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사형 정찰로봇을 위한 파단형 보호체 개발
Development of Fracture-Type Protector for a Launching Reconnaissance Robot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A, v.36 no.11, 2012년, pp.1473 - 1478  

강봉수 (한남대학교 기계공학과) ,  조윤호 (한남대학교 기계공학과) ,  최정남 (한남대학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원거리에 떨어진 작전지역으로 정찰로봇을 발사하여 투하하기 위해서 필요한 파단형 보호체에 대한 개발내용을 제시한다. 실제 전장에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외피 전개를 위한 기구사용을 배제하고 체결부의 파단에 의해서 보호체의 외피가 개방되는 방식을 채택하여 소형, 경량을 이루었다. 보호체와 정찰로봇의 유한요소 모델링을 통해서 주어진 하중조건에 맞추어 체결부의 파단이 이루어지는지 전산모의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낙하시험기를 이용한 충격실험을 통해서 충돌에 대한 보호체의 충격흡수성능을 분석하였다. 실제 외부환경에서의 100m 발사시험을 통해서 제안된 보호체가 정찰로봇을 탑재하여 정해진 지점으로 비행 도착한 후 안전하게 정찰로봇을 이탈시킴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fracture-type protector for carrying a reconnaissance robot to a remote target area. Instead of a conventional unlocking mechanism, a separation method based on the fracture of assembled parts was implemented in the proposed lightweight protector in order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처음으로 개발된 발사형 정찰로봇의 보호체보다 경제성이나 개방 확률에서 우수한 기능을 가지도록 설계된 개량된 보호체의 설계개념, 그리고 이에 대한 충격해석 및 실험에 대한 분석 및 토의를 제시한다. 먼저 2장에서는 발사형 정찰로봇을 위한 보호체의 설계개념과 파단장치의 장단점을 분석하며 3장에서는 설계된 보호체의 충격흡수 성능을 해석하기 위한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실제 낙하실험을 통한 충격실험결과를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정찰로봇을 발사방식으로 상대방의 진영에 다수 살포하여 여러 지역의 영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목표지점까지 정찰로봇을 운송하는 일회용 보호체에 대한 설계개념과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보호체의 목표지점 도착 후 전개방식은 추가적인 개방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보호체 외피의 파단을 이용한 분리방식으로 보호체의 경량 및 소형화가 가능하다.

가설 설정

  • 보호체 주요 구성품인 외피 재질은 수지계열인 POM(Poly Oxy Methylene) 그리고 스프링은 탄소강(carbon steel)의 물성치를 사용하였다.(8) Table2 와 같이 외피에 많은 요소를 가지도록 하였으며 하중조건은 30m 를 수직 낙하하여 정면충돌을 가정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즉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yeball은 무엇을 수행하는가? 또한 보안감시성능보다는 실제 전장에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스라엘 ODF 에서 개발한 정찰로봇, eyeball(4)은 주행기능을 포기하고 대신 360˚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만을 장착한 저가의 구형 정찰로봇으로서 사람의 힘을 이용한 투척이나 높은 지역에서의 투하방식으로 상대방의 점거지역에 대량으로 침투시켜 정찰활동을 수행한다. 다수의 로봇 군집들이 정보를 수집하므로 다양한 수집활동이 가능하며 일부 로봇의 기능이 상실되어도 전체 정찰업무가 실패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발사형 정찰로봇 및 보호체에 대한 개발은 어떤 단점을 극복하기 위함인가? 다수의 로봇 군집들이 정보를 수집하므로 다양한 수집활동이 가능하며 일부 로봇의 기능이 상실되어도 전체 정찰업무가 실패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단순 로봇하드웨어에 추가적으로 주행기구를 장착한 소형 정찰로봇(5,6)이 국내·외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투척방식의 정찰로봇은 투척거리가 작아 멀리 떨어진 적진에 도달하기 힘들며 바닥면과의 충돌 시 파손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스라엘 ODF 에서 개발한 정찰로봇, eyeball의 개발목적은? 또한 보안감시성능보다는 실제 전장에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스라엘 ODF 에서 개발한 정찰로봇, eyeball(4)은 주행기능을 포기하고 대신 360˚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만을 장착한 저가의 구형 정찰로봇으로서 사람의 힘을 이용한 투척이나 높은 지역에서의 투하방식으로 상대방의 점거지역에 대량으로 침투시켜 정찰활동을 수행한다. 다수의 로봇 군집들이 정보를 수집하므로 다양한 수집활동이 가능하며 일부 로봇의 기능이 상실되어도 전체 정찰업무가 실패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http://www.irobot.com/gi/ground/510_PackBot/ 

  2. O'Halloran, D., Wolf, A. and Choset, H., 2004, "Design of a High-Impact Survivable Robot," Proc. IEEE Conf.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3551-3558. 

  3. Matthies, L., Xiong, Y., Hogg, R., Zhu, D., Rankin, A., Kennedy, B., Hebert, M., Maclachlan, R., Won, C. and Frost, T., 2002, "A Portable, Autonomous, Urban Reconnaissance Robot,"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Vol. 40, pp. 163-172. 

  4. http://www.odfopt.com/eyeball_r1/eyeballr1_home.htm 

  5. Hougen, D. F., 2000, "Miniature Robotic System for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Proc. IEEE Conf.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501-507. 

  6. Tadakuma, K., Tadakuma, R., Nagatani, K., Yoshida, K., Aigo, M., Shimojo, M. and Iagnemma, K., 2009, "Throwable Tetrahedral Robot with Transformation Capability," Proc. IEEE/RSJ Conf. on Intelligent Robotics and Systems, pp. 2801-2808. 

  7. Kang, B. S. and Park, M. S., 2011, "Protector Design and Shock Analysis for a Launch-Reconnaissance Robot, " Trans. of the KSME (A), vol. 35, No. 8, pp. 971-976. 

  8. http://www.matweb.com/ 

  9. Kim, C.-Y., Jung, W.-S., Kang, B.-S., Kim, K.-S., Kim, S.-H., 2010, " Development of the Crossbow Type Launcher for a Small Reconnaissance Robot," Proc.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Conference, pp. 1736-17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