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이 중환자실 환자의 비계획적 발관 및 구강.안면 피부 통합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otated Endotracheal Tube Fixation Method on Unplanned Extubation, Oral Mucosa and Facial Skin Integrity in ICU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1, 2012년, pp.116 - 124  

최영순 (강릉아산병원 간호팀.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채영란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compare effects of two endotracheal tube (ET tube) fixation methods (rotated fixation versus conventional) on unplanned extubation and skin integrity for orally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기관내관 삽관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기관내관 고정방법을 적용한 대조군과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비계획적 발관율과 구강 및 안면 피부손상정도를 비교한 비동등성 대조군 반복측정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관내관 삽관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을 적용하여 비계획적 발관율과 구강 및 안면 피부손상에미치는효과를규명하는것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관내관 삽관중인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의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다음과같다.
  • 그러므로 고정기구 사용에 따른 불편감이 적으면서 기관내관 고정으로 인해 초래되는 구강 및 안면 피부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관내관 고정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특정 고정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기관내관 고정 테이프의 위치를 계획적으로 순환하는 방법인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을 개발하여그효과를검증하고자한다.

가설 설정

  •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을 적용한 실험군의 구강손상 점수는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을 적용한 실험군의 비계획적 발관율은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을 적용한 실험군의 안면피부손상 점수는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안면피부손상 점수의 변화양상은 시간경과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을 적용한 실험군의 구강손상 점수는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 가설 1.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을 적용한 실험군의 비계획적 발 관율은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 가설 3.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을 적용한 실험군의 안면피부손상 점수는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 가설 4.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구강손상 점수의 변화양상은 시간경과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5.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안면피부손상 점수의 변화양상은 시간경과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에서 기관내관은 무엇을 목적으로 삽입되는가? 중환자실에서 기관내관은 폐의 환기 유지, 기도 폐쇄 예방, 인공호흡기를 통한 환기 보조, 위 내용물로부터의 기도 보호, 폐 세척을 위한 기구 삽입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삽입된다. 기관내관은 폐 기능과 혈액학적 기능을 포함한 전신상태가 호전 되면 제거하게 된다.
기관내관 삽관중인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의 효과를 규명하는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이 비계획적 발관율에 미치는 효과를파악한다. 둘째,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이 구강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셋째, 기관내관 순환고정방법이 안면피부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기관내관은 어떤 상황일 때 제거하게 되는가? 중환자실에서 기관내관은 폐의 환기 유지, 기도 폐쇄 예방, 인공호흡기를 통한 환기 보조, 위 내용물로부터의 기도 보호, 폐 세척을 위한 기구 삽입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삽입된다. 기관내관은 폐 기능과 혈액학적 기능을 포함한 전신상태가 호전 되면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치료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격앙된 환자가스스로 삽관을 제거하거나 환자를 움직이는 간호수기를 수행하는 도중 기관내관이 빠져버리는 비계획적 발관이 국내 중환자실에서 3-10% 정도 보고 되고 있으며, 비계획적 발관의 85% 이상이 자가 발관(selfextubation) 의 형태이었다(Choi & Kim, 2002; Kim, 2004; Kim, Lee, & Park, 2009; Koo,Koh,&Kwon, 2003; Lee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rnason, S., Graham, J., Wild, M. C., Jensen, L. B., Rasmussen, D., Schulz, P., et al. (1998). Comparison of two endotracheal tube securement techniques on unplanned extubation, oral mucosa, and facial skin integrity. Heart & Lung, 27, 409-417. 

  2. Birkett, K. M., Southerland, K. A., & Leslie, G. D. (2005). Reporting unplanned extubatio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1, 65-75. 

  3. Carlson, J., Mayrose, J., Krause, R., & Jehle, D. (2007). Extubation force: Tape versus endotracheal tube holder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50, 686-691. http://dx.doi.org/10.1016/j.annemergmed.2007.05.013 

  4. Chang, L. Y., Wang, K. W., & Chao, Y. F. (2008). Influence of physical restraint on unplanned extubation of adult intensive care patients: A case-control stud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7, 408-415. 

  5. Choi, E. H., Kim, I. H., Park, M. H., & Lee, I. Y. (2006). The comparison of the unplanned extub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for fixing the endotracheal tube. Clinical Nursing Research, 12(2), 7-16. 

  6. Choi, Y. K., & Kim, K. S. (2002).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 of un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 in ICU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9(1), 74- 89. 

  7. De Leyn, P., Bedert, L., Delcroix, M., Depuydt, P., Lauwers, G., Sokolov, Y., et al. (2007). Tracheostomy: Clinical review and guidelines. European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32, 412-421. http://dx.doi.org/10.1016/j.ejcts.2007.05.018 

  8. Eilers, J., Berger, A. M., & Petersen, M. C. (1988). Development testing and application of the oral assessment guide. Oncology Nursing Forum, 15, 325-330. 

  9. Esteban, A., Anzueto, A., Alia, I., Gordo, F., Apezteguia, C., Palizas, F., et al. (2000). How is mechanical ventilation employ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 international utilization review.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61, 1450-1458. 

  10. Grap, M. J., Glass, C., & Lindamood, M. O. (1995). Factors related to unplanned extubation of endotracheal tubes. Critical Care Nurse, 15(2), 57-65. 

  11. Jung, Y. Y. (1996). Reliability testing of an oral assessment guide for patients receiving stomatoxic treatment.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0(1), 45-51. 

  12. Kaplow, R., & Bookbinder, M. (1994). A comparison of four endotracheal tube holders. Heart & Lung, 23, 59-66. 

  13. Kim, H. S. (2004).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 of unplanned extubation in M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4. Kim, J. S., Lee, E. S., & Park, J. H. (2009). Effects on unplanned extubation, oral mucosa, and facial skin integrity of new method to secure endotracheal tube.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49-59. 

  15. Ko, I. S., Kim, S. J., Park, H. A., Song, K. A., Shin, K. L., Oh, G. S., et al. (2009). The lippincott manual of nursing practice (8th ed.). Seoul: Hyunmoonsa. 

  16. Koo, B. N., Koh, S. O., & Kwon, T. D. (2003). Predictors for reintubation after un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 in multidisciplinary intensive care unit. The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18, 20-25. 

  17. Lee, J. J., Lee, K. M., Lee, Y. B., In, B. M., Um, D. J., & Choi, R. (1996). Unplanned extubation and factors affecting reintubation in ICU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11, 179-183. 

  18. Levy, H., & Griego, L. (1993). A comparative study of oral endotracheal tube securing methods. Chest, 104, 1537-1540. 

  19. Lewis, R. J. (1992). Tracheostomies: Indications, timing, and complications. Clinics in Chest Medicine, 13, 137-149. 

  20. Listello, D., & Sessler, C. N. (1994). Unplanned extubation: Clinical predictors for reintubation. Chest, 105, 1496-1503. 

  21. Lucas da Silva, P. S., & de Carvalho, W. B. (2010). Unplanned extubation in pediatric critically ill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best practice recommendations.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11, 287-294. http://dx.doi.org/10.1097/pcc.0b013e3181 b80951 

  22. Murdoch, E., & Holdgate, A. (2007). A comparison of tape-tying versus a tube-holding device for securing endotracheal tubes in adults. Anaesthesia and Intensive Care, 35, 730-735. 

  23. Owen, R., Castle, N., Hann, H., Reeves, D., Naidoo, R., & Naidoo, S. (2009). Extubation force: A comparison of adhesive tape, non-adhesive tape and a commercial endotracheal tube holder. Resuscitation, 80, 1296-1300.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9.08.007 

  24. Richmond, A. L., Jarog, D. L., & Hanson, V. M. (2004). Unplanned extubation in adult critical care: Quality improvement and education payoff. Critical Care Nurse, 24(1), 32-37. 

  25. Treloar, D. M., & Stechmiller, J. K. (1995). Use of a clinical assessment tool for orally intubated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4, 355-360. 

  26. Yeh, S. H., Lee, L. N., Ho, T. H., Chiang, M. C., & Lin, L. W. (2004). Implications of nursing care in the occurrence and consequences of unplanned extubation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1, 255-262. http://dx.doi.org/10.1016/s0020-7489-(03)0013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