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적응 농경지 토양유실 취약성 평가
Vulnerability Assessment of Soil Loss in Farm area to Climate Change Adaption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5, 2012년, pp.711 - 716  

오영주 (한반도생물다양성연구소) ,  김명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나영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홍선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연구소) ,  백원기 (대진대학교 생명과학과) ,  윤성탁 (단국대학교 식량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는 100년 후에 남한의 강수량이 17%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우리나라와 같이 여름철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경우는 농경지 토양유실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폭풍을 동반한 국지성 호우는 농경지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응계획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32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농경지 토양유실의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취약성 평가의 기간은 현재는 2000년, 미래는 A1B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2020년, 2050년, 20100년에 대한 자료를 취합하였다.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의 대용변수를 선정하였다. 취합된 자료는 표준화 과정을 거쳐 델파이 조사에서 도출된 가중치를 고려하여 취약성을 산정하였다. 취약성은 현재는 남부지방인 제주도와 경상남도가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미래 취약성은 강원도가 증가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자체 단위에서 농경지 토양침식에 대한 기후변화 적응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the annual total precipitation will increase by 17 percent by 2100. Rainfall is concentrated during the summer in South Korea and the landslide of farmland by heavy rain is expected to increase. Because regional torrential rains accompanied by a storm conti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232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의 대용변수를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취약성평가를 실시하여 현재와 미래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기후변화에 지자체가 적응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자료를 제안하고자 한다.
  • 취약성은 현재는 남부지방인 제주도와 경상남도가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미래 취약성은 강원도가 증가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자체 단위에서 농경지 토양침식에 대한 기후변화 적응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또한 폭풍을 동반한 국지성 호우는 농경지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응계획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32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농경지 토양유실의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취약성 평가의 기간은 현재는 2000년, 미래는 A1B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2020년, 2050년, 20100년에 대한 자료를 취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약성을 평가를 위해 선정한 대용변수는? 취약성 평가의 기간은 현재는 2000년, 미래는 A1B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2020년, 2050년, 20100년에 대한 자료를 취합하였다.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의 대용변수를 선정하였다. 취합된 자료는 표준화 과정을 거쳐 델파이 조사에서 도출된 가중치를 고려하여 취약성을 산정하였다.
기후변화가 농경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농경지는 토지이용 형태 중 상대적으로 강우에 의한 토양유실에 취약하며 반복적인 토양의 유실로 이어지며 이와더불어 토양 내 영양염류의 소실로 이어진다. 기후변화는 강우량의 증가와 더불어 강우의 빈도 및 강도에서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토양유실이 심각한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Kim et al.
IPCC에서 향후 100년간 지구의 평균온도를 어떻게 예측하고 있는가? 7℃ 상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는 향후 100년간 지구의 평균온도는 A1B 시나리오에 대비하여 약 2.8℃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약 4℃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극단적인 기후 현상의 빈도와 강도는 증가시키고 단기적인 환경 변화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친 CO2의 변화, 온도 상승, 강수량의 변화, 해수면 상승 등을 유발할 것으로 현재의 과학적 관측 자료를 통해 설명되어지고 있다 (IPCC, 2007; NIER,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rooks, N., W.N. Adger, and P.M. Kelly. 2005. The determinants of vulnerability and adaptive capacity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implications for adaptation, Global Environ. Change. 15: 151-163. 

  2.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IPCC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3. Jung, P.K., M.H. Ko, J.N. Im, K.T. Um, and D.U. Choi. 1983. Rainfall erosion factor for estimating soil loss. Korean J. Soil Sci. Fert. 16(2): 112-118. 

  4. Kim, J.H., K.T. Kim, and H.J. Lee. 2009. Analysis of Korea soil erosion yields and soil loss hazard zone. J. GIS Assoc. Korea 17: 261-268. 

  5. Lee, J.S. 2007. A Study on characteristic analysis of soil erosion medels in Korea and foreign country.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p. 175. 

  6. Moss, R.H., A.L. Brenkert, and E.L. Malone. 2001.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 quantitative approach. Prepared for the U.S. Department of Energy. 

  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Development of technique for the assessment of vulnerability by WEB base and GIS (II). Incheon. Korea. 

  8. Shin K.J. 1999. The Soil loss analysis using GSIS in watershed. Ph. D.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on. Korea. 

  9. UNDP. 2005. Adaptation policy frameworks for climate change: Developing strategies, policies, and meas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205, USA. 

  10. Wehbe, M.B., R.A. Seiler, M.R. Vinocur, H. Eakin, C. Santos, and H.M. Civitaresi. 2005. Social methods for assessing agricultural producer's vulnerability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based on the notion of substantiality. Assessments of Impacts and Adaptations of Climate Change Working Papers. 

  11. Wischmeier. W.H. 1971. A soil erodibility nomograph for farmland and construction sites. J. Soil Water Cons. 26: 189-193. 

  12. Wischmeier, W.H., and D.D. Smith.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USDA Agr. Handboo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