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용 정극재료(正極材料)의 기술동향(技術動向)
Technology Trends of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y 원문보기

資源리싸이클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v.21 no.5, 2012년, pp.79 - 87  

황용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길상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종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리튬이온전지의 대형화와 범용화에 따라 경제성과 안정성 관점에서 정극재료의 개발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18650 원통형 전지의 에너지 밀도는 발매 초기인 1991년 230Wh/l에서 2005년 2배 이상의 500Wh/l로 증가하였으며, 제품 대부분의 에너지용량은 450~500 Wh/l, 150~190Wh/kg이고 안전성, 제조비 절감 및 장 수명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LiCoO_2$ 정극활물질 중의 Co가 고가이므로 Co 사용량을 줄이면서 에너지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LiMn_2O_4$, $LiCo_{1/3}N_{i1/3}Mn_{1/3}O_2$, $LiNi_{0.8}Co_{0.15}Al_{0.05}O_2$, $LiFePO_4$-C복합체 (167 mA/g)등이 개발되고 있다. 전동자전거용 전지는 출력밀도 500 Wh/kg, 전동공구용 1,500Wh/kg, EV나 PHEV용으로는 4,000~5,000Wh/kg의 대용량 출력밀도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배터리 소재의 성능을 향상시키려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Graphene-sulfur 복합체정극활물질 600 Ah/kg, 2차전지용 분자클러스터(molecular cluster) 320 Ah/kg 등의 새로운 정극활물질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므로 실용화가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increasing size and universalization of lithium-ion batteries, the development of cathode materials has emerged as a critical issue. The energy density of 18650 cylindrical batteries had more than doubled from 230 Wh/l in 1991 to 500 Wh/l in 2005. The energy capacity of most products rang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HV, PHEV, EV 자동차에 탑재하는 리튬이온2차전지의 정극소재기술 동향을 소개한다. 리튬이온2차전지는 약 20년 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전지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2006년에 Panasonic Energy Co.
  • LiFePO4 정극재료의 합성법은 오래 전부터 제조의 용이성 때문에 이 방법을 중심으로 정극재료의 합성법이 활성화 되어왔다. 본고에서는 LiFePO4를 제조하는 수열 합성법에 대하여 소개한다.6,7) 많은 유기, 무기물이 수용액 중에서 반응 시에 물은 우수한 용매역할을 한다.

가설 설정

  • 9. Concept of Molecular Cluster Cell.
  • 2. Concept of making process for Composit of active matter -Conduct matte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전체의 석유소비량 중, 운수 부문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세계전체의 석유소비량 중에서 운수부문이 약 60%를 소비하고 CO2 배출량은 약 23%를 배출하고 있다. 2009년 말부터 COP15에서는 2020년도까지 각국이 온난화가스 삭감목표가 합의되지 않았으나 2050년까지는 전세계에서 반감목표가 제시되어 있으므로 각 선진국은 CO2가스 배출량을 줄이거나 전혀 배출시키지 않으려는 대책으로 태양에너지, 수력에너지, 풍력에너지 등의 무진장한 자연에너지를 활용하여 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기술과 2차 축전지를 이용하여 CO2가스발생량을 줄이거나 전혀 발생 안 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전기차(PHEV)나 전기자동차(EV)가 개발 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리튬이온2차전지의 용량은 얼마인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지의 에너지용량은 450~500 Wh/l, 150~190 Wh/kg이며 전지의 안전성과 수명 및 고용량화를 중점적으로 연구 개발하고 있다. 전동자전거용 배터리의 출력밀도는 500 Wh/kg정도이지만 전동공구에는 이에 약 3배인 1500 Wh/kg이고 전기자동차 (EV)에는 약 3000 Wh/kg가 요구된다고 한다.
리튬이온2차전지가 활용되고 있는 산업은? 리튬이온2차전지는 휴대전화, 노트북, 휴대 기기부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사용되고 있다. 현재 지구환경 보존이나 화석연료의 저감에 대한 세계적 과제는 연료 연소 시에 발생하는 CO2발생량을 줄이는 문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N. Nakamura and H. Noguchi, 2009: Chemical eng. 6,pp.409-413 

  2. R. Kanno, 2010: Industrial materials, 58(12), pp.18-20 

  3. M. Tabuchi, et5 al, 2002: J. Electrochemi. Soc. 149(5), A509-A524 

  4. M. Tabuchi, T. Takeuchi, K. Tasumi, 2009: Chemical Eng., 6, pp. 429-434 

  5. Tomonari Takeuchi, et al, 2011: J. Industrial materials, 59(8), pp. 76-79 

  6. Mineo SATO, 2010: Ceramics, 45(3), pp. 158-162 

  7. S. OKATA, T. DOI and J. YAMAKI, 2010: Ceramics, 45(3), pp.153-157 

  8. S. Yang, P. Y. Zavalij and M. S. Whittingham, 2001: Electrochemi. Commun, 3, pp. 505-508 

  9. S. Yang, Y. Song, P. Y. Zavalij and M. S. Whittingham, 2002: Electrochemi. Commun., 4, pp. 239-244 

  10. S. Tajimi, Y. Ikeda, K. Uematsu, K. Toda, and M. Sato, 2004: Solid State Ionics, 175, pp. 287-290 

  11. G. Meligrana, C, Gerbaldi, A.Tuel, S. Bodoardo and N. Penazzi, 2006: J. Power Sources , 160, pp. 516-522 

  12. H. Nakano, K. Dokko, S. Koizumi, H. Tannai and k. Kanamura, 2008: J. Electrochemi. Soc., !55, A9-09-A914 

  13. A. V. Murugan, T. Muraliganth and A. Manthiram., 2009 : Electrochemi. Soc., 155, A909-A914 

  14. Tishiro Hirai, 2009: Chemical Eng., 6, pp.440-444 

  15. Hirofumi YOSHIKAWA and Kunnio AWAGA, 2011 : Surface Tec. 62(10), pp.486-490 

  16. N. Kawasaki H. Wang, R. Nakanishi, S. Hamanjaka, R. Kitaura, H. Shinohara, T. Yokoyama, H. Yoshikawa, K. Awaga, 2011: Angew Chem. Ind.Ed, 50, pp.3471 

  17. http//www. greencarcongress.com/2011/07/g-s-20110702html, Graphene-Sulfur composite as stable high energy capacity cathodes for Li-ion batteries 

  18. Masahiko HAYASHI, 2010 : Ceramics, 45(3), pp.167 -1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