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권도 정권지르기 방식에 따른 최대 충격력과 최고속도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Peak Impulsive Force and Maximum Velocity according to the Taekwondo Jeongkwon Jirigi's Patter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9, 2012년, pp.389 - 395  

안정덕 (부산외국어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적인 태권도 정권지르기 기술인 끊어지르기를 어깨를 앞으로 밀어 넣는 밀어지르기와 비교하여 최대 충격력과 주먹의 최고 속도 및 최고속도가 발현된 지점에 대해 규명하였다. 피험자는 남성 태권도 유단자 7명으로 구성하였다. 최대 충격력은 PS2142 force platform[10]을 수직으로 세워 측정하였고, 주먹의 최고속도는 PS2103A motion sensor[12]를 이용하였다. 측정 데이터는 PASCO사에서 제공한 data studio를 통해 수집되었고, SAS 9.1 패키지를 활용해 지르기 방식에 따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절차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 충격력에 있어서는 끊어지르기가 밀어지르기 보다 유의한 수준에서(p<.01)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먹의 최고속도는 밀어지르기가 끊어지르기 보다 유의하게(p<.01) 빠른 것으로 제시되었다. 셋째, 최고속도의 발현지점에 있어서는 끊어지르기가 주먹 전체길이의 69.1%, 밀어지르기는 76.6%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p<.001) 차이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nalyzed the peak impulsive force, maximum velocity and a spot of fist's maximum velocity comparing stop-jirugi and push-jirugi. 7 males volunteered for this experiment. peak impulsive force was measured by PS2142 force platform[10], and maximum velocity of fist was measured by PS2103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한발 더 나아가 어깨가 앞으로 나아가지 않고 팔을 완전히 뻗은 상태에서 주먹을 멈춰주는 전형적인 태권도 정권지르기인 끊어지르기(stop-jirugi)와 똑 같은 방식에서 어깨를 앞으로 밀어주는 밀어지르는(push-jirugi) 방식간에 충격력과 주먹의 최고속도 및 최고속도가 나타난 위치를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주제를 설정하게된 배경에는 끊어지르기과 밀어지르기가 현재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일선 도장에서는 정권지르기 동작을 개별적으로 연습하거나 품새 동작속에서는 끊어지르는 방식으로 이루어고 있으나 송판이나 기와를 실제로 격파하는 현장에서는 어깨를 밀어 넣는 동작을 의도적으로 취하고 있다.
  • 컴퓨터를 통해 입력된 자료는 data studio를 통해 최대 충격력 변인을 구하였다. 오전에 충격력 측정이 끝난 후 충분한 휴식을 취한 오후에 지르기 유형에 따른 최고 속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PS2103A motion sensor를 정권지르기 동작시 주먹의 진행방향과 수평을 이루게 고정한 후 각각의 피험자들은 순서대로 끊어지르기를 개인의 최대속도로 10회씩 실시하였다.
  •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하여 충격력을 높이는데 결정적인 요인은 주먹의 속도 보다는 충돌 접촉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며, 끊어지르는 방식은 주먹과 물체의 충돌 접촉시간이 밀어지르기 보다 짧게 되어 최고 충격력을 얻는데 보다 효과적인 지르기 동작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충격력이 높을수록 유리한 스포츠 종목에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운동제어 메카니즘의 적용에 중요한 학술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장 최근에 안정덕[2]은 태권도 정권지르기 동작을 끊어지르기와 밀어지르기로 구분하여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는 끊어지르는 동작도 직선운동을 하는 주먹이 운동을 계속하려는 관성의 법칙에 의해 어개를 약간 밀어 넣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이 오히려 더 자연스럽다고 논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세계태권도연맹홈페이지 http://www.wtf.org/about_wtf., 2012. 

  2. 안정덕, "끊어 지르기와 밀어 지르기 동작의 운동 제어적 특성에 대한 영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8호, pp.244-252, 2008. 

  3. K. M. Newell, The speed-accuracy paradox in movement control: Error of time and space. In G.E. Stelmach(Ed.), Tutorials in motor behavior, Amsterdam: Elsevie, 1980. 

  4. R. A. Schmidt, "Inter-limb specificity of motor response consistency," Journal of Motor Behavior, Vol.1, pp.89-99, 1969. 

  5. R. A. Schmidt, Motor Control and Learning. Second Edition, Human Kinetics Publishers, Inc. pp.289-293, 1998. 

  6. C. Rist, "Breaking boards : Scientist say it's nor a trick- it just takes blinding speed and a couple thousand newtons," Discovery, Vol.5, pp28-29, 2000. 

  7. 성낙준, "태권도 격파의 역학적 원리", 세계태권도학회지, 제5권, pp.159-166, 2001. 

  8. 최치선, 태권도 지르기 동작시 목표거리와 지르기 방식에 따른 충격력 비교 분석, 미간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9. 강성철, 김의환, 신현무, 김성섭, 김태완, "태권도 주춤 서 몸통지르기 유형별 생체역학적 변인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제17권, 제4호, pp.201-208, 2007. 

  10. PS2142 force platform, Instruction Manual 012-09113B, PASCO, U.S.A, 2007. 

  11. 최치선, 신인식, 서정석, "지면반력 측정기 수직 설치시 충격력 검증", 한국운동역학회지, 제14권, 제2호, pp57-68, 2004. 

  12. PS2103A Motion sensor, Instruction Sheet 012-09625A, PASCO, U.S.A, 2007. 

  13. 김선진, 운동학습과 제어, 대한미디어, p.129, 200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