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파이더와 강봉간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격자지보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attice Girder by Increasing Contacting Area between Spider and Rod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8 no.10, 2012년, pp.17 - 25  

남중우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진교 (다산컨설턴트) ,  조용교 (보림기계공업(주)) ,  천병식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M공법을 적용한 터널에서 숏크리트, 락볼트, 강지보재 등은 터널 굴착 후에 지반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주요한 지보재이다. 이전에는 H형강 지보재와 같은 강지보재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시공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격자지보재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격자지보재에서 스파이더와 강봉간의 접촉면적을 넓혀 강도가 증진된 신형 격자지보재를 개발하여 그 효과 및 성능을 검증하고자 LG-$50{\times}20{\times}30$, LG-$70{\times}20{\times}30$, LG-$95{\times}22{\times}32$ 세 가지 규격으로 3점 휨강도 실험과 4점 휨강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격자지보재와 비교하여 신형의 격자지보재는 스파이더와 주강봉 접촉부에서는 평균 17.95%의 강도증진 효과가 있었고, 스파이더와 스파이더 사이에서는 평균 19.37%의 강도증진 효과가 있었으며 이는 스파이더와 주강봉 사이의 기계적 결합과 접촉면적 증가에 의한 격자지보재의 강성증가에 따른 결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otcrete, rockbolt, and steel rib are installed to support ground after tunnel was excavated. These are important supports for NATM applied tunnels. Recently, lattice girder is increasingly used because it is easily install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lattice girder by increasing contact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격자지보재의 휨강도 특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접촉면적이 증가한 신형 격자지보재를 실험 대상으로 하였고 격자지보재의 공학적인 성능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3점 휨강도 실험과 4점 휨강도 실험에서 하중재하위치에 따른 최대하중을 측정하였고 실험시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변위량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ATM 터널에서 터널 굴착 후 설치되는 주요한 지보재는 무엇인가? 국내에서 터널에 적용되는 NATM공법은 서울지하철 3호선 및 4호선 건설당시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된 후 현재 발파굴착 공법의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NATM 터널에서 숏크리트, 록볼트, 강지보재 등은 터널 굴착 후 설치되는 주요한 지보재이며 이 중에서 H형강 지보재와 같은 강지보재는 무지보 지반의 직접적인 보강, 숏크리트 라이닝의 하중분산을 위한 보강, 숏크리트 또는 록볼트의 지보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때까지 일시적인 지압지지와 터널단면의 형상을 유지하고, 또한 포아폴링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점의 역할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Moon, 1999). NATM 도입초기에는 강지보재로 단면성능이 우수하고 조합과 접합이 용이한 H형강을 사용하였으나, H형강은 자체중량이 무거워 시공성이 떨어지고, 후속되는 지보재의 시공에도 영향을 주어 종종 공기지연을 발생시키기도 하였다.
시공성 향상 및 굴착지반과 지보재의 완전 밀착을 위해 국내에서는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 (Baumann 등, 1984)에 따르면 유럽에서는 80년대부터 시공성 향상 및 굴착지반과 지보재의 완전 밀착을 위해 격자지보(Lattice girder)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지하수위가 높은 지하철 현장의 숏크리트 타설시 등에 사용되고 있다(Weber, 1983). 국내에서는 90년대 초부터 격자지보재의 국내실정 적합성 연구를 수행한 후 현재는 터널갱구부, 저토피구간 및 연약지반을 제외한 모든 지반조건에서 격자지보재를 강지보재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어지고 있는 격자지보재는 주로 LG-50×20×30, LG-70×20×30, LG-90×22×32 세 가지 타입을 사용하고 있다(K.
NATM공법은 언제 국내에 처음 소개되었는가? 국내에서 터널에 적용되는 NATM공법은 서울지하철 3호선 및 4호선 건설당시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된 후 현재 발파굴착 공법의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NATM 터널에서 숏크리트, 록볼트, 강지보재 등은 터널 굴착 후 설치되는 주요한 지보재이며 이 중에서 H형강 지보재와 같은 강지보재는 무지보 지반의 직접적인 보강, 숏크리트 라이닝의 하중분산을 위한 보강, 숏크리트 또는 록볼트의 지보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때까지 일시적인 지압지지와 터널단면의 형상을 유지하고, 또한 포아폴링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점의 역할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Moon,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김동규, 최윤호, 김동률 (2007), "레티스거더 성능평가를 위한 실내시험기법의 평가", Korean Geotechnical Society conference, pp.1113-1120. 

  2. Baumann, T. and Betzle M. (1984),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of lattice girders in tunnelling", Rock mechanics and Rock Engineering, Vol.17, pp.67-81. 

  3. Braun, W. M. (1983) "Lattice Girders Offer Economy and Performance for Tunnel Support", Tunnels & Tunnelling, Vol.15, No.5, pp.19-22. 

  4. Kim, D. G. and Bae, G. J. (2008a), "Development of a laboratory testing method for evaluating the loading capability of lattice girder",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ssociation, Vol.10, No.4, pp.371-382 

  5. Kim, D. G., Lee, S. H., and Choi, Y. N. (2008b), "Evaluatiion of Loading Capacity of Laattice Girder according to Laboratory Testing Method", Korean Geo-Environmental Conference, pp.399-406. 

  6. K.I.C.T. (1996), "Application of Lattice Girders in Tunnelling", 천원공업(주), pp.1-99. 

  7. KS D 3504, "Deformed Steel Bar", pp.3-5. 

  8. Moon, H. D. (1997),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bility of a Lattice Girder for a Support in Tunnelling", Ph.. D. degree thesis, Kyounghee University, pp.35-52. 

  9. Moon, H. D. (1999), "Evaluation on the Applicability of a Lattice Girder for a Support System in Tunnel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Vol.9, pp.204-213. 

  10. Weber, J. (1983) "Erfahrungen mit Druckluftvortrieben in Spritzbetonbauweise beim M/inchner U-Bahn-Bau", Vortrag auf der STUVA-Tagung Tunnel 1983. 

  11. Yang, H. S., Jeong, H. S., and Kim, W. B. (2005), "Numerical Analysis for the Structural Behavior of Lattice Gird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Vol.15, No.4, pp.243-2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