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과계 중환자의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과 계획적 기관내관 발관의 관련 특성 비교
Comparison of 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Unplanned and Planned Extubation of Patients in Medical Intensive Unit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5, 2012년, pp.509 - 519  

조효임 (인하대학교 대학원) ,  이영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화순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심보윤 (인하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frequency of unplanned extuba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ed factors of unplanned extubation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received intubation in a medical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 관련요인에 대해 국내의 경우 Choi (2002)와 Kim (2005)이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앞서 언급된 선행연구나 문헌에서 제시된 위험요인을 전체적으로 포함하지 못했던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들을 통해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과 관련이 있는 변수로 밝혀진 내용을 포함하여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발생하는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과 관련한 위험요인을 좀 더 자세히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 빈도를 파악하고,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 관련요인을 규명하여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및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의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의 빈도와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부분적으로 제시되었던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과 관련된 요인을 가능한 모두 포함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겠다.
  • 본 연구는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의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의 빈도와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의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의 빈도와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부분적으로 제시되었던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과 관련된 요인을 가능한 모두 포함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 병원에서 진행된 후향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의 한계가 있어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 , 2004).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움직임이나 치료나 처치 등으로 인한 비의도적인 기관내관 발관과 환자가 스스로 기관내관을 빼는 경우를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 중에 계획적으로 기관내관이 발관된 환자와 비계획적으로 기관내관이 발관된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하여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관내관 삽입이 중환자실에서 더 많이 시행되는 이유는? 환자들에게 기관내관이 삽입되면 내관을 제 위치에 유지하는 일은 환자의 호흡기능 유지와 더불어 생명유지에 필수적이다. 중환자실은 병동보다 상대적으로 질병의 중증도가 높은 환자가 입원하게 되므로 기관내관 삽관술이 더 많이 진행된다. 이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환자에게 삽입된 튜브의 위치와 개방성을 잘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간호업무가 되고 있다.
기관내관 삽입은 언제 사용되는가? 기관내관 삽입은 병원에서 특히,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 중 상기도의 폐쇄나 무호흡, 비효율적인 분비물 제거로 인한 저산소증, 흡인의 위험성, 의식저하나 심정지가 발생하였을 때 기도확보를 돕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환자들에게 기관내관이 삽입되면 내관을 제 위치에 유지하는 일은 환자의 호흡기능 유지와 더불어 생명유지에 필수적이다.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이 된 경우 환자는 어떠한 위험을 가지는가? 비계획적 기관내관 발관이 된 경우 환자는 성대와 후두 등 상부호흡기계의 손상, 위장 내 내용물 흡인, 저산소증의 발생 위험성이 증가한다. 또한, 재삽관하는 경우 병원성 폐렴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며 재삽관이 어려운 경우 호흡부전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Ellstrom,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tkins, P. M., Mion, L. C., Mendelson, W., Palmer, R. M., Slomka, J., & Franko, T. (1997).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who self-extubate from ventilatory support: A casecontrol study. Chest, 112 (5), 1317-1323. http://dx.doi.org/10.1378/chest.112.5.1317 

  2. Balon, J. A. (2001). Common factors of spontaneous self-extubation in a critical care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Trauma Nursing, 7 (3), 93-99. http://dx.doi.org/10.1067/mtn.2001.117769 

  3. Chang, L. C., Liu, P. F., Huang, Y. L., Yang, S. S., & Chang, W. Y. (2011).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unplanned endotracheal self-extubation of hospitalized intubated patients: A 3-year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Applied Nursing Research, 24, 188-192. http://dx.doi.org/10.1016/j.apnr.2009.09.002 

  4. Chang, L. H., Ho, S. T., Chiang, W. W., & You, H. C. (2002). Discussion of factors of patient self-removal of ETT in surgical and medical ICU of a medical center.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4, 162-170. 

  5. Chervon, V., Menard, J., Richard, J., Girault, C., Leroy, J., & Bonmarchand, G. (1998). Unplanned extubation: Risk factors of development and predictive criteria for reintubation. Critical Care Medicine, 26 (6), 1049-1053. 

  6. Choi, E. H., Kim, J. H., Park, M. H., & Lee, J. Y. (2006). The comparison of the unplanned extub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for fixing the endotracheal tub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 (2), 7-16. 

  7. Choi, Y. K. (2002).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 of un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 in IC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8. De Lassence, A., Alberti, C., Azoulay, E., LeMiere, E., Cheval, C., Vincent, F., et al. (2002). Impact of unplanned extubation and reintubation after weaning on nosocomial pneumonia risk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esthesiology, 97 (1), 148-156. http://dx.doi.org/10.1097/00000542-200207000-00021 

  9. Ellstrom, E. K. (2000). Relation of psychoneurologic, physiologic, and environmental constructs to risk of unplanned extubation and outcomes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Francisco, California. 

  10. Ely, E. W., Shintani, A., Truman, B., Speroff, T., Gordon, S. M., Harrell, F. E., et al. (2004). Delirium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1 (14), 1753-1762. http://dx.doi.org/10.1001/jama.291.14.1753 

  11. Fang, L., Fang, S. H., & Fang, L. (1999). Results and clinical application unplanned removal of endotracheal tube. National Defense Medical Center, 28, 328-331. 

  12. Happ, M. B. (2002). Treatment interference in critically ill patients: An update on unplanned extubation. Clinical Pulmonary Medicine, 9 (2), 81-86. http://dx.doi.org/10.1097/00045413-200203000-00003 

  13. Hofso, K., & Cover, F. M. (2007). Part 1: Chemical and physical restraints in the management of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CU: Contributing factor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3 (5), 249-255. http://dx.doi.org/10.1016/j.iccn.2007.04.003 

  14. Hooper, M. H., & Timothy, D. G. (2011). Sedation and weaning from mechanical ventilation: Liking spontaneous awakening trials and spontaneous breathing trials to improve patient outcomes. Anesthesiology Clinics, 29, 651-661. http://dx.doi.org/10.1016/j.anclin.2011.09.005 

  15. Huang, Y. T. (2009). Factors leading to self-extubation of endotracheal tub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Nursing in Critical Care, 14 (2), 68-74. http://dx.doi.org/10.1111/j.1478-5153.2008.00320.x 

  16. Kapadia, F. N., Bajan, K. B., & Raje, K. V. (2000). Airway accidents in intubated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n epidemiological study. Critical Care Medicine, 28 (3), 659-664. http://dx.doi.org/10.1097/00003246-200003000-00010 

  17. Kim, H. J. (2005).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 of unplanned extubation in M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8. Kim, J. S., Lee, E. S., & Park, J. H. (2009). Effects on unplanned extubation, oral mucosa and facial skin integrity of new method to secure endotracheal tub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 (3), 49-59. 

  19. Lee, J. J., Lee, K. M., Lee, Y. B., In, B. M., Um, D. J., & Choi, R. (1996). Unplanned extubation and factors affecting reintubation in ICU patients. Korean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11 (2), 179-183. 

  20. Lee, K. O., Shin, H. J., Park, H. A., Jeong, H. M., Lee, M. H., Choi, E. H., et al. (2000).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in a medical ICU using APACHE III and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5), 1243-1252. 

  21. Lorraine, C. M., Ann, F. M., Rosanne, M. L., Catherine, D. C., & Mary, E. J. (2007). Patient-initiated device removal in intensive care units: A national prevalence study. Critical Care Medicine, 35 (12), 2714-2720. http://dx.doi.org/10.1097/01.CCM.0000291651.12767.52 

  22. Lovich-Sapola, J. A. (2009). Anesthesia oral board review.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Mion, L. C., Minnick, A. F., Leipzing, R. M., Catrambone, C. D., & Johnson, M. (2007). Patient-initiated removal in intensive care units: A national prevalence study. Critical Care Medicine, 35, 2714-2720. http://dx.doi.org/10.1097/01.CCM.0000291651.12767.52 

  24. Moons, P., Sels, K., De Becker, W., De Geest, S., & Ferdinade, P. (2004). Development of a risk assessment tool for deliberate self-extubation in intensive care patients. Intensive Care Medicine, 30, 1348-1355. 

  25. Patel, S. B., & Kress, J. P. (2012). Sedation and analgesia in the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5, 486-497. http://dx.doi.org/10.1164/rccm.201102-0273CI 

  26. Reishtein, J. L. (2005). Sleep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7 (3), 251-255. http://dx.doi.org/10.1016/j.ccell.2005.04.004 

  27. Richmond, A. L., Jarog, D. L., & Hanson, V. M. (2004). Unplanned extubation in adult critical care: Quality improvement and education payoff. Critical Care Nurse, 24, 32-37. 

  28. Thomason, J. W., Shintani, A., Peterson, J. K., Pun, B. T., Jackson, J. C., & Ely, E. W. (2005). Intensive care unit delirium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longer hospital stay: A prospective analysis of 261 non ventilated patients. Critical Care, 9, 375-381. http://dx.doi.org/10.1186/cc3729 

  29. Tung, A., Tadimeti, L., Caruana-Montaldo, B., Atkins, P. M., Mion, L. C., Palmer, R. M., et al. (2001). The relationship of sedation to deliberate self-extubation.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13 (1), 24-29. http://dx.doi.org/10.1016/S0952-8180(00)00237-3 

  30. Yeh, S. H., Lee, L. N., Ho, T .H., Chiang, M. C., & Lin, L. W. (2004). Implications of nursing care in the occurrence and consequences of unplanned extubation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1 (3), 255-262. http://dx.doi.org/10.1016/S0020-7489 (03)0013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