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몬순기후로 인한 수리수문학적 변화가 팔당호 동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draulic-hydrological Changes by Monsoon Climate on the 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Paldang, Korea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5 no.3, 2012년, pp.278 - 288  

유경아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변명섭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황순진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팔당호에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와 천이는 몬순기후에 의한 강우사상의 변화와 수리 수문학적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봄과 가을, 겨울 동안에는 강우량이 적은 평수기 혹은 갈수기로 팔당호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체가 안정되어 동물플랑크톤 군집 변화는 온대호수에서의 계절적인 천이 과정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봄철에 크기가 작고 세대교번이 빠른 윤충류가 급속히 증가하여 연중 최대 개체수를 나타냈으며, 이후 몸체가 큰 요각류와 지각류로 천이되었다. 봄에는 윤충류가 우점하여 점유율이 9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제1우점종은 Keratella cochlearis였다. 요각류는 주로 유생(Copepodid, Nauplius)의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지각류는 Bosmina longirostris가 주로 출현하였다. 여름에는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수체가 교란되고 팔당댐의 수문조작에 따른 방류량 증가로 동물플랑크톤이 하류로 떠내려가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급감하였다. 집중호우 이후 수체가 안정화됨에 따라 동물플랑크톤 군집 회복은 성장이 빠른 윤충류를 위주로 이루어졌으며 가을 이후 수온 변화에 따라 동물플랑크톤 군집 밀도가 점차 감소하고 겨울에는 요각류 유생(Copepodid, Nauplius)의 우점 비율이 증가하였다. 불완전한 개방형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팔당호의 특성상 동물플랑크톤 군집 변화는 기상 변화와 수리 수문학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특히 여름에는 국지성 집중호우의 빈도와 수량에 따라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변화가 크게 좌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zooplankton community of Lake Paldang, Korea, was investigated on a weekly basis from 2004 to 2006. The seasonal succession of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as influenced by hydrological factors such as rainfall pattern and efflux in Lake Paldang. According to the monsoon climate, spring, f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팔당호에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몬순 기후에 의한 강우 사상(rainfall pattern)과 팔당댐의 유량변화가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와 종 조성 및 천이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팔당호란? 팔당호는 한강 중하류에 위치하며, 유역의 특성이 상이하고 유량이 서로 다른 남한강, 북한강, 경안천의 세 하천이 팔당댐 건설로 합류되면서 형성된 호수이다. 또한 인공 댐호의 일반적인 수지형(dendritic type) 형태를 하고 있으며, 유입하천과 호수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으며 남한강, 북한강 수계의 중∙상류에 대형 댐들이 위치하고 있어 자연하천과는 달리 상류 댐의 수문조절에 의해 하류하천의 유속과 유량이 크게 영향을 받고 이는 곧 팔당호로의 영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Park et al.
수환경의 변화를 유도하는 환경 요인 중 어떤 영향이 매우 중요한가? 수환경의 변화를 유도하는 환경 요인에는 크게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영향이 포함된다. 이들은 밀접한 상호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강수량과 유량을 중심으로 한 물리적 수문 요인의 영향이 매우 중요하다(Parks and Baker, 1997; Winston and Criss, 2002). 우리나라는 기후학적으로 온대에 위치하여 사계가 뚜렷하고, 대륙과 해양의 중간에 위치하여 계절성 기후의 영향이 강하다.
우리나라의 기후학적 특성은? 이들은 밀접한 상호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강수량과 유량을 중심으로 한 물리적 수문 요인의 영향이 매우 중요하다(Parks and Baker, 1997; Winston and Criss, 2002). 우리나라는 기후학적으로 온대에 위치하여 사계가 뚜렷하고, 대륙과 해양의 중간에 위치하여 계절성 기후의 영향이 강하다. 이러한 계절성 기후의 영향은 수문학적으로 볼 때, 여름철의 장마, 집중호우 및 태풍의 자연적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수문인자의 발생기간, 빈도 및 크기는 수환경에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Thornt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gbeti, M.D. and J.O. Smol. 1995. Winter limnology: Comparison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in two temperatate lakes during lakes during ice over. Hydrobiologia 304: 221-234. 

  2. Andersen, A. and D.O. Hessen. 1991.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s of freshwater zooplankton. Limnology Oceanography 36: 807-814. 

  3. APHA. 1994.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4. Balcer, M.D., N.L. Korda and S.I. Dodson. 1984. Zooplankton of the greatlakes. A guide to the identification and ecology of the common crustacean species.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5. Baranyi, C., T. Hein, C. Holarek, S. Keckeis and F. Schiemer. 2002. Zooplankton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in a Danube River floodplain. Freshwater Biology 47: 473-482. 

  6. Cho, K.S. 1993. Illustration of the freshwater zooplankton of Korea. Academybook. 

  7. Culver, D.A., M.M. Boucherle, D.J. Bean and J.W. Flethcer. 1985. Biomass of freshwater crustacean zooplankton from Length-Weight regressions.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2: 1380-1390. 

  8. Downing, J.A. and F.H.R. Rigler. 1984. A manual on methods for the assesssment of secondary productivity in freshwater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247-249. 

  9. Dumont, H.J., L.V. De Velde and S. Dumont. 1975. The dry weight estimate of biomass in a selection of Cladocera, Copepoda, and Rotifera from the plankton, periphyton, and benthos of continental waters. Oecologia 91: 75-97. 

  10. Faithful, J.W. and D.J. Griffiths. 2000. Turbid flow through a tropical reservoir (Lake Dalrymple, Queensland, Australia): Responses to summer storm event. Lakes & Reservoir Management 5: 231-247. 

  11. Hall, D.T., S.T. Threlkeld, C.W. Burns and P.H. Crowley. 1976. The size-efficiency hypothesis and the size structure of zooplankton communitie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7: 177-208. 

  12.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HRERC). 2004. Study of environment in Lake Paldang. 

  13. Keckeis, S., C. Baranyi, T. Hein, C. Holarek, P. Riedler and F. Schiemer. 2003. The significance of zooplankton grazing in a floodplain system of the River Danube.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5: 243-253. 

  14. Kim, B.C., J.O. Kim, M.S. Jun and S.J. Hwang. 1999.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Soyang.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2: 127-134. 

  15. Kim, H.S., J.C. Park and S.J. Hwang. 2003.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of a shallow eutrophic lake (Lake Ilg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3): 286-294. 

  16. Kim, J.K. and W.H. Hong. 1992. Studies on the phisical environmental factor analysi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man-made lake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Science 1(2): 49-57. 

  17. Kim, J.M., J.D. Park, H.R. Noh and M.S. Han. 2002. Changes of seasonal and vertical water quality in Soyang and Paldang river-reservoir system,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5(1): 10-20. 

  18. Kong, D.S. 1997. Limn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a river-reservoir (Paldang),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supplement): 524-535. 

  19. Korea hydro&nuclear power co., LTD. http://www.khnp.co.kr 

  20. Muylaert, K. and W. Vyverman. 2006. Impact of a flood event on the planktonic food web of the Schelde estuary (Belgium) in spring 1998. Hydrobiology 559: 385-394. 

  21.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NIMR). 2009. Understand of climate change III, Climate change of Seoul. 

  22. Noh, S.Y. and M.S. Han. 2008. Carbon dynamics of plankton communities in Paldang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1(2): 174-187. 

  23. Pace, M.L. and J.D. Orcutt. 1981. The relative importance of protozoans, rotifers, and crustaceans in a freshwater zooplankton community. Limnology Oceanography 26: 822-830. 

  24. Park, H.K., M.S. Byeon, E.K. Kim, H.J. Lee, M.J. Chun and D.I. Jung. 2004.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distribution pattern in upper inflow rivers of Lake Palda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0(6): 615-624. 

  25. Park, S.J. and L.A. Baker. 1997. Sources and transport of organic carbon in an Arizona River-Reservoir system. Water Research 31: 1751-1759. 

  26. Shin, J.K., C.K. Kang and S.J. Hwang. 2003. Daily variations of water turbidity and particle distribution of high turbid- water in Paltang Reservoir,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3): 257-268. 

  27. Shin, J.K., S.J. Hwang, C.K. Kang and H.S. Kim. 2003a.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type Paltang Reservoir, Korea: hydr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3): 242-256. 

  28. Sommer, U., Z.M. Gliwicz, W. Lampert, and A. Duncan. 1986. The PEG-model of seasonal succession of planktonic events in fresh waters. Archiv fur Hydrobiologie 106: 433-471. 

  29. Stemberger, R.S. 1979. A guide to rotifers of the Laurentian Great Lakes. EPA-600/4-79-021. 

  30. Thornton, K.W., B.L. Kimmel and F.E. Payne. 1990. Reservoir Limnology-Ecological Perspectives. A Wiley Interscience Publication, John Wiley&Sons, Inc. 246pp. 

  31.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http://www.wamis. go.kr 

  32. Winston, W.E. and R.E. Criss. 2002. Geochemical variations during flash flooding, Meramec River basin, May 2000. Journal Hydrology 265: 149-1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