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관절 해저로봇 'Crabster'에 작용하는 조류하중 산정 및 유동해석
Flow Analysis around Multi-Legged Underwater Robot "Crabster" to Evaluate Current Loads 원문보기

韓國海洋工學會誌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26 no.5 = no.108, 2012년, pp.47 - 54  

박연석 (목포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김우전 (목포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전봉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스템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urrent loads acting on the multi-legged underwater robot "Crabster" with a variety of incident angles using the ANSYS-CFX package. The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were solved to simulate the fluid flow around Crabs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조류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다양한 입사각으로 작용할 때, 다관절 해저로봇인 Crabster가 받는 유체하중 및 모멘트 산정을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가장 먼저 Crabster의 몸체에 조류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작용할 때 대하여 입사각에 따른 유체하중 및 모멘트 산정을 위한 수치계산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CR200에 작용하는 유체하중 및 모멘트를 산정하기 위하여 총 6개의 case에 대한 수치계산을 수행하였다. CR200에 작용하는 조류의 경우, 해저면 점착조건을 고려한 경계층 유동이 아닌 균일유동으로 가정하였으며 조류의 속도는 입사하는 조류와 해저로봇 작업 수행 시 Walking speed의 상대속도를 고려하여 약 5 knots를 기준으로 실물 크기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CR200의 몸체에 대하여 조류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작용할 때 조류의 입사각에 따른 유체 하중 및 모멘트 변화를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저로봇에 작용하는 유체력 산정 및 유동해석은 어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 해양자원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관점에서 해양탐사와 해양자원의 추출 그리고 환경보호와 같은 넓은 영역에서 해저 로봇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해저 로봇의 활용이 확대됨으로 인해 다양한 해양조건에서 해저 로봇에 작용하는 유체력 산정은 필수적이며 해저 로봇에 작용하는 유체력 산정 및 유동해석은 로봇의 추진력 또는 조정성능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해저 로봇에 장착된 프로펠러는 어떤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는가? 대부분 해저 로봇은 추진력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프로펠러를 사용해왔다. 해저 로봇에 장착된 프로펠러는 오랜 시간 동안 해저 로봇의 추진력을 얻기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됐다. 그러나 우리나라 서해안은 높은 속도의 조류 때문에 프로펠러식 해저 로봇의 활용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다관절 해저로봇은 어떤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개발되었나? 해저 로봇에 장착된 프로펠러는 오랜 시간 동안 해저 로봇의 추진력을 얻기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됐다. 그러나 우리나라 서해안은 높은 속도의 조류 때문에 프로펠러식 해저 로봇의 활용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의 해저 환경에 적합한 신개념 해저로봇 개발에 착수하였다. 다관절 해저로봇은 프로펠러식이 아닌 보행식 로봇으로서 조류 중에서 이동과 자세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Choi, S.K. and Ching, J.C. (1991). "Navier-Stokes Solution of Compllete Turbulent Flow Past Finite Axisymmetric Bodies", AIAA Journal., Vol 29, No 6, pp 998-1001. 

  2. Jagadeesh, P. and Murali, K. (2006). "Investigation of Alternative Turbulence Closure Models for Axisymmetric Underwater Hull Forms", The Journal of Ocean Technology., Vol 1, No 2, pp 37-57. 

  3. Jagadeesh, P., Murali, K. and Idichandy, V.G. (2009).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Hydrodynamic Force Coefficients over AUV Hull Form", Ocean Engineering., Vol 32, No 1, pp 113-118. 

  4. Patel, V.C. and Chen, H.C. (1986). "Flow over Tail and in Wake of Axisymmetric Bodies", Journal of Ship Research., Vol 30, No 3, pp 202-314. 

  5. Sayer, P. (1996). "Hydrodynamics Forces on ROV Near the Air/Sea Interface", International Journal of Offshore and Polar Engineering., Vol 6, No 3, pp 177-183. 

  6. Zedan, F.M. and Dalton, C. (1979). "Viscous Drag Computation for Axisymmetric Bodies at High Reynolds Numbers", Journal of Hydronautics., Vol 13, No 2, pp 52-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