. Montalban IA, De Diego N, Moncalean P (2010) Bottelnecks in Pinus radiata somatic embryogenesis: improving maturation and germination. Trees 24:1061-1071 

  14. Percy RE, Klimaszewska K, Cyr DR (2000) Evalu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for clonal propagation of western white pine. Can J For Res 30:1867-1876 

  15. Ramarosandratana A, Harvengt L, Bouvet A, Calvaytac R, Paques M (2001a) Effects of carbohydrate source, polyethylene glycol, and gellan gum concentration on embryonal-suspensor mass (ESM) proliferation and maturation of maritime pine somatic embryos. In Vitro Cell Dev Bio-Plant 37:29-34 

  16. Ramarosandratana A, Harvengt L, Bouvet A, Calvaytac R, Paques M (2001b) Influence of the embryonal-suspensor mass (ESM) sampling on development and proliferation of maritime pine somatic embryos. Plant Sci 160:473-479 

  17. Salajova T, Salaj J (2005) Somatic embryogenesis in Pinus nigra:embryogenic tissue line initiation, maturation and regeneration ability of established cell lines. Bio Plant 49:333-339 

  18. Scott P, Lyne RL, Rees TA (1995) Metabolism of maltose and sucrose by microspores isolated from barley (Hordeum vulgare). Planta 197:435-441 

  19. Shim ST, Park JI, Lee SK, Kim JH (1986) Micropropag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by embryo and needle fascle culture. Proc the 5th Int'l Conf SABRAO. pp 137-145 

  20. Shoji M, Sato H, Nakagawa R, Funada R, Kubo T, Ogita S (2006) Influence of osmotic pressure on somatic embryo maturation in Pinus densiflora. J For Res 11:449-453 

  21. Teasdale RD, Dawson PA, Woolhouse HW (1986) Mineral nutrient requirements of a loblolly pine (Pinus taeda) cell suspension culture. Plant Physiol 82:942-945 

  22. Yildirim T, Kaya Z, Isik K (2006) Induction of embryogenic tissue and maturation of somatic embryos in Pinus brutia TEN. Plant Cell Tiss Org Cult 87:67-76 

  23. Zhang CX, Li Q, Kong L (2007) Induction, development and maturation of somatic embryos in Bunge's pine (Pinus bungeana Zucc. ex Endl.). Plant Cell Tiss Org Cult 91:273-2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