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심리학적 감정과 소셜 웹 자료를 이용한 감성의 실증적 분류
Empirical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Psychological Emotions and Social Web Data 원문보기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22 no.5, 2012년, pp.563 - 569  

장문수 (서경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셜 웹이 확산되면서 오피니언 마이닝 혹은 감성 분석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감성 분석을 위해서는 감성을 판별하기 위한 감성자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 감성 분석에서는 감성의 극성에 대한 강도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리소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의견의 극성을 결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의견의 극성뿐만 아니라 긍/부정의 근거가 되는 감성의 카테고리를 구성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합리적인 분류를 위하여 심리학적 감정들을 초기 감성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실제로 소셜 웹에서 사용되는 감성의 분포를 얻기 위하여 소셜 웹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감성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한 감성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감성들을 재분류함으로써 소셜 웹을 위한 감성 카테고리를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을 통하여 23개의 감성 카테고리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ies of opinion mining or sentiment analysis have been the focus with social web proliferation. Sentiment analysis requires sentiment resources to decide its polarity. In the existing sentiment analysis, they have been built resources designed with intensity of sentiment polarity and decided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텍스트 마이닝 연구가 정보를 추출하는데 중점을 둔 것과 달리 오피니언 마이닝에서는 텍스트에 내재된 감성으로부터 호/불호의 의견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터넷 댓글이나 트위터와 같은 SNS의 텍스트는 비교적 짧은 문장에 작성자의 주관적인 의견과 표현들이 많이 포함된 글이라는 점에서 이 분야의 연구 대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 반자동 감성 분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심리학적 감정들을 기반으로 하여 소셜 웹에 나타나는 감성들을 분류함으로써 자동 분류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소셜 웹 데이터로부터 감성을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이로부터 일련의 감성 카테고리를 제시한다.
  •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감성의 종류에 대한 분류는 관점에 따라 다르고, 또한 분류의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슈가 쉽게 드러나는 제품이나 국가 정책 등을 주제로 하는 소셜 웹의 텍스트를 대상으로 주요 감성을 분류하고자 한다.
  • 따라서 앞으로의 오피니언 마이닝에서는 의견에 대한 단순한 감성의 강도뿐만 아니라 그 의견의 근거가 되는 감성의 종류도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합리적인 감성의 기준으로 심리학적 기본 감정들을 감성 분류 기준에 맞춰 기본 감성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실제로 소셜 웹에서 표현되고 있는 감성들의 분포를 반영하기 위하여 소셜 웹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그로부터 기본 감성 카테고리를 재분류하고자 한다.
  • 그리고 실제로 소셜 웹에서 표현되고 있는 감성들의 분포를 반영하기 위하여 소셜 웹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그로부터 기본 감성 카테고리를 재분류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감성 카테고리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결과로 새로 분류된 감성 카테고리를 제시한다.
  • 앞 절에서 정의한 기본 감성은 인지적인 판단으로 구성한 감성들이기 때문에 실제 소셜 웹의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감성과는 차이가 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웹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감성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기본 감성에 없는 새로운 감성을 도출하거나 기존 감성을 삭제하거나 통합하여 기본 감성의 카테고리를 재분류하고자 한다.
  • 1절에서 정의한 기본 감성은 감성 정보 추출 과정에서 감성 정보의 분포에 따라 재분류된다. 본 논문에서는 재분류 과정에서 표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몇 가지 규칙을 제시한다.
  • 이 방식은 텍스트의 의견의 방향을 결정하기에는 적합하지만 그 의견에 대한 감성의 종류와 같은 상세한 오피니언 마이닝을 수행하기에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감성의 극성과 함께 감성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새로운 감성 분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심리학에서 제시하는 감정 분류를 기본 감성으로 하고, 감성 정보 프레임을 설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소셜 웹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기본 감성을 수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3.1절에서 정의한 기본 감성은 감성 정보 추출 과정에서 감성 정보의 분포에 따라 재분류된다. 본 논문에서는 재분류 과정에서 표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몇 가지 규칙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동 분류 기법은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 텍스트에서 감성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정보검색 기술을 이용하는 자동 추출 방법[3][4]와 심리학적 지식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컴퓨터 기술과 사람의 인지 능력을 이용한 반자동 추출 방법[5]로 나눌 수 있다. 자동 분류 기법은 구축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든다는 것과 대용량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연어 처리 능력과 감성 관련 리소스의 부족으로 일정 이상의 성능을 내기 어렵다. 반면 심리학에서 연구되어온 감정(emotion)1) 분류를 그대로 이용하게 되면 현실적인 감성 분류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텍스트에서 감성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어떻게 나누어 지는가? 텍스트에서 감성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정보검색 기술을 이용하는 자동 추출 방법[3][4]와 심리학적 지식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컴퓨터 기술과 사람의 인지 능력을 이용한 반자동 추출 방법[5]로 나눌 수 있다. 자동 분류 기법은 구축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든다는 것과 대용량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연어 처리 능력과 감성 관련 리소스의 부족으로 일정 이상의 성능을 내기 어렵다.
반자동 추출 방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위 두 방법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반자동 추출 방법은 일반적으로 대용량 코퍼스 문장들로부터 단어들의 출현 빈도를 측정하여 그 중에서 고빈도 단어에 대해서 사람이 감성어를 찾아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사람이 감성어 후보를 볼 때 그 감성어가 사용된 용례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절한 감성을 지정하지 못할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ang-Do Kim, Eeong-Bae Park, Sang-Jo Lee and Kweon-Yang Kim, "A Syllable Kernel based Sentiment Classification for Movie Review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20, no. 2, pp. 202-207, 2010. 

  2. Kweon-Yang Kim and Chang Suk Kim, "A String Kernel based Sentiment Classification for Blog Text," Proceedings of KIIS Fall Conferece 2009, vol. 19, no. 2, pp. 199-201, 2009. 

  3. Han-Hoon Kang, Seong-Joon Yoo and Dong-Il Han, "Automatic Extraction of Korean Opinion Words Using PMI-IR and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Proceedings of KIIS Spring Conferece 2010, vol. 20, no. 1, pp. 318-321, 2010. 

  4. Jong-Seok Song and Soo-Won Lee, "Automatic Construction of Positive/Negative Feature-Predicate Dictionary for Polarity Classification of Product Reviews," Journal of KIISE: Software and Applications, vol. 38, no. 3, pp. 157-168, 2011. 

  5. Jae-Seok Myung, Dong-Joo Lee and Sang-Goo Lee, "A Korean Product Review Analysis System Using a Semi-Automatically Constructed Semantic Dictionary," Journal of KI ISE: Software and Applications, vol. 35, no. 6, pp. 392-403, 2008. 

  6. Bing Liu,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Morgan & Claypool, 2012. 

  7. Andrea Esuli and Fabrizio Sebastiani, "SentiWordNet: A Publicly Available Lexical Resource for Opinion Mining," Proc. of the 5th conf.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LREC'06), pp. 417-422, 2006. 

  8. Carlo Strapparava and Alessandro Valitutti, "Wordnet-Affect: an Affective Extension of WordNet," Proc. of the 4th Int. Conf.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LREC'04) , pp. 1083-1086, 2004. 

  9. Jae-Won Hwang and Young-Joong Ko, "A Korean Emotion Features Extraction Method and Their Availability Evaluation for Sentiment Classification,"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ol. 19, no. 4, pp. 499-517, 2008. 

  10. Kwee-Bo Sim, Kwang-Sub Byun and Chang-Hyun Park, "Emotional Expression System based on Dynamic Emotion Space," Journal of Intelligent and Fuzzy Systems, vol. 15, no. 1, pp. 18-23, 2005. 

  11. Robert Plutchik and Henry Kellerman, Emotion: Theory, Research, and Experience Vol.5, Academic Press, 1990. 

  12. Robert Plutchik, Emotions and Lif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13. Ae-Sun Yoon and Hyuk-Chul Kwon, "Component Analysis for Constructing an Emotion Ontology,"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ol. 21, no. 1, pp. 157-175, 2010. 

  14. Andrew Ortony and Terence J. Turner, "What's Basic About Basic Emotions?," Psychological Review, vol. 97, no. 3, pp. 315-331, 1990.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