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등산 도립공원의 지질과 경관
Geology and Landscape of Mt. Mudeung Province Park,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9 no.2 = no.60, 2010년, pp.109 - 121  

안건상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등산은 광주광역시, 담양, 화순에 걸쳐있으며, 형상이 둥글고 부드러워 넉넉한 느낌을 갖게 해준다. 무등산은 동경 $126^{\circ}06'-127^{\circ}01'$, 북위 $35^{\circ}06'-35^{\circ}10'$에 위치하며, 최고봉인 천왕봉의 높이는 1,187 m이다. 무등산 서측은 광주광역시가 자리하는 평야지대이며, 동측은 좁은 분지를 가진 산악지대이다. 무등산 북쪽의 하천을 따라, 소쇄원, 송강정, 식영정 등의 유명한 정자들이 분포한다. 무등산은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광주함몰대의 화산활동으로 형성되었다. 무등산의 정상부는 암회색을 띠는 석영안산암이 분포하며, 주상절리를 이루는 이 암석의 K-Ar 전암연령은 $48.1{\pm}1.7Ma$이다. 북측의 원효사 부근은 미문상화강암이, 남서측은 유문암이 분포하여 풍화양상이 매우 다르다. 무등산의 주능선은 남북방향으로 북봉에서 천왕봉, 장불재를 거쳐 안양산으로 이어진다. 무등산의 지형은 크게 화산지형, 산지지형, 하천지형으로 나눌 수 있다. 주능선을 이루는 서석대, 입석대, 규봉암은 화산지형인 주상절리이며, 남서부의 새인봉과 마집봉에는 산지지형인 암석단애와 암석돔(새인봉), 판상절리가 발달한다. 무등산에는 산지지형 중 침식지형에 해당하는 세 가지 형태의 풍화동굴이 발달하는데, 이들은 각각 원암의 특성을 반영한다. 무등산에 넓게 발달한 네 지역의 너덜은 산지지형인 퇴적지형에 속한다. 무등산은 암괴류의 발달로 폭포의 발달은 미약하나, 용천이 잘 발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t. Mudeung is located in Gwangju city, Damyang-Gun, Hwasun-Gun and its round form give us the mood of soft and rich. Its location is $126^{\circ}06'-127^{\circ}01'E$ and $35^{\circ}06'-35^{\circ}10'N$ and its highest peak is Cheonwang-bong with the height of 1,187 m. The Gwa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등산 북쪽에는 어떤 정자가 있는가? 무등산 북쪽은 원효계곡을 따라 충효동과 지실에걸쳐 아름다운 경관이 펼쳐져 있고, 그 곳에는 풍암정, 취가정, 환벽당, 식영정, 그리고 조선시대 민간 정원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소쇄원 등 수많은 정자가 자리하고 있다. 아름다운 경관과 탄탄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송강의 성산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을 비롯한 수많은 가사문학이 탄생하게 되었다.
무등산은 어디에 있는 산인가? 무등산은 광주광역시 동쪽과 담양, 화순에 걸쳐 우뚝 솟아 있는 광주·전남의 진산이다. 산세가 유순하고 동서남북 어느 곳에서 보나 둥그스름한 모습이 한결같아 보는 이로 하여금 믿음직스럽고 후덕한 느낌을 갖게 해준다.
무등산의 화산지형은 어떻게 발달했는가? 무등산의 지형은 크게 화산지형, 산지지형, 하천지형으로 나눌 수 있다. 주능선을 이루는 서석대, 입석대, 규봉암은 화산지형인 주상절리이며, 남서부의 새인봉과 마집봉에는 산지지형인 암석단애와 암석돔(새인봉), 판상절리가 발달한다. 무등산에는 산지지형 중 침식지형에 해당하는 세 가지 형태의 풍화동굴이 발달하는데, 이들은 각각 원암의 특성을 반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권동희, 2002, 화강암지형의 세계(池田 碩, 이케다 히로시저), 도서출판 한울, 200p. 

  2. 김규봉, 이병주, 황상구, 1990, 한국지질도 광주지질도폭 및 설명서(1:5만), 한국동력자원연구소, 45p. 

  3. 김봉균, 박병권, 1966, 한국지질도 동복지질도폭 및 설명서(1:5만), 상공부 국립지질조사소, 30p. 

  4. 김용준, 박재봉, 박병규, 2002, 무등산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의 암석화학. 암석학회지, 11, 214-233. 

  5. 김창환, 2009, 한국에서의 지오파크 활동과 지리학적 의미, 한국지형학회지, 16(1), 57-66. 

  6. 김현수, 2005, 무등산의 산지 지형 특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박선홍, 1997, 무등산, 도서출판 금호. 

  8. 원종관, 이문원, 김광호, 홍국영, 우준기, 이재만, 1990, 순창함몰대에서의 백악기 화산활동에 관한연구 -경상분지 및 서남일본 내대와의 비교-. 지질학회지, 165-284 

  9. 유정아, 1998, 한반도 30억년의의 비밀; 3부-불의 시대, 푸른숲, 223p. 

  10. 진명식, 신홍자, 권석기, 2005, 한반도의 화성암과 화성활동,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10p. 

  11. 차문성, 윤성효, 1988, 한반도의 화산함몰구조 및 환상복합 암체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24(특별호), 67-86 

  12. 渡?眞人, 2008, 動き始めた日本のジオパク活動, 地理, 53(9), 26-31. 

  13. 웹사이트 사진출처 http://blog.daum.net/bubugiki/7048906: 부부지기 

  14. http://blog.daum.net/mdscom/7283860: 남도의 자연과 문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