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복사나무(Prunus davidiana (Carriere) Franch.) 열매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Solvent Fraction from Prunus davidiana (Carriere) Franch. Frui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0, 2012년, pp.1363 - 1370  

김원백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소해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혜선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우정윤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혜련 (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  황대연 (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  최지혜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  이희섭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복사나무 열매 과육부를 80% 메탄올 추출물과 이를 극성과 비극성에 따른 순차적 분획물에 대하여 DPPH 소거능, nitrite 소거능, 총항산화능 및 총플라보노이드, 총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 소거능의 $IC_{50}$ 값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부탄올 분획이 $5.8{\pm}0.1{\mu}g/mL$, $8.1{\pm}0.2{\mu}g/m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nitrite 소거능 역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부탄올 분획의 $IC_{50}$ 값이 $88.1{\pm}0.9{\mu}g/mL$, $134.8{\pm}1.0{\mu}g/m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항산화능(TEAC)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6.21{\pm}0.01$ mM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scorbic acid, BHA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항산화능을 보였다. 총플라보노이드와 총폴리페놀 함량 역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부탄올 분획에서 $244.5{\pm}1.4$, $138.1{\pm}0.3$ mg/g과 $210.2{\pm}3.9$, $198.5{\pm}1.9$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tyrosinase 저해활성의 $IC_{50}$ 값도 $0.310{\pm}0.002$, $0.329{\pm}0.006$ mg/mL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부탄올 분획의 활성이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산복사나무 열매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부탄올 분획은 높은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천연항산화제 및 미백제로서 활용이 가능함을 시사하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기능성 소재 개발에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methanol extract and its organic solvent fractions were prepared from Prunus davidiana (Carriere) Franch. fruit. Antioxidative activities, poly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evaluated. Among the fractions,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러 연구결과에 의하면 추출에 사용된 용매의 극성이 증가할수록 유용성분의 추출률이 높아지며 물 추출물보다는 aqueous methanol과 ethanol을 사용하였을 경우 추출물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2,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80% 메탄올을 초기 추출용매로 선택한 후 이를 극성에 따른 다양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분획 추출함으로써 여러 가지 활성 성분을 추출하고, 산복사나무 열매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의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 산복사나무 열매는 민간에서 널리 사용되며 식생활 속에 깊이 파고들어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복사나무 열매가 가지는 항산화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산복사나무 열매를 메탄올로 추출 후 용매의 극성을 이용한 분획 추출을 통해 그 활성이 우수한 분획층을 검색하여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복사나무 열매는 어떻게 불리며 어떤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가? )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가 6 m에 달하고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핵과(核果)는 난상 원형이며 털이 많고 지름이 5 cm 정도의 크기로 된다(1). 산복사나무의 열매는 개복숭아 또는 돌복숭아라고 불리고 있으며, 주성분은 수분과 당분으로 주석산, 사과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말산와 개미산, 초산, 타르타르산 등의 에스테르와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및 펙틴 등도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육에는 유리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아스파르트산 함량이 높다(2-4). 또한 단백질, 지질, 당질, 회분, 칼슘, 인, 철분, 나트륨, 칼륨, 비타민 A, B1, B2, C, E 등이 함유되어 있다(5).
산복사나무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산복사나무(P runus davidiana (Carriere) Franch.)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가 6 m에 달하고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핵과(核果)는 난상 원형이며 털이 많고 지름이 5 cm 정도의 크기로 된다(1). 산복사나무의 열매는 개복숭아 또는 돌복숭아라고 불리고 있으며, 주성분은 수분과 당분으로 주석산, 사과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말산와 개미산, 초산, 타르타르산 등의 에스테르와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및 펙틴 등도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육에는 유리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아스파르트산 함량이 높다(2-4).
본 실험에 사용된 건조한 산복사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는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2, Whatman, Maidstone, UK)로 여과하였고, 얻어진 여액은 감압농축기(EYELA, N-1100 series, Tokyo, Japan)에서 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 40 g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 후, 현탁액과 헥산을 1:1 비율로 분획 깔대기에 넣고 헥산층과 물층으로 분획하였고, 헥산층을 다시 감압 농축하여 2 g을 얻었다. 이상의 동일한 과정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로 순차적으로 가하여 각각 7 g, 19 g, 68 g의 분획물을 얻은 후 동결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한 뒤 실험에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Park JH, Lee JK. 2000. Encyclopedia of herbal medicine. Shinilbooks, Seoul, Korea. p 177-179. 

  2. Lee HB, Yang CB, Yu TJ.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fruit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 (I). Korean J Food Sci Technol 4: 36-43. 

  3. Lee DS, Woo SK, Yang CB.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ajor fruits in Korea-On non-volatile organic acid and sugar contents of apricot (maesil), peach, grape, apple and pear and its seasonal var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 134-139. 

  4. Song JH, Son MA, Kim MH. 1992. Comparison of the cell wall components and polygalacturonase activity in peach types. Korean J Food & Nutrition 5: 111-115. 

  5. Seo MH, Lee YM. 2000. Common trees in Korea (3) . Hyeonam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46-147. 

  6. Cha BC, Lee EH. 2004.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tree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289-294. 

  7. Yoon IH, Seo BI, Kim SH. 1996. The effect of Persicae semen on the atherosclerosis in rabbit. J Herbology 11: 79-98. 

  8. Kim DH, Lee KS, Song BK. 2000. A study on the analgesic and anticoagulative effects of Persicae semen and Carthami flos of aqua-acupuncture. J Oriental Gynecol 13: 60-73. 

  9. Lee JY, Hong SG, Choi SW. 2000. Inhibition of enzymatic browning of apple juices by benzoic acid isolated from peach (Prunus persica Batsch) seed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03-107. 

  10. Kim JK, Park TW, Lee CJ, Chai YG. 1999. Evaluation of protective effect of peach kernel extracts on radiation-induced DNA damage in human blood lymphocytes in the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assay. J Korean Asso Radiat Prot 24: 93-99. 

  11. Kim HS. 2004. Effects of the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lipid compositions and enzyme activities in hyperlipidemic rats. Korean J Food Nutr 17: 328-336. 

  12. Kim HS. 2004. Effects of the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mponent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Nutr 17: 337-345. 

  13. Kim HS. 2005. Effect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free fatty acid, creatine phosphokinase and LCAT activities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Korean J Food Nutr 18: 265-271. 

  14. Kim HS. 2005. The effect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hot-water extract on the lipid peroxide and creatine phosphokin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Nutr 18: 272-278. 

  15. Hatano T, Edamatsu R, Hiramatsu M, Mori A, Fujita Y, Yasugara T, Yoshida T, Okuda T. 1989. Effects of the interaction of tannins with co-existing substances, VI.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 Pharm Bull 37: 2016-2021. 

  16. Kato H, Lee IE, Cheyen NV, Kim SB, Hay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17. Kim DA, Ahn BW, Yeum DM, Lee DH, Kim SB, Park YH.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Bull Korean Fish Soc 20: 463-468. 

  1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x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9.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20. Xu ML, Hu JH, Wang L, Kim HS, Jin CW, Cho DH. 2010. Antioxidant and anti-diabetes activity of extracts from Machilus thunbergii S. et Z.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 34?39. 

  21. Kim SS, Hyun CG, Lee JS, Lim JH, Kim JY, Park DH. 2007. In vitro screening of Jeju medicinal plants for cosmeceutical materials. J Appl Biol Chem 50: 215-220. 

  22. Duh PD, Yeh DB, Yen GC. 1992.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component from peanut hull. J Am Oil Chem Soc 69: 818-819. 

  23. Bałasinska B, Troszynska A. 1998. Total antioxidative activity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paradoxa) cake extract measured in vitro by liposome model and murine L1210 cells. J Agric Food Chem 46: 3558-3563. 

  24. Lee KS, Kim GH, Kim HH, Choi JW, Lee HC, Song MR, Kim MR, Lee GH.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riope platyphylla tubers by drying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104-1110. 

  25. Jeon HR, Kim MH, Son CW, Kim MR.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city of calcium-added gallic yangga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95-200. 

  26. Choi SY, Cho HS, Sung NJ. 2006.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61-966. 

  27. Kim MS, Kim KH, Jo JE, Choi JJ, Kim YJ, Kim JH, Jang SA, Yook HS. 2011.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7-55. 

  28. Min KJ, Song JW, Cha CG. 2008. The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of Agrimonia pilosa. J Fd Hyg Safety 23: 149-156. 

  29. Yoon JH, Yang DC, Song WS. 2005.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 et Zucc.). Korea J Plant Res 8: 188-193. 

  30. Kim KH, Kim DM, Yu S, Yook HS. 2012.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Korean unripe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56-160. 

  31. Swann PF. 1975. The toxicology of nitrate, nitrite and n-nitroso compounds. J Sci Food Agric 26: 1761-1770. 

  32. Park HS. 2011.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wild grape seed (Vitis coignetiea seed) extracts by solvents. Korean J Culinary Res 17: 270-279. 

  33. Kim AR, Lee JJ, Jung HO, Lee MY. 2010.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J Life Sci 20: 40-48. 

  34. Lee JJ, Ha JO, Lee MY. 2007. Antioxidaive activity of lotus root (Nelumbo nucifera G.) extracts. J Life Sci 17: 1237- 1243. 

  35. Hassas-Roudsari M, Chang PR, Pegg RB, Tyler RT. 2009. Antioxidant capacity of bioactives extracted from canola meal by subcritical water,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ion. Food Chem 114: 717-726. 

  36. Labuza TP. 1971. Kinetic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S Crit Rev Food Technol 2: 355-405. 

  37. Chio SY, Cho HS, Sung NJ. 2006.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61-966. 

  38. Choi SY, Lim SH, Kim JS, Ha TY, Kim SR, Kang KS, Hwang IK. 2005.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49-556. 

  39. Cho WG, Han SK, Sin JH, Lee JW. 2008. Antioxidant of heating pork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20-825. 

  40. Lee KS, Gim JC, Son SM, Lee KY. 2011. Antioxidative effect of Suaeda japonica ethanol extract and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804-808. 

  41. Kim DM, Kim KH, Kim YS, Koh JH, Lee KH, Yook HS.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smetic materials using unripe peaches seed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10-115. 

  42. Jeon YH, Kwon JE, Kim MR. 2010. Study on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in ethanol extract from Prunus mum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51-758. 

  43. Hetog MGL, Hollman PCH, Katan MB. 1992. Content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of 28 vegetables and 9 fruits commonly consumed in the Netherlands. J Agric Food Chem 40: 2379-2383. 

  44. Kim JY, Yoon WJ, Yim EY, Park SY, Kim YJ, Song GP. 2011.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4: 200-207. 

  45. Hearing VJ, Jimenez M. 1987. Mammalian tyrosinase the critical regulatory control point in melanocyte pigmentation. Int J Biochem 19: 1141-1147. 

  46. Jung SW, Lee MK, Kim SJ, Han D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47. Boissy RE, Manga P. 2004. On the etiology of contact/occupational vitiligo. Pigment Cell Res 17: 208-214. 

  48. Sugumaran M. 2002. Comparative biochemistry of eumelanogenesis and the protective roles of phenoloxidase and melanin in insects. Pigment Cell Res 15: 2-9. 

  49. Kim YJ, Uyama H. 2005. Tyrosinase inhibitors from natural and synthetic sources: Structure, inhibition mechanism and perspective for the future. Cell Mol Life Sci 62: 1707-1723. 

  50. Kim HH, Park GH, Park KS, Lee JY, Kim TH, An BJ. 2010. The effect of Aster glehni Fr. Schm. extracts on whitening and anti-wrinkle. J Life Sci 20: 1034-10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