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리콘 웨이퍼공정에서 발생하는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실리콘 및 탄화규소를 분리한 다음, 전해법으로 원소형태의 실리콘을 회수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리콘 슬러지의 주요 불순물은 절삭유, 금속불순물, 실리콘 및 실리콘 카바이드를 들 수 있다. 기계적 선별법으로 분리한 실리콘, 탄화실리콘 복합물을 $1000^{\circ}C$에 1시간동안 염화 배소하여 응축하고 회수한 사염화실리콘을 이온성액체인 $[Bmpy]Tf_2N$에 용해하여 전해액으로 사용하였다. 순환전위법으로부터 $[Bmpy]Tf_2N$의 안정한 전압구간과 사염화실리콘을 용해한 $[Bmpy]Tf_2N$ 전해액에서 실리콘의 환원으로 추정되는 환원피크를 얻을 수 있었다. 정전위법(-1.9 V vs. Pt-QRE)에서 1시간동안 금 전극 상에 전해한 다음, 전극표면을 XRD, SEM-EDS 및 XPS 분석을 통하여 실리콘이 원소형태로 전착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미량의 산소가 검출되는 것은 분석과정에서 시편이 공기 중에 노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recovery of elemental silicon from the sludge of Si wafer process, a process of mechanical separation-chlorine roasting-electrolysis has been suggested. The silicon sludge consisted of Si, SiC, machine oil, and metallic impurities. The oil and metal impurities was removed by mechanical separ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 미립 실리콘과 탄화실리콘 혼합물을 탄소와 혼합한 다음 1,000℃에서 1시간 동안 염화・배소하여 액상의 사염화실리콘을 제조하였다.
  • 부분적으로 철을 제거한 혼합물을 1 mol/L 염산, 고액비 1:2, 상온 조건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침전시키고 증류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였다. 그리고 분리 농축된 실리콘, 탄화실리콘 혼합물에 탄소 분말 5 wt% 첨가한 다음 노에 장입하고 염소기체를 주입하면서 1,000℃에서 1시간동안 염화・배소하였으며, 증류되는 기체를 응축하여 사염화 실리콘(SiCl4) 형태로 회수하였다.
  • 기존의 연구결과3)와 같이 실리콘 웨이퍼 절단공정에서 발생하는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실리콘 복합물을 분리・회수하였다.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실리콘의 분리공정은 Fig.
  • 기존의 연구결과3)와 같이 실리콘 절단슬러지와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중량비 1 : 2)을 3시간 동안 300 rpm 이상으로 교반하여 절삭유를 선택적으로 용해하였고 고상과 액상은 여과와 원심분리에 의해 고상(Si+SiC)와 액상(유기성 오일)을 분리하였다. 절삭유를 제거한 폐슬러지에는 실리콘과 탄화실리콘 이외에도 소량의 철 분말이 함유되어 있다.
  • 전착된 실리콘의 불순물 확인은 X-선 광전자 분광기(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ULVAC-PHI, Quantera SX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표면분석과 함께 표면으로부터 약 50 nm의 깊이로 depth분석을 병행하였다. 또한 X-선 회절 분석기(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000, Cu-Ka)를 이용하여 실리콘의 결정성을 확인하였다.
  • 2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3원계 전극시스템을 사용하였고, 전해액은 사염화실리콘을 용해한 이온성액체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리콘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순도 아르곤 기체(5 N, 산소 함량 1 ppm 이내, 수증기 함량 3 ppm 이내)를 장입한 글러브박스 내에서 모든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온성액체의 안정구간(voltage window) 및 전해조건(전극, 이온성액체, 실리콘 농도 등)이 전기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Potentiostat/Galvanostat(Solartron 1287)을 이용하여 cyclic voltammetry법으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분리공정을 통하여 절삭유와 금속 불순물 등을 기계적 선별법으로 제거한 다음, 분리된 실리콘, 탄화실리콘 혼합물을 염화 배소하여 사염화실리콘을 제조하였다. 전도성을 갖는 비수계 용매에 사염화실리콘을 용해하고 전해법으로 원소 형태의 실리콘을 직접 환원하였다.
  • 분리 농축된 실리콘, 탄화실리콘 혼합물에 탄소분말 5 wt% 첨가한 다음 노에 장입하고 염소기체를 주입하면서 1,000℃에서 1시간동안 염화·배소하였으며, 증류되는 기체를 응축하여 사염화실리콘을 회수하였다.
  • 와 같이 실리콘 웨이퍼 절단공정에서 발생하는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실리콘 복합물을 분리・회수하였다.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실리콘의 분리공정은 Fig. 1과 같이 세정에 의한 오일 제거, 자력선별과 산세척으로 금속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중액에서 실리콘으로부터 탄화실리콘을 부분적으로 침전-분리하는 공정을 제안하였다. 절삭유와 잘 혼합될 수 있는 유기용매 즉, dichloromethane (CH2Cl2)을 폐슬러지와 혼합하였으며 강력한 교반을 실시하여 폐슬러지로부터 절삭유를 선택적으로 용해하였다.
  • 실리콘 웨이퍼공정에서 발생하는 실리콘 슬러지의 리싸이클링 수단으로 슬러지로부터 실리콘 복합물을 분리한 다음 염화배소와 상온 비수계 전해법으로 원소형태의 실리콘을 회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환원된 실리콘과 산소 이외의 다른 불순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리콘은 SiO2의 형태로 검출되었으며 표면의 변화인지 산화물로 환원이 진행됐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depth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표면에서부터 20 nm내부의 결과를 보면, 표면에서 내부로 갈수록 SiO2 피크의 강도는 낮아지며 Si 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 실리콘의 형상은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JEOL, JSM-6500F)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전착층의 조성은 FE-SEM에 부착된 X-선 분광분석기(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EDS)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전착된 실리콘의 불순물 확인은 X-선 광전자 분광기(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ULVAC-PHI, Quantera SX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표면분석과 함께 표면으로부터 약 50 nm의 깊이로 depth분석을 병행하였다.
  • 작동전극(working electrode)은 금(Au)을 기본으로 하고 실리콘의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거동을 조사하였다. 백금선(Pt wire)을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 4 cm2)과 기준전극(QRE, quasi reference electrode)으로 각각 사용하였다.
  • 실리콘의 형상은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JEOL, JSM-6500F)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전착층의 조성은 FE-SEM에 부착된 X-선 분광분석기(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EDS)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전착된 실리콘의 불순물 확인은 X-선 광전자 분광기(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ULVAC-PHI, Quantera SX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표면분석과 함께 표면으로부터 약 50 nm의 깊이로 depth분석을 병행하였다. 또한 X-선 회절 분석기(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000, Cu-Ka)를 이용하여 실리콘의 결정성을 확인하였다.
  • 전해법으로 제조한 원소형태의 실리콘의 형상, 조성 및 결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염화실리콘을 0.5 M 용해한 [Bmpy]Tf2N으로부터 정전위법(−1.9 V vs. Pt-QRE)에 의하여 원소형태의 실리콘을 직접 환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 전도성을 갖는 비수계 용매에 사염화실리콘을 용해하고 전해법으로 원소 형태의 실리콘을 직접 환원하였다. 최종 생성된 전착물의 분석으로부터 전착물의 결정설, 조성과 불순물 존재 여부를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절삭유를 제거한 폐슬러지에는 실리콘과 탄화실리콘 이외에도 소량의 철 분말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을 제거한 혼합물 중철 분말은 자속밀도 500 gauss의 자력선별기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자력선별 후 실리콘과 탄화실리콘 혼합 잔사는 전체 슬러지 함량 중 96.
  • 작동전극(working electrode)은 금(Au)을 기본으로 하고 실리콘의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거동을 조사하였다. 백금선(Pt wire)을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 4 cm2)과 기준전극(QRE, quasi reference electrode)으로 각각 사용하였다. 불순물 제거를 위하여 모든 전극과 셀은 실험 전 황산(H2SO4)과 과산화수소(H2O2) 50 : 50 vol% 혼합액으로 세척한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 백금선(Pt wire)을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 4 cm2)과 기준전극(QRE, quasi reference electrode)으로 각각 사용하였다. 불순물 제거를 위하여 모든 전극과 셀은 실험 전 황산(H2SO4)과 과산화수소(H2O2) 50 : 50 vol% 혼합액으로 세척한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리콘의 전해환원을 위한 기본 전해셀 구조는 Fig. 2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3원계 전극시스템을 사용하였고, 전해액은 사염화실리콘을 용해한 이온성액체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리콘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순도 아르곤 기체(5 N, 산소 함량 1 ppm 이내, 수증기 함량 3 ppm 이내)를 장입한 글러브박스 내에서 모든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론/모형

  • 또한 실리콘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순도 아르곤 기체(5 N, 산소 함량 1 ppm 이내, 수증기 함량 3 ppm 이내)를 장입한 글러브박스 내에서 모든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온성액체의 안정구간(voltage window) 및 전해조건(전극, 이온성액체, 실리콘 농도 등)이 전기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Potentiostat/Galvanostat(Solartron 1287)을 이용하여 cyclic voltammetry법으로 측정하였다. 전압의 범위는 −4~2 V(v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 D. Jang, H. K. Jnag, K. Cho, D. S. Gil, 2007: Synthesis of TMOS and Silica Nano Powders from Silicon Sludge Waste, J. of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16, pp. 41-45. 

  2. K. Park and S. E. Park, 2008: Apparatus and Recycling Method of Silicon Sludge Waste, Korea Patent, 10- 0837346. 

  3. G. Jeong, H. D. Jang, C. K Lee, 2010: Synthesis of Si-SiCCuO- C Composite from Silicon Sludge as an Anode of Lithium Battery, J. of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19(4), pp. 51-57. 

  4. H. Y. Kim, 2008: Preparation of Polysilicon for Solar Cells, Korean Chem. Eng. Res., 46(1), pp. 37-49. 

  5. H. St. Claire, C.R. DeVille, and Hebd, Seances Acad., 1854: Science, 39, pp. 1854. 

  6. M. Dodero, C.R. Hebd, and Seances Acad., 1934: Science, 199, pp. 566. 

  7. D. Elwell and R.S. Feigelson, 1982: Electrodeposition of solar silicon, Sol. Energy Materials, 6, pp. 123-145. 

  8. U. Cohen and R. A. Huggins, 1976: Silicon Epitaxial Growth by Electrodeposition from Molten Fluorides, J. Electrochem. Soc., 123, pp. 381-383. 

  9. D. Elwell and G. M. Rao, 1988: Electrolytic production of silicon, J. Appl. Electrochem., 18, pp. 15-22. 

  10. A. K. Agrawal and A. E. Austin, 1981: Electrodeposition of silicon from solutions of silicon halides in aprotic solvents, J. Electrochem. Soc., 128, pp. 2292-296. 

  11. K. L. Carleton, J. M. Olson, and A. Kibbler, 1983: Electrochemical nucleation and growth of silicon in molten fluorides, J. Electrochem. Soc., 130, pp. 782-786. 

  12. R. Boen and J. Bouteillon, 1983: The electrodeposition of silicon in fluoride melts, J. Appl. Electrochem, 13, pp. 277-288. 

  13. R. C. De Mattei, D. Elwell, and R. S. Feigelson, 1981: Electrodeposition of silicon at temperatures above its melting point, J. Electrochem. Soc., 128, pp. 1712-1714. 

  14. J. Gobet and H. Tannenberger, 1986: Electrodeposition of silicon from a nonaqueous solvent, J. Electrochem. Soc., 133, pp. C322. 

  15. J. Gobet and H. Tannenberger, 1988: Electrodeposition of silicon from a nonaqueous solvent, J. Electrochem. Soc., 135, pp. 109-112. 

  16. J. P. Nicholson, 2005: Electrodeposition of silicon from nonaqueous solvents, J. Electrochem. Soc., 152, pp. C795- 802. 

  17. F. Endres, 2002: Ionic Liquids: Solvents for the electrodeposition of metals and Semiconductors, Phys. Chem. Chem. Phys., 3, pp. 144-154. 

  18. A. P. Abbott and K.J. McKenzie, 2006: Application of ionic liquids to the electrodeposition of metals, Phys. Chem. Chem. Phys., 8, pp. 4265-4279. 

  19. H. Ohno, 2005: Electrochemical Aspects of Ionic Liquids, John Wiley & Sons, Hoboken, New Jersey, USA, pp. 100. 

  20. T. Tsuda, C.L. Hussey, G.R. Stafford, and J.E. Bonevich, 2003: Electrochemistry of titanium and the electrodeposition of Al-Ti Alloys in the Lewis acidic aluminum chloride-1-ethyl-3-methylimidazolium chloride melt, J. Electrochem. Soc., 150, pp. C234-243. 

  21. J. K. Chang, S. Y. Chen, W. T. Tsai, M. J. Deng, and I. W. Sun, 2007: Electrodeposition of aluminum on magnesium alloy in aluminum chloride( $AlCl_{3}$ ) 1-ethyl-3- methylimidazolium chloride(EMIC) ionic liquid and its corrosion behavior, Electrochem. Commun., 9, pp. 1602- 1606. 

  22. A. E. Austin, 1976: US Pat. 3,990,953 and Nov. 9 (1976) CA 86: 10098c. 

  23. E. R. Bucker and J. A. Amick, 1980: US Pat. 4,192,720. Oct. 16 (1980) CA 92: 10098. 

  24. Y. Nishimura and Y. Fukunaka, 2007: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silicon chloride in a non-aqueous solvent, Electrochimca Acta, 53, pp. 111-116. 

  25. T. Munisamy and A. J. Bard, 2010: Electrodeposition of Si from organic solvents and studies related to initial stages of Si growth, Electrochimca Acta, 55(11, 15), pp. 3797-3803. 

  26. S. Z. El Abedin, N. Borissenko, and F. Endres, 2004: Electrodeposition of nanoscale silicon in a room temperature ionic liquid, Electrochem. Comm., 6, pp. 510- 514. 

  27. J. Mallet, M. Molinari, F. Martineau, F. Delavoie, P. Fricoteaux, and M. Troyon, 2008: Growth of silicon nanowires of controlled diameters by electrodeposition in ionic liquid at room temperature, Nano Lett. 8(10), pp. 3468-34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