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Emergency Department Nurses' Recognition of and Educational Needs for Forensics Nursing Educatio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5, 2012년, pp.499 - 508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차경숙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조옥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이수경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법의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emergency department nurses' recognition of forensics nursing and their educational needs for forensics nursing educ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from 167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ho were working in 7 university ho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가 근무중 경험한 외상 ‧ 사고 사건의 빈도와 법의간호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근무 중 외상 ‧ 사고 사건을 빈번하게 경험하고 있었으나 법의간호에 대한 인식과 지식이 부족하여 법의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법의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도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Kim, 2007)가 시행되었을 뿐 아직까지 간호사의 법의간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다룬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외상이나 사고 환자를 빈번하게 접하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 중 경험한 외상 ‧ 사고 사건과 법의간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법의간호란? 폭력이나 학대, 성폭력 등과 관련된 외상이나 사망을 과학적인 조사를 통해 법적, 공적으로 간호하는 과정을 법의간호라고 한다(Hammer, Moynihan, & Pagliaro, 2006). 법의간호의 대상자는 성폭력, 노인이나 아동 및 배우자 학대, 폭력 혹은 사고로 인한 외상이나 사망의 희생자와 가해자를 포함한다.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 중 경험한 외상 ‧ 사고 사건과 법의간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가 경험한 외상 ‧ 사고 사건을 파악한다.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교육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한다.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교육요구도를 파악한다.
법의간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는 어떤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가? 법의간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는 선행연구(Garbacz Bader & Gabriel, 2009; Kent-Wilkinson, 2009, 2011; Se-kula, 2005)와 문헌(American Nursing Association, 1997;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2007)을 근거로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문장의 읽기 수준, 모호성, 이해도, 전문용어의 사용 등을 고려하여 법의간호 교육에 대한 인식 9문항과 교육요구도 13문항의 기초문항을 개발한 후 응급의학과 전문의 1인, 응급실 간호사 2인, 법의학과 교수 1인, 법의간호학 석사학위 과정생 2인, 간호학과 교수 2인으로 구성된 총 8명의 전문가 집단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Nursing Association. (1997). Scope & standards of forensic nursing practice. Washington, DC: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rensic Nurses and the American Nurses Association. 

  2. Assid, P. A. (2005). Evidence collection and documentation: Are you prepared to be a medical detective? Topics in Emergency Medicine, 27, 15-26. 

  3. Cranley, L., Doran, D. M., Tourangeau, A. E., Kushniruk, A., & Nagle, L. (2009). Nurses' uncertainty in decision-making: A literature review.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6, 3-15. http://dx.doi.org/10.1111/j.1741-6787.2008.00138.x 

  4. Echaore-McDavid, S., & McDavid, R. A. (2010). Career opportunities in forensic science. New York: Ferguson. 

  5. Eldredge, K. (2008). Assessment of trauma nurse knowledge related to forensic practice. Journal of Forensic Nursing, 4, 157-165. http://dx.doi.org/10.1111/j.1939-3938.2008.00027.x 

  6.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2007). Emergency nursing core curriculum (6th ed.). St Louis: Saunders. 

  7.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8. Garbacz Bader, D. M., & Gabriel, L. S. (2009). Forensic nursing: A concise manual. Boca Raton: CRC Press. 

  9. Hammer, R. M., Moynihan, B., & Pagliaro, E. M. (2006). Forensic nursing: A handbook for practice. London: Jones and Barlett Publishers. 

  10.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rensic nurses. (2012, June). Forensic education. Retrieved June 15, 2012, from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rensic nurses Web site: http://www.iafn.org/displaycommon.cfm?an7 

  11. Jo, N. Y. (2012). Forensic-nursing performance and competency level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2.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2006). Hospital accreditation standards 2006. Oakbrook Terrace: JCAHO. 

  13. Kent-Wilkinson, A. E. (2009). Forensic nursing education in North America: Social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Forensic Nursing, 5, 76-88. http://dx.doi.org/10.1111/j.1939-3938.2009.01038.x 

  14. Kent-Wilkinson, A. E. (2011). Forensic nursing educational development: An integrated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 236-246. http://dx.doi.org/10.1111/j.1365-2850.2010.01667.x 

  15. Kim, B. Y. (2007). The educational need of forensic medicine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119 rescue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6. Kim, H. J.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traumatic events,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emergency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7. Kim, J. E., Chae, J. M., Kwak, J. S., & Lee, S. H. (2010). The role of forensic nurse in the child sexual abuse response center. Korean Journal of Victimology, 18, 135-157. 

  18.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September). 2010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June 15, 2012, from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b site: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 

  19. Lee, K. R. (2006). Application of forensic nursing into Korean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 Lynch, V. A. (1991). Forensic nurs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new role for the 1990's.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4, 69-86. 

  21. Mercer, D., Mason, T., Mckeown, M., & McCann, G. (2000). Forensic mental health care: A case study approach.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22.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2, May). 2011 Annual report on the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Retrieved June 15, 2012, from th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Web site: http://www.nemc.or.kr/infor/board_list.jsp?boardLeftMenuFlag17 

  23. Park, E. M. (2011). Knowledge, experience and interest on forensic medicine of nurses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4. Rask, M., & Aberg, J. (2002). Swedish forensic nursing care: Nurses' professional contributions and educational need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 9, 531-539. http://dx.doi.org/10.1046/j.1365-2850.2002.00538.x 

  25. Robinson, D. K., & Kettles, A. M. (1998). The emerging profession of forensic nursing: Myth or reality? Psychiatric Care, 5, 214-218. 

  26. Scales, C. J., Mitchell, J. L., & Smith, R. D. (1993). Survey report on forensic nursing.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31, 39-44. 

  27. Sekula, L. S. (2005). The advance practice forensic nurs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opics in Emergency Medicine, 27, 5-14. 

  28. Supreme Prosecutors' Office Republic of Korea. (2011, September). 2010 Crime analysis. Retrieved June 15, 2012, from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Republic of Korea Web site: http://www.spo.go.kr/spo/info/stats/stats02.jsp 

  29. Youk, G. Y. (2005). The role of forensic nurse in the situation of sexual assaul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