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남자 배자를 응용한 레이어드 룩 스타일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Layered Look by Applying Characteristics of Men's Baeja from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0 no.6, 2012년, pp.55 - 64  

염순정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은정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formative elements of Baeja, by applying them to the design of modern clothing.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ying Baeja is to propose unique layered look items that can be readily put together for various weather conditions and occasions, be easily wearable and br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6). A study on military oficial uniforms with hyungbae, embroidered patches. 17, p.
  •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시대 남자 배자의 조형적 요소를 재해석하여 현대의상 디자인에 응용하여 제작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기온변화나 용도에 맞게 적절하게 덧입거나 겹쳐 입기로 코디네이션 할 수 있으며, 실용적이며 미적인 측면에서도 개성 넘치는 연출을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아이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작품 제작은 조선시대 배자의 조형적 요소를 현대의상에 응용하여 전통의 멋과 현대적인 멋이 어우러져 모던하면서도 한국적인 미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전통 소재와 현대적인 소재를 함께 사용하여 전통소재와 현대 소재가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음을 나타내어 전통소재의활용도를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작품에서 응용할 조선시대 배자는 고종 배자, 동래정씨 배자, 홍진종 배자, 전주 이씨 변 배자, 1900년대 이후 누비 배자, 털 배자, 김여온 배자로 유물배자 7점이다. 유물배자 7점을 선정한 이유는 각각 배자의 독특한 형태와 세부적인 장식 등이 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가 내재되어 있어 이러한 유물들에서 디자인하고자 하는 영감과 힌트를 얻어 이를 활용하고자 한다.
  • 현대 패션의 디자인 경향도 일차적인 복식디자인만의 의미를 넘어 각 나라의 고유한 전통 복식의 원형과 이미지를 재해석하고 개발하여 이를 디자인에 적극 반영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시대적인 패션의 흐름에 맞게 전통복식의 원형에서 조선시대 배자를 현대의상에 활용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응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시대 남자 배자의 조형적 요소를 재해석하여 현대의상 디자인에 응용하여 제작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기온변화나 용도에 맞게 적절하게 덧입거나 겹쳐 입기로 코디네이션 할 수 있으며, 실용적이며 미적인 측면에서도 개성 넘치는 연출을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아이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작품 제작은 조선시대 배자의 조형적 요소를 현대의상에 응용하여 전통의 멋과 현대적인 멋이 어우러져 모던하면서도 한국적인 미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전통 소재와 현대적인 소재를 함께 사용하여 전통소재와 현대 소재가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음을 나타내어 전통소재의활용도를 모색하고자 한다.
  • 이러한 의미로 볼 때 복식 디자인에서 형태, 선, 색채, 소재, 문양 등은 복식의 기본적인 조형요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조선시대 배자의 조형적인 요소를 현대적인 의상 디자인에 응용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어 조선시대 배자유물의 조형적 특성 중 형태를 중심으로 색상, 소재 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45-149)[5]. Figure 6. Nu Bi Baeja (1900년대 이후)는 누비배자이다. 이 배자는 겉감, 안감 모두 흰색 명주에 솜을 두어 곱게 누볐으며 뒷길이길고 겨드랑이 아래 고리를 달아 앞길 진동아래 끈을 고리에걸어 앞에서 묶는 형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고에서 연구 대상을 전통배자 중 조선시대 중· 후기(16C-20C 초)의 남자 배자로 한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범위는 전통배자 중 조선시대 중· 후기(16C-20C 초)의 남자 배자로 한정하였다. 이는 이 시기에 해당하는 남자 배자 유물이 비교적 다양한 형태가 출토되어 보존 되고 있어 유물의 고찰과 분석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시기의 배자 중에서 현존 배자 유물의 형태나치수, 색상, 소재를 구별할 수 있을 만큼 상태가 양호하고각기 다른 형태, 색상, 소재의 배자류로 본 디자인에 응용할수 있는 조형적 요소를 갖추고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본연구에서는 배자 7점을 임의로 선정하여 디자인 제작에 응용하였다.
배자의 외형적 특징은 무엇인가? 조선시대 배자는 형태면에서 입고 벗기에 편리한 좌우 대칭 구조의 전개 형이며, 직선과 곡선이 조화를 이루는 구성이다. 옆트임과 끈이 있어 품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소매가 없는 옷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배자는 남녀·노소 누구나 단조로운 전통 평상복 위에 덧입음으로써포인트(point)를 주어 자신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고 보온이나 멋내기 용도로 착용되었던 전통복식이다.
레이어드 룩의 근원을 찾아볼 수 있는 시대는 언제인가? 레이어드 룩의 출현 배경은 1950년대 비트 세대에서 유래되어 형성된 1960년대 말 젊은이들의 히피문화와 히피패션에서 그 근원을 찾아볼 수 있다. 1950년대에 비트세대는 기존사회의 모든 제약과 전통에 반항하며 새로운 전망과 실재를추구하는 젊은 지식층을 중심으로 캘리포니아의 잭 커로악(Jac Kerouac), 엘렌 긴버스(Allen Ginberg) 같은 신비주의적이고 실험적인 젊은 작가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ngraphics. (1994). Design dictionary. Seoul: Angraphics. 

  2. Bu, H. S. (1998).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Baeja for modern fashion desig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3. Cho, O. S. (2003).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Baeja.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7(1), 2. 

  4. Danjongsillok. (1455). Danjong, No. 14. A photographic edition.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5. Dankook Seokjusun Memorial Museum. (2005). Myeong Seon. Seoul: Dankook Seokjusun Memorial Museum. 

  6. Doosan Corporation. (2005). A Korean language New Donga dictionary. Seoul: Doosandonga. 

  7. English dictionary. (1999). Webster. Seoul: YBM Sisa. 

  8. Gojongsillok. (1877). Gojong, No. 14. A photographic edition.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9. Im, M. M. (1978). A Study on the Baej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6(2), 3. 

  10. Injosillok. (1627). Injo, No. 16.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11. Jeon, H. J. (2007). Modern Fashion and Designer. Seoul: A publishing company Shinjeong. 

  12. Jeongjosillok. (1800). Jeongjo, No. 54. A photographic edition.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13. Jungjongsillok. (1518). Jungjong, No. 32. A photographic edition.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14. Kim, J. B. (2002). The Keyword of Fashion. Seoul: A publishing company Sidae. 

  15. Kim, W. G. (2010). A Study on Reproduction of the Traditional Baeja and Design for Morden Application.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0(3), 22. 

  16. Lee, E. H., & Cho, H. S. (2009). Historical analysis and modernization work of korean traditional Baej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9), 116. 

  17. Lee, E. J., Cho, H. S., & Ha, M. Y. (2006). A study on military oficial uniforms with hyungbae, embroidered patches, The Creeping animal hyungbae. Seoul: Minsokwon. 

  18. Lee, J. Y. (1997). Comparative study of clothing cul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Baej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K. J., Hong, N. Y., & Chang, S. H. (2003). Korean traditional costume aesthetics and truth of their original form. Seoul: Youlhwadang. 

  20. Lee, S. Y. (2008). A study on the baeja (Ve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Y. H. (2002). The culture of fashion. Seoul: Yehaksa. 

  22. Moonjongsillok. (1450). Moonjong, No. 3. A photographic edition.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3. Naver a Korean language dictionaary. (2011). Baeja. Retrieved April 20, 2011 from http://krdic.naver.com. 

  24. Park, D. I. (1992). A study on the changes in Baeja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9(1), 132. 

  25. Park, D. I. (1997). A study about Banbei's origin and the process of its change based on Korea's and Chinese's Banbei.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6. Park, S. S., & Kim, H. M. (2002). An empirical analysis of functional equestrian clothing of Joseon. Dankook Seokjusun Memorial Museum, 20, 45. 

  27. Seongmun Publisher. (1978). Samjaedohoe. Seoul: Seongmun Publisher. 

  28. Seongjongsillok. (1470). Seongjong, No. 5. A photographic edition.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9. Song, M. H. (1788). Hanjeongdangjip. No. 7. Seongnam: The Academy of Korea Studies. 

  30. Suh, Y. G. (1835). Limwonsipyukji. No. 2. Seongnam: The Academy of Korea Studies. 

  31. Suh, Y. R. (1994), Study on the american hippies and their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2. Suh, Y. R., & Jo, G. H. (1995). A study on the american hippies and their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2(2), 278-286. 

  33. Sunjosillok. (1603). Sunjo, No. 161. A photographic edition.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34. The Academy of Korea Studies. (1994). Gomunseojipseong, No. 12. Seongnam: The Academy of Korea Studies. 

  35.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995). Two thousand years of traditional korean custumes. Seoul: Seokjusun Memorial Museum. 

  36. Wang, S. J. (2007). A study on the modern design of Baeja applied from YoonBok Shin's paintin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7. Yeongjosillok. (1747). Yeongjo No. 66. A photographic edition.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