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공간적 풍계에 따른 부산지역 고농도 PM2.5의 일변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Diurnal Variation of High PM2.5 Concentration by Spatio-Temporal Wind System in Busan,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3 no.6, 2012년, pp.469 - 480  

김부경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공학연협동과정) ,  이동인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김정창 (부경대학교 선박실습운영센터) ,  이준호 (부경대학교 선박실습운영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3년(2005. 12. 1-2008. 11. 30) 동안 부산의 $PM_{2.5}$ 대기오염자동관측소(장림동: 공업지역, 좌동: 주거지역) 측정자료 중 고농도 $PM_{2.5}$(24시간 환경기준 $50{\mu}g/m^3$)에 대한 $PM_{2.5}$$PM_{2.5}/PM_{10}$ 농도비의 일변화 특성과 함께 시 공간적 풍계(풍향 및 풍속)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농도 $PM_{2.5}$는 장림동과 좌동 각각 182일 및 27일이었다. 장림동에서 고농도 $PM_{2.5}$의 시간평균농도 및 $PM_{2.5}/PM_{10}$ 농도비의 일변화는 모든 계절에서 오후에 비해 새벽과 오전 및 야간에 높은 비슷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좌동의 여름 주간에 $PM_{2.5}/PM_{10}$ 농도비가 증가하는 것은 해양조건에서 광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이차 입자상물질$PM_{10}$의 거대입자 농도가 미세입자인 $PM_{2.5}$ 농도보다 더 감소하기 때문이다. 시간대별로 시 공간적 풍계(풍향 및 풍속등급)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농도 $PM_{2.5}$는 장림동에서 공업단지의 산업활동에 의한 오염물질 정체와 주변지역의 오염물질 이동에 의해 발생되었다. 좌동에서는 주로 주거와 상업활동으로 인한 지역적 오염물질 정체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iurnal variation of high $PM_{2.5}$ concentration, $PM_{2.5}/PM_{10}$ concentration ratio by spatio-temporal wind system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for high $PM_{2.5}$ concentration (over the 24 hr environmen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ig. 3의 풍향빈도 일변화에서 잠재적 오염원의 계절 및 시간적 영향을 알 수 있지만, 기상요소 중 오염물질의 확산 및 정체 등 고농도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풍속을 함께 고려하여 고농도 발생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풍속과 관련하여 등급을 구분한 내용은 없으며, 미국 EPA에서의 풍속 등급 기준은 6등급으로 미국 29개 대도시의 평균풍속 7 m/s를 감안한 자료이다(강호근, 2010).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PM2.5 측정소의 시간별 농도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PM2.5 대기환경기준(24시간 기준 50 µg/m3)을 초과한 날을 고농도 사례로 선정하고, 지점별 고농도 PM2.5 및 PM2.5/PM10 농도비 일변화 특성과 함께 기상관측 자료(풍향 및 풍속)을 이용한 고농도 PM2.5의 시·공간적 풍계(wind system) 특성을 조사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오염물질 중 입자상 물질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대기오염물질 중 입자상 물질은 입경분포의 크기에 따라 직경 10 µm 이하인 PM10과 직경 2.5 µm 이하인 PM2.5로 구분된다. 직경 2.
대도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농도는 무엇의 영향을 크게 받는가? 5의 성분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와 샘플러를 통해 24시간 이상 채집하여 이온성분 및 중금속성분 등을 분석한 연구(김춘선 외, 1998;전보경 외, 2000; 최금찬 외, 2000; 전보경 외, 2001;김기현 외, 2004; 박기형 외, 2004)들이 있다. 그러나 대도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농도는 지역의 배출원 종류 및 계절에 따른 연료사용량의 변화, 일일주기로 일어나는 오염원, 미기상학적인 변동 등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박기형과 권오열, 2006). 미세먼지 농도를 지배하는 요인으로는 배출원 이외에도 기상현상이 중요하기 때문에(신찬기 외, 1992), 도시지역의 대기질을 지배하는 기상요소들이 오염특성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정보로 제공되어져 왔다(이화운 외, 1999; 김지아 외, 2007; 신문기 외, 2007).
부산과 같은 대도시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부산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오염물질의 직접적인 배출과 관련된 배출원 중 차량 및 철도 등 이동배출원의 경우 출퇴근 시간대에 급증하고, 주거, 상업 및 공업지역 등의 고정배출원은 이용 및 가동시간대에 따라 배출량이 변화한다. 또한 배출된 오염물질은주·야간 기온과 국지순환풍(해륙풍)의 변화로 인해 정체 또는 확산되어 시간에 따라 농도가 변화한다. 그러므로 일정 기간 풍향 및 풍속으로 발생원 추정 또는 기여도를 연구하기보다는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풍계(wind system) 특성을 고려한 입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재수, 2008, 다판단요소를 고려한 최적도로노선 선정 방법론 개발.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공학박사학위논문, 215 p. 

  2. 강호근, 2010, GIS 기반 도로노선의 친환경성 평가. 아주대학교 환경공학과 공학박사학위논문, 182 p. 

  3. 김기현, 강창희, 최금찬, 김영준, 2004, 겨울철 서울과 부산지역의 분진 중 이온분포의 특성연구: 미세와 조대영경간의 비교. 한국분석과학회지, 17, 230-239. 

  4. 김민경, 이화운, 도우곤, 정우식, 2009, Envi-met 모델을 이용한 도심지역 대기오염측정망 주변의 바람장 분석. 한국환경과학화지, 18, 941-952. 

  5. 김지아, 진형아, 김철희, 2007, 부산 지역 미세먼지 농도의 시간변동 특성 및 기상인자 분석을 통한 먼지생성 해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6, 1157-1167. 

  6. 김춘선, 최금찬, 고경숙, 임경택, 1998, 부산시 대기중 질산염의 농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4, 32-37. 

  7. 박기형, 권오열, 2006, 마산과 전주지역의 대기오염농도와 기상인자의 통계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 412-413 

  8. 박기형, 조정구, 전보경, 유수영, 최금찬, 2004, 부산 인근 해안지역에 대한 PM2.5 미세입자의 화학적 성상 및 발생원 추정. 건설.환경연구, 3, 29-39. 

  9. 신문기, 이충대, 하현섭, 최춘석, 김용희, 2007, 기상인자가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3, 322-331. 

  10. 신찬기, 한진석, 김윤신, 1992, 대기오염농도와 기상인자의 관련성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8, 213-220. 

  11. 안준영, 문광주, 김정수, 이민도, 이석조, 김현재, 전하은, 오준, 최진수, 박승명, 박종성, 이상욱, 조정구, 박기형, 이순진, 도화석, 이봉우, 하덕호, 하현섭, 유희종, 서광엽, 김승호, 박선호, 김도순, 2009, $PM_{2.5}$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II). 국립환경과학원, NIER No. 2009-41-1097, 142 p. 

  12. 이형우, 이태정, 김동술, 2009, PMF모델을 이용한 미세분진의 오염원 확인과 기여도 추정: 탄소성분을 이용한 휘발유 및 경유차량 오염원의 분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5, 75-89. 

  13. 이화운, 김유근, 장난심, 이용희, 1999, 부산광역시에서의 $NO_{2}$ 농도 특성 및 기상 영향인자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8, 465-471. 

  14. 이화운, 정우식, 임헌호, 이귀옥, 최현정, 지효은, 이현주, 성경희, 도우곤, 2006, 바람권역 구분을 통한 부산지역 국지바람 분석 - Part I: 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한 바람권역 대분류 -. 한국환경과학회지, 15, 835-846. 

  15. 전병일, 2010, 부산지역 $PM_{10}$ 과 $PM_{2.5}$ 농도의 시간 및 공간적 변화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9, 1013-1023. 

  16. 전보경, 김창환, 최금찬, 2000, 부산지역 $PM_{2.5}$ 와 $PM_{10}$ 임자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p. 143-144. 

  17. 전보경, 서정민, 최금찬, 2001, 부산지역 $PM_{2.5}$ 의 이온 및 미량 금속성분의 화학적 특성.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7, 63-71. 

  18. 최금찬, 유수영, 전보경, 2000, 부산지역의 입자상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6, 41-48. 

  19. 최봉옥, 정종현, 최원준, 손병현, 오광중, 2006, 오염원 및 기상조건에 따른 울산지역의 고농도 대기오염 분포 특성.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2, 324-335. 

  20. 환경부, 2010, 환경부 공고 제2010-294호. 

  21. 황인조, 김동술, Hopke, P.K., 2008, 미국 서부 해안 IMPROVE 측정소에 대한 대기 중 $PM_{2.5}$ 의 오염원 기여도 추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4, 30-42. 

  22. Chow, J.C., Watson, J.G., Lowenthal, D.H., and Richards, W., 2002, Comparability between PM2.5 and Particle Light Scattering Measurement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79, 29-45. 

  23. Chow, J.C., Watson, J.G., Lowenthal, D.H., Park, K., Doraiswamy, P., Bowers, K., and Bode, R., 2007, Continuous and filter-based measurements of PM2.5 nitrate and sulfate at the Fresno Supersit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44, 179-189. 

  24. Hernandez, E.F. and Valero, F., 1992, Ststistical forecast models for daily air particulateiron and lead concentration for Madrid, Spain. Atmospheric Environment, 26B, 107-116. 

  25. Hwang, I.J. and Hopke, P.K., 2006, Comparison of source apportionments of fine particluate matter at two San Jose STN sites. Journal of the Air and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6, 1287-1300. 

  26. Kim, E. and Hopke, P.K., 2004, Comparison between conditional probability function and nonparametric regression for fine particle source directions. Atmospheric Environment, 38, 4667-4673. 

  27. Labban, R., Veranth, J.M., Chow, J.C., Engelbrecht, J.L.P., and Watson, J.G., 2004, Size and geographical variation in $PM_{1}$ , $PM_{2.5}$ and $PM_{10}$ : Source profiles from soils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57, 13-31. 

  28. Li, X., Cao, J., Chow, J.C., Han, Y.M., Lee, S.C., and Watson, J., 2008,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rbonaceous aerosols during dust storms over Xi'an in China.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5, 847-855. 

  29. Mayer, H., 1999, Air pollution in cities. Atmospheric Environment, 33, 4029-40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