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등산 암설지형의 유형과 특징
Type and Characteristics of Debris Landform in Mt. Mudeung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18 no.3, 2012년, pp.253 - 267  

오종주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  박승필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성영배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무등산에 분포하는 암괴류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무등산의 암설지형은 암괴노출형, 노출혼합형, 거력잠재형, 기후단구 노출혼합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암괴노출형의 대부분은 암괴류의 형태를 보인다. 암설지대 암괴의 공급은 암질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안산암질이 우세한 암설은 암설지대 상부의 주상절리 또는 단애에서 암괴의 이동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고. 화강암질은 심층풍화된 암괴가 사면이동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암괴의 이동방식은 암괴의 낙하보다는 미끄러짐이 우세했던 것으로 추론된다. 그 이유는 단애와 암설지대 사이에 $10^{\circ}$ 내외의 완만한 사면에서 암괴의 장거리 이동이 불가능하고, 거력을 이동시킬만한 수류가 없고, 암설의 장축 방향성은 사면 최대경사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화강암과 안산암질 암설이 만나는 지역에서는 화강암이 하부에 안산암질이 상부에 있으며, 솔리플럭션과 동결포행이 활발한 시기에 화강암질 매트릭스가 평탄성이 현저한 사면을 형성한 후 안산암질 거력이 그 위를 덮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기후환경을 고려할 때 무등산 암설지대의 암괴는 이동이 거의 없다. 우주기원 동위원소 36Cl 연대측정 결과로 추론할 때, 최소 50,000년 전 암괴가 단애로부터 떨어져 나와 하부에 이동되었음을 의미하고 있다. 상부는 각력이 우세하고, 하부는 원마도가 좀 더 높은 아원력이 우세한 점을 고려할 때, 암설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어졌을 것으로 추론되며, 노출연대를 고려했을 때, 안정화된 화석지형이라고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looked in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debris landforms in Mt. Mudeung. By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area, we aimed to categorize the debris landforms based on the morphologic and genetic characteristcis. The types of debris areas in Mt. Mudeung can be divided into the exposed d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등산의 지리적 위치는? 무등산은 광주광역시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무등산의 암설지형은 분포하는 면적이 공원 전체 면적에 3%에 해당할 정도로 넓다. 이러한 암설지형은 유형별로 암설 노출형, 거력과 매트릭스(matrix)의 혼합형, 거력이 매트릭스에 잠재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산지사면에서 쉽게 관찰 가능한 암설지형은 무엇인가? 한국의 산지사면에서는 애추, 암괴류, 암괴원이라는 암설지형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암설지형들은 생성원인과 형태론적 측면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박승필, 1991, 1996; 전영권, 1993, 1995, 2000; 박경, 2003).
무등산의 암설지형은 유형별로 어떤 형태를 보이는가? 무등산은 광주광역시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무등산의 암설지형은 분포하는 면적이 공원 전체 면적에 3%에 해당할 정도로 넓다. 이러한 암설지형은 유형별로 암설 노출형, 거력과 매트릭스(matrix)의 혼합형, 거력이 매트릭스에 잠재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