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운율구 경계짓기와 억양패턴
Prosodic Phrasing and Intonation Patterns in the Speech of 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1 no.7, 2012년, pp.461 - 471  

정진숙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자연치료요법학과 임상언어치료 전공) ,  이숙향 (원광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운율구 경계짓기와 억양패턴에 대한 음향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이주여성대상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운율 특성에서 이주집단이 한국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한국집단은 첫 어절을 100% 강세구로 읽은 반면, 이주집단은 거의 억양구로 실현하였으며 이주여성들은 첫 분절음에 따라 달라지는 강세구의 첫 음조의 패턴 습득이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집단보다 훨씬 다양한 첫 어절의 억양패턴들을 보였다. 몇몇 운율 특성에서는 이주집단 간에도 차이를 보였으며 한국에서의 거주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필리핀집단이 베트남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집단에 가까운 특성을 보였다. 문장 내 평균 억양구수는 베트남집단이 필리핀집단보다 많았으며 가부의문문의 문미 경계음조는 필리핀집단은 한국집단처럼 'H%'로만 실현한 반면, 베트남집단은 'H%'뿐만 아니라 'HL%'로도 실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programs for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the acoustic analysis of their prosodic phrasing and intonation pattern. The results showed that immigrant women showed some differences in most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1] 본 연구는 발화속도와 쉼 특성 외에 다른 운율적 특성들은 어떤 양상을 보일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은 한국어의 운율 구조를 어떻게 이해하고 습득하고 있는지를 한국어 운율의 음운론적 기술 모델인 K-ToBI(Korean Tone and Break Indices) 레이블링 규약[12]에 근거한 운율구 경계짓기(prosodic phrasing)와 억양패턴 분석을 통하여 한국여성과 이주여성들 간의 운율 특성 차이를 살펴보고자한다.
  • 즉,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은 한국어의 운율 구조를 어떻게 이해하고 습득하고 있는지를 한국어 운율의 음운론적 기술 모델인 K-ToBI(Korean Tone and Break Indices) 레이블링 규약[12]에 근거한 운율구 경계짓기(prosodic phrasing)와 억양패턴 분석을 통하여 한국여성과 이주여성들 간의 운율 특성 차이를 살펴보고자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이주여성 대상 한국어교육 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억양의 음운론적 모델인 K-ToBI를 기반으로 이주여성과 한국여성 발화의 운율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필리핀집단의 운율 특성을 이해하고 이주여성 대상 한국어교육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11] 본 연구는 발화속도와 쉼 특성 외에 다른 운율적 특성들은 어떤 양상을 보일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은 한국어의 운율 구조를 어떻게 이해하고 습득하고 있는지를 한국어 운율의 음운론적 기술 모델인 K-ToBI(Korean Tone and Break Indices) 레이블링 규약[12]에 근거한 운율구 경계짓기(prosodic phrasing)와 억양패턴 분석을 통하여 한국여성과 이주여성들 간의 운율 특성 차이를 살펴보고자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이주여성 대상 한국어교육 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필리핀여성 4명은 학원과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등 사회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반면, 베트남여성은 다문화센터에서 한국어를 배우며 자국 출신 이주여성들과의 친목활동을 통한 제한된 사회참여를 하고 있었다. 집단 간의 이러한 차이 외에 이주여성 각 집단 내에서 피험자 간 한국어 구사능력이나 언어검사에서 차이를 보이긴 했으나 본 연구의 관심 대상인 운율적 특성에서는 연구자의 청각적 판단 결과 피험자 간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아 집단 간 비교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녹음 당시 한국여성은 전북 출신으로 전북 전주와 익산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필리핀여성은 전북 전주에, 베트남여성은 전북 장수에 거주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머니의 언어능력은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어떤 요인으로 작용하는가? 따라서 이들의 한국어 능력은 자녀들의 언어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들의 언어능력이떨어질경우, 자녀들의 언어발달이 지체되고 또래 아동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2] 어머니의 언어능력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통합언어연령, 언어표현, 언어이해 및 어휘이해력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능력은 단일문화 가정의 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어떠한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능력은 언어능력, 읽기능력, 음운인식능력에서 단일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낮고,[3,4]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이 단일문화가정 아동보다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5]  조음정확도에서 자음정확도가 낮으며 조음명료도에서 단어명료도와 문장명료도가 단일문화가정 아동과 비교해 차이가 있고 발달적인 음운변동의 경우 종성생략 변동에서 언어환경 간 차이가 있었으며,[6]발화길이가 짧고 제한적인 형태소를 사용하였다.[7] 다문화가정 아동과 단일문화가정 아동의 발화속도와 쉼 특성 비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이 단일문화가정 아동보다 말속도, 조음속도 모두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8] 다문화가정 아동이 우리말 강세구 억양패턴은 잘 습득하고 있지만, 음절수가 증가할수록 단일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억양구 수가 증가하고 문미 억양구 경계음조 패턴에서 예/아니요를 묻는 가부의문문의 전형적인 억양패턴을 제대로 습득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9]1)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능력은 어떠한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능력은 언어능력, 읽기능력, 음운인식능력에서 단일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낮고,[3,4]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이 단일문화가정 아동보다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5]  조음정확도에서 자음정확도가 낮으며 조음명료도에서 단어명료도와 문장명료도가 단일문화가정 아동과 비교해 차이가 있고 발달적인 음운변동의 경우 종성생략 변동에서 언어환경 간 차이가 있었으며,[6]발화길이가 짧고 제한적인 형태소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통계청, "결혼이민자 및 자녀의 지역별 현황," 서울: 통계청, 2008. 

  2. 황상심,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 특성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3. 강금화, 황보명, "5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언어, 읽기, 음운인식능력에 관한 연구," 언어치료연구, 19권, 1호, pp. 143-158, 2010. 

  4. 배소영, 김미배,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언어청각장애연구, 15권, 2호, pp. 146-156, 2010. 

  5. 구효진, 박경란, 최진선,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 및 정서?사회성 발달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4권, 3호, pp. 355-374, 2009. 

  6. 권미지,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조음음운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7. 박지윤, 박상희, 석동일,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언어학적 특성 - 형태론적 분석," 언어치료연구, 16권, 2호, pp. 131-145, 2007. 

  8. 이정민, "어머니의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운율 발화의 음향적 특징," 원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9. 최자인,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화속도와 쉼의 음향적 특성,"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10. 류현주, 김향희, 김화수, 신지철,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음성과학, 15권, 3호, pp. 133-144, 2008. 

  11. 황지성, 이숙향,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발화속도와 쉼," 한국음향학회지, 31권 2호, pp. 63-72, 2012. 

  12. S.-A. Jun, "K-ToBI(Korean ToBI) Labelling Conventions, Version 3.0.," unpublished manuscript, UCLA, 2000. 

  13. 이주희, "어머니의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의 단모음 산출에 대한 음향적 특성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