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마선 조사 처리가 가속저장 오징어순대의 저장성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Shelf-Life and Sensory Scores of Squid Sundae under Accelerated Storage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0, 2012년, pp.1441 - 1447  

김현지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꽃봉우리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선우찬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슬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다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희예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재훈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  이주운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  도상룡 (바다식품) ,  변명우 (우송대학교 외식조리영양학부) ,  안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 처리한 오징어순대를 $37^{\circ}C$의 가속저장 조건에 저장하면서 오징어순대의 저장 안정성과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평가하였다. 감마선은 10 및 20 kGy의 선량으로 각각 조사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35일간 저장하며 오징어순대의 일반 세균수를 측정한 결과, 4일차 이후에 비조사구 및 10 kGy 조사구의 경우 심하게 부패되어 실험을 진행할 수 없었으나 20 kGy의 경우 35일차까지 균이 검출되지 않아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pH는 저장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6.90~7.17의 값을 보여 큰 변화가 없었다. 휘발성 염기질소(VBN) 함량 또한 앞선 일반 세균수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20 kGy 조사처리 시 35일차에도 29.12 mg%로 초기부패에 이르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산화도의 경우, 비조사구 및 10 kGy 조사처리구는 4일차 이후 시료가 심하게 부패되어 실험을 진행할 수 없었으나 20 kGy 조사처리구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0.32~0.41 mg MDA/kg으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Rancimat를 이용하여 산화안정도를 측정한 결과, 비조사구의 경우, 4일차에 유도기간이 상당히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으나 20 kGy 조사 처리구의 경우 35일차에도 0일차와 비교 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관능평가에서는 0일차에는 모든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35일차에서는 0 및 10 kGy의 경우 이미 부패되어버려 관능평가를 실시할 수 없었으며, 20 kGy의 경우 관능평가를 실시할 수는 있었으나 전체적 호감도 및 다른 항목에서 관능적 특성이 저하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0 및 10 kGy가 4일만에 부패되었으나 20 kGy 조사 처리구의 경우, 35일까지 저장성이 지속된 것을 고려해볼 때 오징어순대에 20 kGy 감마선 조사 처리가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37^{\circ}C$ 저장 시 1개월 이상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장기 저장을 위한 고선량 조사 적용을 위해 고선량 조사 시 관능적 특성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식품가공 방법과의 병용 처리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shelf-life and sensory scores of squid Sundae under accelerated storage conditions. Squid Sundae was stored at $37^{\circ}C$ for 35 days following gamma irradiation at doses of 0, 10, and 20 kGy. For total viab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 처리를 통해 오징어순대의 장기간 저장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현재 10 kGy 이하의 조사선량이 미흡하다는 기술적 문제점이 많이 보고되었고(27) 완전 살균과 장기저장을 위해서는 10 kGy 이상의 고선량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고됨(27)에 따라 처리 구를 국내 감마선 조사 허용기준치인 10 kGy 및 충분한 저장성 증진 효과를 보기 위해 20 kGy 조사 처리구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오징어순대의 장기저장성을 단시간에 평가하기 위해 제조된 오징어순대에 10 및 20 kGy로 방사선 처리를 한 후 37˚C에서 저장하면서 감마선 조사된 오징어순대의 저장 안정성과 기호성을 조사하여 감마선 조사기술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 처리한 오징어순대를 37˚C의 가속저장 조건에 저장하면서 오징어순대의 저장 안정성과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평가하였다. 감마선은 10 및 20 kGy의 선량으로 각각 조사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 대부분의 수산물은 어획 후 선도가 저하되면 어육 중에 존재하는 환원계 효소나 세균의 작용에 의해 TMAO(trimethylamineoxide)가 환원되어 생성되는 TMA(trimethylamine) 등의 저급 염기성물질의 생성 및 세균의 증식에 의해 단백질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암모니아 질소 등에 의해 휘발성 염기질소(VBN) 함량이 증가하게 된다(36). 이에 본 연구에서는 VBN 측정을 통해 감마선 조사 처리가 오징어순대의 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Table 3). 처리 직후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20 kGy 처리구가 9.

가설 설정

  • 1)Means in the same row (A,B) and column (a,b) bearing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1)Means in the same row (A-C) and column (a,b) bearing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1)Means in the same row (A-C) and column (a-c) bearing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Bar indicates no determination of VBN because of spoilag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의 변패 및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오징어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피로회복 및 숙취해소에 효과적인 타우린, 항균 및 항암효과가 우수한 다당류 illexin, 방부작용을 갖는 멜라닌색소 그리고 불포화지방산인 eicosa pentanoic acid(EPA)와 docosa hexanoic acid(DHA) 등 각종 영양분을 다량 함유한 대표적인 영양기호식품이다(4). 일반적으로 식품의 변패 및 손실은 온도, pH, 수분 등의 물리화학적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주로 미생물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발생한다(5,6). 특히 오징어는 높은 수분 함량으로 인해 미생물로 인한 품질 변화가 빨라 쉽게 변질 및 부패하는 식품 중 하나이다.
오징어의 특징은? 오징어(Todarodes pacificus)는 독특한 조직감과 풍미로 인해 기호성이 높아 예로부터 한국, 일본,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이용되어 온 주요 수산물 중의 하나이다 (1-3). 오징어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피로회복 및 숙취해소에 효과적인 타우린, 항균 및 항암효과가 우수한 다당류 illexin, 방부작용을 갖는 멜라닌색소 그리고 불포화지방산인 eicosa pentanoic acid(EPA)와 docosa hexanoic acid(DHA) 등 각종 영양분을 다량 함유한 대표적인 영양기호식품이다(4). 일반적으로 식품의 변패 및 손실은 온도, pH, 수분 등의 물리화학적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주로 미생물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발생한다(5,6).
식품의 저장성 개선을 위한 살균 처리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현재 식품의 저장성 개선을 위해 주로 이용되고 있는 살균 처리 기술에는 가열 처리나 자외선 조사, 훈증제 처리, 화학 약품 처리, microwave 처리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살균 처리 기술은 고온에 의한 식품의 일반 성분의 변화 및 손실을 가져오거나 화학 성분의 잔류 및 유해 물질의 생성에 따른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고 또한 미생물 살균 효과도 떨어져 효과적인 대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7). 최근 식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및 품질의 향상을 고려하여 pulsed electric field(PEP)(8), ultraviolet(UV)(9), irradiation(10), ultrasound(11), ozone(12), ohmic heating(13), high pressure processing(HPP)(14) 등의 비가열처리 기술이 응용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방사선 조사기술이 식품의 안전한 저장 및 유통을 위한 매우 효과적인 기술로서 최근에 관심을 모으고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Yang SY, Lee NH, Hong SP, Bang HA. 1999. Effects of propolis treatment on the quality of dried squi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56-360. 

  2. Hong JH, Bae DH, Lee WY.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squid (Todarodes pacificus) by cold air drying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35-641. 

  3. Benjakul S, Visessanguan W, Tanaka M, Ishizaki S, Taluengphol A, Chichanan U. 2000.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dried squid as affected by alkaline treatments. J Sci Food Agric 80: 2142-2148. 

  4. Gou JY, Zou YY, Choi GP, Park YB, Ahn JH. 2011. Effect of high pressure processing on the shelf life of seasoned squi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36-1140. 

  5. Parish ME, Sadler GD, Wicker L. 1990. Viabil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in orange juice under low pH and temperature conditions. J Food Sci 55: 1023-1025. 

  6. Wei CI, Chen CM, Koburger JA, Otwell WS, Marshall MR. 1990. Bacterial growth and histamine production on vacuum packaged tuna. J Food Sci 55: 59-63. 

  7. Van Calenberg S, Van Cleemput O, Mondelaers W, Huyghebaert A. 1999. Comparison of the effect of X-ray and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tuffs. LWT-Food Sci Technol 32: 372-376. 

  8. Vega-Mercado H, Martin-Belloso O, Qin BL, Chang FJ, Gongora-Nieto M, Barbosa-Canovas GV, Swanson BG. 1997. Non-thermal food preservation: Pulsed electric fields. Trends Food Sci Tech 8: 151-157. 

  9. Begum M, Hocking AD, Miskelly D. 2009. Inactivation of food spoilage fungi by ultra violet (UVC) irradiation. Int J Food Microbiol 129: 74-77. 

  10. Smith JS, Pillai S. 2004. Irradiation and food safety. Food Technol 58: 48-55. 

  11. Piyasena P, Mohareb E, McKellar RC. 2003. Inactivation of microbes using ultrasound: a review. Int J Food Microbiol 87: 207-216. 

  12. Selma MV, Beltran D, Allende A, Chacon-Vera E, Gil MI. 2007. Elimination by ozone of Shigella sonnei in shredded lettuce and water. Food Microbiol 24: 492-499. 

  13. Leizerson S, Shimoni E. 2005. Stability and sensory shelf life of orange juice pasteurized by continuous ohmic heating. J Agric Food Chem 53: 4012-4018. 

  14. Matser AM, Krebbers B, van den Berg RW, Bartels PV. 2004. Advantages of high pressure sterilization on quality of food products. Trends Food Sci Technol 15: 79-85. 

  15. WHO. 1981. Wholesomeness of irradiated food. Report of joint FAO/IAEA/WHO Expert Committee. Technical Report Series-659. p 34. 

  16. Lee SJ, Song EJ, Kim KBWR, Yoon SY, Lee CJ, Jung JY, Park NB, Kwak JH, Park JG, Kim JH, Choi JI, Lee JW, Byun MW, Ahn DH. 2010.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antioxidant,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argassum thunbergii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31-437. 

  17. Byun MW, Yook HS, Jo SK, Chong YJ. 1996. Status and prospects of food irradiation technology in Korea. J Food Sci Nutr 1: 262-268. 

  18. Kim DM, Kim KH, Sung NY, Jung PM, Kim JS, Kim JK, Kim JH, Choi JI, Song BS, Lee JW, Kim JK, Yook HS. 2011.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extraction yield and whitening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12-716. 

  19. Khattak KF, Simpson TJ. 2010.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antimicrobial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lycyrrhiza glabra root. Radiat Phys Chem 79: 507-512. 

  20. Kim MS, Kim KH, Yook HS. 2009.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cv Dangeum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64-371. 

  21. Jeon TW, Park JH, Shin MG, Kim KH, Byun MW. 2003.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biological activities and color changes of extracts of Schizandrae fruc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7-142. 

  22. Lee JW, Jo CH, Yook HS, Cha BS, Kim MC, Byun MW. 2002. Application of gamma irradiation for prolonging shelflife of semi-dried squid (Todarodes pacific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469-474. 

  23. Oh SH, Kim JH, Lee JW, Lee YS, Park KS, Kim JG, Lee HK, Byun MW. 2004.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gamma irradiation and addition of rosemary extract powder on ready-to-eat hamburger steaks: I.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helf-lif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687-693. 

  24. Moon KD, Kim HK, Jo KS, Park MH. 1992. Prediction of shelf-life and changes of quality attributes in packaged composite seasoning during storage. J Korean Agric Chem Soc 35: 281-285. 

  25. Lee KY, Kim HS, Lee HG, Han O, Chang UJ. 1997.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the shelf-life of Kochujang through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nalyse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588-594. 

  26. Han KS, Lee EJ, Hong SP. 2005.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commercially sterilized Korean soups using accelerated experim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49-154. 

  27. Roberts T, Unneverhr L. 1994. New approaches to regulating food safety. Food Rev 17: 2-8. 

  28. KFDA. 2002. Official Book for Food.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221-222. 

  29.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52: 302-310. 

  30. Lee YC, Kim SH, Oh SS. 2001.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Bulgogi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27-332. 

  31. Kim YS, Kim HJ, Yoon YH, Shin MG, Kim CJ, Shin MH, Lee JW. 2010. Antimicrobial effects of retort and gamma irradiation on bacterial populations in spicy chicken sauc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141-147. 

  32. Kang SG, Park NH, Ko DO, Li JL, Kim BS, Park YK. 2011.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 gamma irradiation on quality and microbiological changes of Kochujang-Gulbi. Korean J Food Preserv 18: 1-6. 

  33. Kwon JH, Byun MW, Cho HO. 1983. Preservation of meat products by irradiation I. storage of ham.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364-369. 

  34. Jin SK, Kim IS, Hah KH, Park KH, Kim IJ, Lee JR. 2006. Changes of pH, acidity, protease activity and microorganism on sauces using a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159-165. 

  35. Lee KA, Kim MJ.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rradiated chicken. J Kor Living Sci Ass 13: 91-96. 

  36. Song HN, Lee DG, Han SW, Yoon HK, Hwang IK. 2005. Quality changes of salted and semi-dried mackerel fillets by UV treatmen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662-668. 

  37. Song BS, Park JG, Kim WG, Kim JH, Choi JI, Yoon YH, Byun MW, Kim CJ, Lee JW. 2009.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gamma ray- or electron beam-irradiated minced pork and pork patti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9: 194-202. 

  38. Al-Bachir M, Mehio A. 2001. Irradiated luncheon meat: microbiological,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Food Chem 75: 169-175. 

  39. Kim JY. 2008. Food materialization of spent coffee ground extracts and variation of coffee antioxidant ability according to extraction process.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40. Smith NL, Tinsley IJ, Bubl CE. 1960. The thiobarbituric acid test in irradiation sterilized beef. Food Technol 14: 317-320. 

  41. Nam HS, Yang JS. 2001. Changes of free radical concentration with irradiation dose and storage time in gamma-irradiated dried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54-857. 

  42. Ahn DU, Jo C, Du M, Olson DG, Nam KC.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irradiated and stored in different packaging and storage conditions. Meat Sci 56: 203-209. 

  43. Lee HS, Kim HJ, Choi JI, Kim JH, Kim JG, Chun BS, Ahn DH, Chung YJ, Kim YJ, Byun MW, Lee JW.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cooking drips of Thunnus thynnus by gamma irradi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10-8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