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CO2 저감을 고려한 혼화재 및 단위 결합재 양의 설계
Design of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and Unit Content of Binder for Reducing CO2 Emission of Concrete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4 no.5, 2012년, pp.597 - 604  

양근혁 (경기대학교 플랜트건축공학과) ,  문재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OC성능연구소 인프라구조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2464개의 시멘트 콘크리트 배합과 776개의 혼화재가 치환된 혼합 시멘트 콘크리트 배합을 포함하는 실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 및 혼화재 치환율에 따른 콘크리트 $CO_2$ 배출량을 평가하였다. 국내 생애주기 데이터 목록에 기반한 콘크리트 $CO_2$ 평가에서 고려된 시스템은 요람에서 현장 콘크리트 타설 전까지로서 구성재료, 운반 및 생산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콘크리트의 성능 효율성 지표로서 결합재 지수와 $CO_2$ 지수가 분석되었으며, 콘크리트 $CO_2$ 배출량을 평가하기 위한 단순 식이 각 혼화재의 치환비 및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함수로서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 제안된 모델은 목표 압축강도 및 목표 시멘트 콘크리트 대비 $CO_2$ 배출 저감율을 만족하는 콘크리트 배합설계를 위하여 단위 결합재 양 및 혼화재 종류와 치환비를 결정하는 데 가이드 라인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CO_2$ emissions of concrete according to the type and replacement ratio of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SCM) and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using a comprehensive database including 2464 cement concrete specimens and 776 cement concrete mixes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콘크리트 배합에서 CO2 배출량을 비교적 쉽게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목표 압축강도와 CO2배출 저감양에 대한 혼화재의 첨가 및 단위 결합재 양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콘크리트 CO2배출량의 평가는 국가 전과정 목록(life cycle inventory, LCI) 데이터베이스5)에 기반하여 각 구성재료의 생산과 레미콘 공장까지의 운송, 그리고 콘크리트의 생산과 현장까지의 운송 등을 고려하였다.

가설 설정

  • 2)Water drawn from Han-river is used for concrete mix.
  • 운반단계에서의 CO2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레미콘 공장의 위치는 서울 방배동으로 가정하였다. 시멘트는 전남 담양, 굵은골재와 잔 골재는 경기도 광주와 인천, FA는 경남 하동, GGBS는 전남 광양, 실리카 퓸(silica fume, SF)은 인천, 혼화제는 평택에서 운송됨을 가정하였다. 물은 상수도를 통해 조달되므로 운송수단을 통한 평가는 무시하였다.
  • -kg/km·kg)이다. 운반단계에서의 CO2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레미콘 공장의 위치는 서울 방배동으로 가정하였다. 시멘트는 전남 담양, 굵은골재와 잔 골재는 경기도 광주와 인천, FA는 경남 하동, GGBS는 전남 광양, 실리카 퓸(silica fume, SF)은 인천, 혼화제는 평택에서 운송됨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90년대 후반 우리나라의 시멘트 생산량 순위는 몇위인가? 건설산업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콘크리트의 핵심성분을 다루는 시멘트 산업은 국가 기간산업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1919년도에 시멘트 공장의 설립과 함께 1970년대 이후 확장기를 거쳐 1990년대 후반에는 세계 5위권에 달하는 시멘트 생산국으로 도약하였다.1) 1998년도에는 년간 6000만 톤을 초과하는 생산능력을 보유하면서 2000년도 이후 연간 평균 시멘트 소비량은 5000만톤에 달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 CO2 배출량에서 시멘트 제조 시 발생하는 CO2 양이 차지하는 비율은? 시멘트 제조 시 발생하는 CO2 양은 우리나라 전체 CO2 배출량의 약 6.5%에 해당하며, 콘크리트 제조 및 타설까지의 CO2 발생량을 고려하면 그 비율은 약 10%까지 증가한다.2) 또한 일반적으로 시멘트 산업에서 배출되는 CO2양은 전세계 배출량의 약 7%로 평가되고 있다.
시멘트 산업에서 CO2 절감대책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 시멘트 산업에서 CO2 저감을 위한 노력으로는 에너지 효율설비 확충, 대체연료 사용증대, 석회석과 같은 시멘트 혼합재의 비율증가, 에너지 저소비형 클링커 제조 및 고로슬래그와 같은 혼화재(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 SCM)들의 첨가 등을 들 수 있다.4) 이들 노력 중고로슬래그(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GGBS) 나 플라이애쉬(fly ash, FA)와 같은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혼합시멘트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쉽게 접근할수 있는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orea Concrete Institute, Concrete and Environment, Kimoondang Publishing Co., Seoul, 2011, pp. 1-15. 

  2. Korea Concrete Institute, Concrete and Environment, Kimoondang Publishing Co., Seoul, 2011, pp. 16-30. 

  3. Ali, M. B., Saidur, R., and Hossain, M., S., "A Review on Emission Analysis in Cement Industrie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5, No. 5, 2011, pp. 2252- 2261. 

  4. Gartner, E., "Industrially Interesting Approaches to 'Low- $CO_{2}$ ' Cement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4, No. 9, 2004, pp. 1489-1498. 

  5. Korea LCI Database Information Network, http://www.edp.or.kr/lcidb. 

  6. Damineli, B. L., Kemeid, F. M., Aguiar, P. S., and John, V. M., "Measuring the Eco-Efficiency of Cement Us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32, No. 8, 2010, pp. 555- 562. 

  7. ISO, Environmental Management-Life Cycle Assessment- Principles and Framework, ISO 14040, International Standardisation Organisation (ISO), 2006. 

  8. Kim, T. H. and Tae, S. 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ystem of $CO_{2}$ Emission in the Production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2, No. 6, 2010, pp. 787-796. 

  9. Sakai, K. and Kawai, K., "JSCE Guidelines for Concrete No. 7: Recommendation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Verification for Concrete Structures,"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006, 29 pp. 

  10. CEN,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NF EN 197- 1. Cement-Part 1: Composition, Specifications and Conformity Criteria for Common Cements, 2001. 

  11. IGCC Public Comment Hearing Committee, International Green Construction Code, International Code Council, INC., USA,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