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급에 의한 디젤 및 바이오디젤의 저온연소 운전영역 확장에 관한 연구
Extension of Low Temperature Combustion Regime by Turbocharging Using Diesel and Biodiesel Fuels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B, v.36 no.11 = no.326, 2012년, pp.1065 - 1072  

장재훈 (한국기계연구원 그린동력연구실) ,  오승묵 (한국기계연구원 그린동력연구실) ,  이용규 (한국기계연구원 그린동력연구실) ,  이선엽 (한국기계연구원 그린동력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바이오디젤 연료는 그 안에 포함된 산소성분으로 인해 압축착화엔진에 사용했을 때 일반디젤 연료보다 더 적은 입자상 물질을 배출한다. 따라서 이 연료를 저온연소 기법에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NO_x$-PM을 동시 저감할 수 있고 그로부터 저온연소 운전영역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디젤과 대두유 기반의 바이오디젤 연료를 이용하여 산소농도 5~7%의 Dilution controlled regime에서 저온연소 운전을 구현하고 성능 및 배기 특성을 조사하였다. 엔진 실험 결과로부터 바이오디젤 연료의 경우 디젤에 비해 약 14% 낮은 발열량에도 불구하고 높은 세탄가 및 함산소 성질로 인한 연소효율 증가로 동일 연료량 분사 시 이보다 더 낮은 약 10~12% 정도의 출력이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배기 측면에서도 바이오디젤 내 산소원자가 입자상물질의 산화반응을 촉진하여 최대 90%의 smoke 저감이 가능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엔진 과급 실험으로부터 과급을 사용하여 저온연소 및 바이오디젤 사용으로 인한 출력 저하를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과급과 바이오디젤 연료의 동시 적용을 통해 산소농도 11~12%의 EGR 가스 투입으로도 저온연소에 상응하는 PM-$NO_x$ 동시 저감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런 결과는 결국 이와 같은 과급 및 바이오디젤 연료의 적절한 조합으로부터 엔진 출력 향상과 배기특성 개선이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이로부터 운전영역의 확대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its oxygen (O) content, biodiesel (BD) is advantageous in that it lowers PM emissions in CI engines. Therefore, BD is considered one of the best candidates for low temperature combustion (LTC) operation because its use can extend the regime for simultaneous reduction of PM and $NO_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두유 기반의 바이오디젤을 단기통 압축착화엔진에 적용함과 동시에 모사가스(simulated EGR)을 이용하여 과급함으로서 실린더 내의 산소농도와 과급 압력에 따른 엔진 성능 및 배기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한 저온연소 운전영역의 확대와 출력 향상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두유 기반의 바이오디젤을 단기통 압축착화엔진에 적용했을 때 과급압 변화에 따른 저온연소 특성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바이오디젤과 과급을 동시에 적용을 통한 출력 향상과 배기 특성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이로부터 운전영역 확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온연소 기법은 무엇인가? 최근 이러한 바이오디젤의 특성에 주목하여 이 연료를 저온연소 기법에 적용, 저온연소 운전영역을 확장하고 출력을 향상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저온연소 기법이란 연소실 내에 다량의 배기재순환(EGR; Exhaust Gas Recirculation) 가스를 투입해서 산소농도를 낮추는 동시에 열용량을 높임으로써 저온 산화반응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엔진 연소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입자상물질(PM)과 질소산화물(NOx)의 동시 저감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기 후처리장치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용량 EGR의 적용은 엔진 출력을 저하시키고 저온연소 운전영역을 제한하며 탄화수소(HC)와 일산화탄소(CO)의 배출을 증가시키는 단점 역시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오디젤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기름이나 동물성 지방, 혹은 폐식용유 등을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성 촉매와 함께 알코올에 반응시켜 만든 지방산메틸에스테르(Fatty Acid Methyl Esters) 연료를 총칭하는 것으로 버려지는 폐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측면과 더불어 자연 상태에서는 생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디젤 연료에 비해 환경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디젤 연료보다도 높은 세탄가로 인해 압축착화 엔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디젤 대체연료 중 하나이다.(1) 특히 바이오디젤은 분자 내에 산소원자가 포함된 함산소 연료로 이 같은 연료를 압축착화 내연기관 엔진에 적용하는 경우 입자상물질의 생성을 근원적으로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디젤을 사용하는 것보다 smoke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온연소 기법에 대용량 EGR의 적용하는 것은 어떤 단점이 있는가? 여기서 저온연소 기법이란 연소실 내에 다량의 배기재순환(EGR; Exhaust Gas Recirculation) 가스를 투입해서 산소농도를 낮추는 동시에 열용량을 높임으로써 저온 산화반응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엔진 연소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입자상물질(PM)과 질소산화물(NOx)의 동시 저감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기 후처리장치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용량 EGR의 적용은 엔진 출력을 저하시키고 저온연소 운전영역을 제한하며 탄화수소(HC)와 일산화탄소(CO)의 배출을 증가시키는 단점 역시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저온연소의 장점을 극대화 하는 동시에 단점을 해결하는 방안에 하나로 바이오디젤을 저온연소에 적용하는 것은 연료 내 포함된 산소 성분으로 인해 연소실 내 혼합기의 연소를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PM 및 HC, CO 배출의 동시 저감뿐만 아니라 운전영역 확장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olban, W. F., Miles, P. C. and Oh, S., 2007, "Effect of Intake Pressure on Performance and Emissions in an Automotive Diesel Engine Operating in Low Temperature Combustion Regimes," SAE paper 2007-01-4063 Powertrain & Fluid Systems Conference & Exhibition, Rosemont, Illinois. 

  2. Northrop, W. F., VBohac, S. and Assanis, D. N., 2009, "Premixed Low Temperature Combustion of Biodiesel and Blends in a High Speed Compression Ignition Engine," SAE paper 2003-01-0133. 

  3. Petersen, B. R., Ekoto, I. W. and Miles, P. C., 2010,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Fuel Properties and Engine Load on UHC and CO Emissions from a Light-Duty Optical Diesel Engine Operating in a Partially Premixed Combustion Regime," SAE paper 2010-01-1470. 

  4. Muller, C. J., Boehman, A. L. and G. C., Martin, 2009,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Origin of Increased NOx Emissions When Fueling a Heavy-Duty Compression-Ignition Engine with Soy Biodiesel," SAE paper 2009-01-1792. 

  5. Zhang, X., Gao, G., Li, L., Wu, Z., Hu, Z. and Deng, J. 2008,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and Emissions in a DI Engine Fueled with Biodiesel Blends from Soybean Oil," SAE paper 2008-01-1832, 2008 SAE International Powertrains, Fuels and Lubricants Congress, Shanghai, China Jun. 23-25. 

  6. Veltman, M. K., Karra, P. K. and Kong, S.-C., 2009, "Effect of Biodiesel Blends on Emissions in Low Temperature Diesel Combustion," SAE paper 2009-01-0485. 

  7. Lee, S., Chang, J. H., Lee, Y. and Oh, S., "Effect of Intake Pressure on Performance and Emissions in Low Temperature Combustion Operation of a Diesel Engine," KSAE Fall Conference, 2010, pp.255-260. 

  8. Jang, J. H., Lee, S., Lee, Y. and Oh, S., 2010, "EGR Simulation Gas Supply System Using Orifice Flow Controller," KSAE Spring Conference, pp. 256-258. 

  9. Bobba, M. K., Genzale, C. L. and Musculus, M. P. B. 2009, "Effect of Ignition Delay on In-Cylinder Soot Characteristics of a Heavy Duty Diesel Engine Operating at Low Temperature Conditions," SAE paper 2009-01-0946. 

  10. Lim, Y.-K., Jeon, C.-H., Kim, S., Yim, E. S., Song, H.-O., Shin, S.-C. and Kim, D. K., 2009, "Determination of Fuel Properties for Blended Biodiesel from Various Vegetable Oils," Korean Chem. Eng. Res., Vol. 47, No. 2, pp. 237-2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