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경관평가 모형개발 및 적용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Landscape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Biotope Classificatio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4, 2012년, pp.114 - 126  

박천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나정화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조현주 (대전발전연구원) ,  김진효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권오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 예정지로 계획되어 있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논공읍 일대 약 $10km^2$를 대상으로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미 시각 측면에서의 경관가치 평가 모형을 설정해 보고, 이를 실사례지에 적용해 봄으로써 평가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비오톱 유형분류 결과, 평가대상이 되는 23개의 비오톱 유형과 이에 귀속되는 140개의 세부 비오톱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는 1차, 2차, 3차 설문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먼저 1차 설문분석은 우선 문헌연구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선정된 22개의 평가지표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2차 설문분석은 요인분석을 실시, 내재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지표들을 재분류하였다. 3차 설문분석은 선정된 평가지표 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단계로서, 평가지표 항목의 중요도 평균을 기준으로 합이 10이 되도록 표준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차 평가 시 각 지표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최종 평가에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전문가 설문분석 결과, 최종 선정된 평가지표는 활력충전요소, 시각적 방해요소 등 총 19개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1차 평가 결과, 특별히 가치 있는 I등급은 식생이 풍부한 자연형 하천유형(D), 습지 및 늪지 유형(I) 등 총 7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II등급으로는 식생이 풍부한 인공형 하천유형(E), 침엽수림 중심의 산림유형(Q) 등 총 4개 유형, III등급은 식생이 풍부한 자연형 실개천 및 도랑유형(F) 등 총 5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가치가 낮은 IV등급, V등급은 각각 식생이 빈약한 실개천 및 도랑유형(G) 등 총 2개 유형과 녹지가 빈약한 복합형 주거지역(B) 등 총 5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2차 평가 결과, 경관 가치가 특별히 높은 비오톱 유형(1a, 1b)은 15개 공간으로 조사되었으며, 경관의 가치가 높은 유형(2a, 2b, 2c)은 총 28개 공간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경관평가 모형이 타 유사지역에서도 높은 적용성을 가지기에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하나의 연구대상지만으로는 부족함이 있었던 바, 차후에는 다양한 사례지를 종합하고 표준화하여 객관성을 높여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the view evaluation of biotope classification before development by selecting an area, which is as large as about $10.0km^2$ around Non Gong Up, Auk Po Myun, Dalsung Gun, Daugu where the large project has been planned, as a subject of this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 외곽 대규모 택지개발 예정지로 계획되어 있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옥포면 일대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폴리곤 형태의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경관평가 모형을 설정해 보고, 이를 연구대상지에 적용하여 평가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특히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평가 모형의 설정은 우선 정량화가 가능한 객관성 있는 평가 지표를 선정하고, 지표들 간의 상호 조합을 통한 가중치 부여를 통하여 평가 모형을 정립하였다.
  •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 예정지로 계획되어 있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ㆍ논공읍 일대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미ㆍ시각적인 측면에서 경관의 가치평가 모형을 개발해 보고, 이를 실 사례지에 적용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또한 평가지표로는 역사ㆍ문화요소의 출현정도 등 총 4개의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평가 방법에 있어서도 2차 평가는 산술 합산을 통한 정량화 방법을 활용한 1차 평가와는 달리, 부지의 독특한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선정된 각 평가지표별 정성적ㆍ서술식 평가결과 기술을 통해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표 8 참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오튭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경관평가 모형개발 및 적용 연구에 있어서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는 어떻게 실시하였는가? 비오톱 유형분류 결과, 평가대상이 되는 23개의 비오톱 유형과 이에 귀속되는 140개의 세부 비오톱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는 1차, 2차, 3차 설문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먼저 1차 설문분석은 우선 문헌연구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선정된 22개의 평가지표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2차 설문분석은 요인분석을 실시, 내재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지표들을 재분류하였다. 3차 설문분석은 선정된 평가지표 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단계로서, 평가지표 항목의 중요도 평균을 기준으로 합이 10이 되도록 표준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차 평가 시 각 지표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최종 평가에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전문가 설문분석 결과, 최종 선정된 평가지표는 활력충전요소, 시각적 방해요소 등 총 19개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Hull and Revell는 어떠한 변수를 사용하여 경관의 가치를 파악하였었는가? 한편,국외의 경우에서도 이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왔다(Arriaza, 2004; Goossen and Langrs, 2000; Hull and Revell, 1989; Laurie, 1984; Jose, 2006; Denise and Brown, 2002). 특히 Hull and Revell(1989)는 경관을 바라보는 조망점 위치,시간적 특성, 사진촬영방법 등 여러 가지 변수를 사용하여 경관의 가치를 파악한 바 있었으며,Jose(2006)는 구성요소분석과 토지모자이크의 공간적 구조간의 관계를 통해 경관의 가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경관평가 모형개발 및 적용을 파악하는 본 연구 대상지의 기후는 어떠한가? C와 옥포분기점이, 남쪽으로는 국도 5호선과 88올림픽 고속도로, 옥포농공단지가 위치하고 있다(그림 1참조). 기후는 남부 내륙형으로 8월 평균 25.5℃이고, 1월 평균 0.7℃로서 연교차가 비교적 큰 편에 속하며, 연평균 강수량은 832.5mm로 나타났다. 주 풍향은 봄철에 북서풍(WNW), 여름철에 동남동풍(ESE), 가을철에 서북서풍(WNW), 겨울철에서 북서풍(WNW)으로서 연간 주 풍향은 서북서풍(WNW)을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승주, 임승빈(2009) 도시경관 진단을 위한 평가모델 및 지표개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7(1): 78-86. 

  2. 김용수, 박찬용(2007) 도시근교 택지개발지역의 경관계획지표 적용방안. 농촌계획학회지 13(3): 51-60. 

  3. 나정화, 도후조(2003) 도시 중심부 지역의 비오톱 구조분석 및 평가: 대구광역시 중구 사례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6(5): 9-20. 

  4. 나정화, 이석철, 사공정희, 류연수(2001) 생물종 및 서식지 보전의 관점에서 본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8(6): 29-51. 

  5. 나정화, 류연수(2003) 도시 경관생태계획 지표설정 및 중요도 평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8(1): 21-35. 

  6. 박찬용, 이영대(1997) 도시경관 평가에 있어서 녹지의 역할과 계획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5(1): 18-35. 

  7. 서주환, 조영배, 이준근(2002) 형태지수를 이용한 농촌경관의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농촌 문화마을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2): 7-14. 

  8. 윤상호, 이종훈, 홍장원, 박상우(2003) 해안지역의 경관관리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21(0): 1-152. 

  9. 이동근, 윤은주, 김은영, 조순재(2007) 농촌어메니티 자원에 기초한 농촌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3(1): 11-17. 

  10. 이상문, 최형석, 박창석, 주신하, 신지훈(2007) 자연경관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제도적 접근. 농촌계획학회지 13(3): 23-32. 

  11. 이성룡(2001) 경기도 강변지역 경관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01(14): 1-202. 

  12. 이현택(1996) 고속도로 사면의 수경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2): 1-12. 

  13. 임승빈(1988) 경관분석 및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6(1): 43-51. 

  14. 임승빈(1994) 경관영향평가 지표의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22(1): 1206-1208. 

  15. 임승빈, 서정희, 박향춘, 정윤희(2007) 경관유형 분류지표에 관한 연구: 자연 및 농촌경관 유형도 작성을 중심으로. 농촌계획학회지 13(1): 41-50. 

  16. 조동범(2001) 도시주변 녹지경관의 보전?관리에 있어 경관잠재력 지표의 경관정보화 가시화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7(1): 37-48. 

  17. 조현주, 나정화, 사공정희, 류연수(2009) 농촌비오톱 유형분류 및 특성분석. 농촌계획학회지 15(4): 13-32. 

  18. 한국경관협의회(2008) 경관법과 경관계획. 서울: 보문당. 

  19. Arriaza, M and J. F. Canas-Ortega, J. A. Canas-Madueno, P. Ruiz-Aviles(2004) Assessing the visual quality of rural landscapes. Landscape and Urban Plannng 69(1): 115-125. 

  20. Bauer, G., K. Gerresheim and U. Kisker(1976) Landschftsrahmenplan Erholungspark Ville. Beitraege zur Landesentwicklung 35: 149-173. 

  21. Denise, E. H. and R. D. Brown(2002) Enhancing visual preference of ecological rehabilitation sit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57-70. 

  22. Forman, R. T. T.(2000) Estimate of the area affect edecologically by the road system in the United. Conservation Biology 14: 31-35. 

  23. Goossen, M. and F. Langers(2000) Assessing quality of rural areas in the Netherlands: Finding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for recre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6(4): 241-251. 

  24. Hull, R. B., and R. B. Revell(1989) Issues in sampling landscapes for visual quality assessment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7(4): 323-330. 

  25. Jose, A. A.(2006)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visual attributes and spatial pattern indic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7(4): 393-407. 

  26. Kaerkes, W.(1986) Zur oekologischen Bedeutung urbaner Freiflaechen. Diss. Univ. Bochum: 281-284. 

  27. Kiemstedt, H.(1975) Landschaftsbewertung fuer Erholung im Sauerland. Dortmund, 40-72. 

  28. Laurie, M. M.(1984) Comment on A. R. Beer : "the teaching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need to develop landscape planning as a specialism". Landscape Planning 11(3): 251. 

  29. Marks, R., J. Manfred, H. Leser and H. J. Klink(1989) Anleitung zur Bewertung des Leistungsvermoegens des Landschaftshaushaltes. FDL Band 229. Trier. 129-135. 

  30. Patton, D. R.(1975) A diversity index for quantifying habitat edge. Wildlife Socoety Bulletin 394: 171-173. 

  31. Sukopp, H.(1969) Der Einfluss des Menschen auf die Vegetation. Vegetation 17: 363-3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