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생태계획 모형설정을 위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Model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4, 2008년, pp.48 - 64  

나정화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조현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현택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각종 대규모 개발사업 및 난 개발 등에서 야기되는 경관훼손 문제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갈 수 있는 체계화된 경관생태계획 모형을 설정하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 외 문헌분석 결과, 경관생태계획 모형설정을 위한 계획지표 항목은 자연보호지역의 설정, 습지 비오톱의 관리 및 조성 등 총 60개로 나타났다. 이들을 물리적 지표 항목 중심으로 재설정한 결과 최종적으로 선정된 계획지표 항목은 총 34개로 분석되었다. 사례지 현장조사 결과, 총 17곳의 사례지 내에는 문헌분석에서 도출된 34개의 계획지표들 모두가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조사 과정에서 추가된 계획지표 항목 4개를 포함하여 최종 선정된 계획지표 항목은 총 38개로 나타났다. 세부 계획지표들의 중요도 분석 결과, 대부분 5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연보호지역 설정, 경관보호지역 설정 등은 중요도 값이 6.2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또한, 세부 계획지표 특성별 유형화를 위해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근자연형 생물서식공간의 설치, 복구 및 관리' 등 총 7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상과 같은 세부 계획지표 항목의 유형화 결과 및 중요도 결과 값을 종합 분석하여 1차 경관생태계획 모형을 설정하였다. 1차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좀 더 체계적인 경관생태계획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최상 값 선택을 위한 다중비교(MCB)' 분석을 실시하였다. 5가지로 분류된 계획지표 군별 MCB 분석 결과, 각각의 계획지표군 모두에서 최상 값이 확연히 드러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전지역, 보완지역 등 총 9가지로 설정된 계획의 기본방향에 대한 중요도 분석 결과, 평균 중요도 참은 보전지역과 보완지역이 각각 4.62와 4.54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1차 모형, MCB 분석 및 계획의 기본방향에 대한 중요도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2차 경관생태계획 모형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직적 전환관계 분석에서 일례로 '보전지역'의 경우 휴양공간 조성을 제외한 모든 계획지표군에서 5.2 이상의 높은 중요도 값을 보였다. 또한, 수평적 연관성 분석의 경우 '추가적 개선, 관리 및 연결조치'와 타 계획지표군과의 연관성 정도는 5.3 이상으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연과 경관으로부터 특별히 보호되어야 할 부분'과의 연관성에 관한 중요도는 6.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et a systemic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Model to cope with the destroyed landscape problems which was caused by massive development project and thoughtless development in country areas.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sis on dome...

주제어

참고문헌 (27)

  1. 나정화(2005) 경관 생태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을 통한 도입 가능성과 한계성. 한국조경학회지 33(4): 45-70 

  2. 나정화, 류연수(2003) 도시 경관생태계획 지표설정 및 중요도 평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8(1): 21-35 

  3. 나정화, 이석철, 사공정희, 류연수(2001) 생물종 및 서식지 보전의 관점에서 본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8(6): 29-51 

  4. 노한종(1993) 공원 녹지계획에 관한 고찰 -공주직할시 상무 신도심을 중심으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도시문제 28(298): 59-71 

  5. 대구광역시(2002) 대구광역시 도시경관 기본계획 

  6. 류연수(2005) 근린공원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사공정희(2004)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윤희정, 임승빈(2006) 옥외여가공간의 다중감각 선호 및 이미지 영향력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3): 23-31 

  9. 이도원(2001) 경관생태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0. 이동근, 윤소원(1998)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환경지표에 관한 연구 -인간과 자연과의 공생지표를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7(1): 93-107 

  11. 이현택(2003) 조경미학. 서울: 태림문화사 

  12. 주용준, 황희연(1999) 지속가능한 도시토지이용 지표설정 및 평가.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1): 3-23 

  13. 차성운(2003) 농촌정주공간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4. 채인홍(2001) 농경지내 잔여 경관 평가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5. Calkins, M.(2005) Strategy use and challenges of ecological design in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3: 29-48 

  16. Forman, R. T. T.(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s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Hersperger, A. M.(2006) Spatial adjacencies and interactions: Neighborhood mosaics for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7: 227-239 

  18. Katarina, L., B. Cristina and I. Margareta(2002) Biotope patterns in urban areas a conceptural model integrating biodiversity issues in spatial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5: 223-240 

  19. Kuehl, R. O.(2000) Design of experiments: Statistical principles of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Canada: Duxbury/Thomson Learning 

  20. Lawrence, A. B. and D. B. Robert(1995) An ecological framework for the 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of urban river green way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211-225 

  21. Makhzoumi, J.(2000) Holistic landscape ecology as applied for landscape architecture and planning in Malta. Landscape Urban Planning. 50: 173-184 

  22. Michael, T., C. S. Huang, J. Rodiek(1998) Open space planning for Travis Country, Austin Texas: a collaborative desig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2: 259-268 

  23. Nunnally, J. C.(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 Hill 

  24. Rookwood, P.(1995) Landscape planning for biodivers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1: 379-385 

  25. Severine, V. and P. D. Roland(2002) Map of ecological networks for landscape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157-170 

  26. Termorshuizen, J. W., P. Opdam and A. van den Brink(2007) Incorporating ecological sustainability into landscape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9: 374-384 

  27. Turner, T.(1995) Greenways, blueways, skyways and other ways to a better Lond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269-2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