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2 저감을 고려한 콘크리트 배합설계
Mixture Proportioning Procedure for Low-CO2 Concrete 원문보기

Magazine of RCR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11 no.4, 2016년, pp.46 - 52  

정연백 (현대건설 건축구조설계팀) ,  양근혁 (경기대학교 플랜트.건축공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고에서는 복잡한 모델식이 아닌 목표 CO2 저감률과 사용되는 혼화재 종류에 따라 혼화재의 치환율을 결정할 수 있는 결합재 설계시트를 제시하였다. 이 도표는 식 (3)과 식 (4)를 이상화한 것으로 <그림 3>과 같다.
  • 본고에서는 콘크리트 구성 재료들의 채취, 운반, 콘크리트 생산과 타설 등에 대한 CO2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CO2 저감을 포함한 목표성능에 대해 콘크리트 배합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목표 CO2 배출 저감률과 설계 압축강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단위 결합재 양 및 혼화재 치환율 설계 모델식 제시를 위하여 5,231개의 실내배합 데이터와 7,306개의 레미콘 공장 배합데이터를 분석하였다.
  • 산출된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CO2 발생량을 평가하여 목표 CO2 발생량에 만족하는지 검토한다. 하지만 만족하지않는 경우에는 2단계 결합재 설계부터 재산정한다.

가설 설정

  • 단위수량은 결합재와 골재의 비, 잔골재 입자의 입도 그리고 초기 슬럼프에 대해 독립적인 것으로 가정한다. 수분 함량 및 다른 혼합비율이 고정되는 경우, 유동성은 골재직경(da), 조립률(Fm) 그리고 골재의 양에 의해 지배된다.
  • 시리즈에서 제시한 절차를 이용하였다. 시스템경계는 재료 재취 및 가공에서부터 콘크리트 타설 전단계까지로 고려하였으며, 시간적 경계는 1990년∼2012년으로, 지역적 경계는 서울로 가정하였으며 콘크리트 CO2 평가의 기능단위는 1m3로 설정하였다.
  • A열은 콘크리트 배합에 관련된 정보로서 각 재료의 단위용적 질량이며, B열은 각 재료의 LCI에서 제공하는 CO2 원단 위이며, D열은 각 재료의 생산지 출구에서부터 레미콘 공장까지의 거리이며, E열은 각 재료의 운송수단의 CO2 원단위이다. 운송수단으로서 시멘트계 재료는 벌크 시멘트 트레일러로, 골재는 15 톤 트럭으로 가정하였다. 콘크리트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구성재료들의 생산에 의한 CO2 배출량은 A열과 B열의 곱으로 산정되며, 그 재료들의 운반에 의한 CO2 배출량은 A열, D열 및 E열의 곱으로 산정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크리트 전과정 CO2 배출량 중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배출되는 CO2 발생량은 콘크리트 전과정 CO2 배출량의 약 85 % 이상을 차지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CO2 발생량을 저감시키기 위해 고로슬 래그(GGBS), 플라이애시(FA) 및 실리카흄(SF) 등의 혼화재 치환 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콘크리트의 CO2 발생량을 저감하기 위해 사용하는 혼화재는?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배출되는 CO2 발생량은 콘크리트 전과정 CO2 배출량의 약 85 % 이상을 차지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CO2 발생량을 저감시키기 위해 고로슬 래그(GGBS), 플라이애시(FA) 및 실리카흄(SF) 등의 혼화재 치환 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혼화재를 치환하여 콘크리트를 배합할 경우 목표 성능을 유지하면서 CO2 배출 저감을 유도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논문의 저자가 복잡한 모델식이 아닌 목표 CO2 저감률과 사용되는 혼화재 종류에 따라 혼화재의 치환율을 결정할 수 있는 결합재 설계시트를 제시한 이유는? CO2 저감을 고려한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결합재 설계가 가장 중요한 단계이며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식 (5)를 통해 산정될 수 있다. 하지만 레미콘 공장과 같은 산업체에서 이 모델식으로 결합재를 산정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ISO 14040, Environmental Management-Life Cycle Assessment-Principles and Framework,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eneva, Switzerland, 2006. 

  2. Yang, K. H., Jung, Y. B., Cho, M. S., and Tae, S. H., "Effect of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on Reduction of $CO_2$ Emissions from Concrete,"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103, 2015, pp. 774-783. 

  3. AIJ, Standard Specification and Commentary for Building Construction JASS 5: Reinforced Concrete Work,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2003 

  4. ACI Committee 318-11,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nd commentary,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