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산재 혼합에 의한 $CH_4$과 $CO_2$ 방출 저감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질소 ($(NH_4)_2SO_4$) 무처리구와 처리구를 두고 비산재를 0, 5, 10% 수준으로 혼합한 후 토양 수분 변동조건 (습윤기간, 전이기간, 건조기간)에서 60일간 실험실내 항온배양실험을 통해 $CH_4$과 $CO_2$ flux를 분석하였다. 전체 항온배양기간 중 평균 $CH_4$ flux는 $0.59{\sim}1.68mg\;CH_4\;m^{-2}day^{-1}$의 범위였으며, 질소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flux가 낮았는데, 이는 질소 처리시 함께 시용된 $SO_4^{2-}$의 전자수용체 기능에 의해 $CH_4$ 생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질소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비산재 10% 처리에 의해 $CH_4$ flux가 각각 37.5%와 33.0% 감소하였는데, 이는 물리적인 측면에서 미립질 (실트 함량 75.4%)인 비산재 시용에 의해 통기성 대공극량이 감소되어 $CH_4$ 확산 속도가 저감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생화학적 측면에서는 비산재의 $CO_2$ 흡착능에 의해 $CH_4$ 생성의 주요 기작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 환원에 필요한 $CO_2$ 공급이 억제된 것도 원인 일 수 있다. 한편, 전체 항온 배양 기간의 평균 $CO_2$ flux ($0.64{\sim}0.90g\;CO_2\;m^{-2}day^{-1}$) 역시 질소 무처리구가 질소 처리구보다 높았다. 이는 일반적으로 질소 시비에 의해 토양 호흡량이 증가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상이한데, 본 연구에서 질소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미생물에 의해 $CO_2$ flux 최초 측정 시점 (처리 후 2일째) 이전에 이미 상당한 양의 $CO_2$가 이미 방출되어 실측 flux에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설명이 가능했다. $CH_4$과 유사하게 $CO_2$ flux도 비산재무처리구에 비해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는데, 이는 비산재의 원소 구성 중 Ca과 Mg과 토양수내 탄산이온의 탄산염 ($CaCO_3$과 $MgCO_3$)화 반응에 의한 $CO_2$ 침전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비산재 처리에 의한 $CH_4$과 $CO_2$ flux 감소에 의해 지구온난화지수 역시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산재는 논 토양에서 $CH_4$과 $CO_2$ 방출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재 벼 재배 포장에서의 실험을 통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비산재 혼합에 의한 $CH_4$과 $CO_2$ 방출 저감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질소 ($(NH_4)_2SO_4$) 무처리구와 처리구를 두고 비산재를 0, 5, 10% 수준으로 혼합한 후 토양 수분 변동조건 (습윤기간, 전이기간, 건조기간)에서 60일간 실험실내 항온배양실험을 통해 $CH_4$과 $CO_2$ flux를 분석하였다. 전체 항온배양기간 중 평균 $CH_4$ flux는 $0.59{\sim}1.68mg\;CH_4\;m^{-2}day^{-1}$의 범위였으며, 질소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flux가 낮았는데, 이는 질소 처리시 함께 시용된 $SO_4^{2-}$의 전자수용체 기능에 의해 $CH_4$ 생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질소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비산재 10% 처리에 의해 $CH_4$ flux가 각각 37.5%와 33.0% 감소하였는데, 이는 물리적인 측면에서 미립질 (실트 함량 75.4%)인 비산재 시용에 의해 통기성 대공극량이 감소되어 $CH_4$ 확산 속도가 저감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생화학적 측면에서는 비산재의 $CO_2$ 흡착능에 의해 $CH_4$ 생성의 주요 기작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 환원에 필요한 $CO_2$ 공급이 억제된 것도 원인 일 수 있다. 한편, 전체 항온 배양 기간의 평균 $CO_2$ flux ($0.64{\sim}0.90g\;CO_2\;m^{-2}day^{-1}$) 역시 질소 무처리구가 질소 처리구보다 높았다. 이는 일반적으로 질소 시비에 의해 토양 호흡량이 증가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상이한데, 본 연구에서 질소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미생물에 의해 $CO_2$ flux 최초 측정 시점 (처리 후 2일째) 이전에 이미 상당한 양의 $CO_2$가 이미 방출되어 실측 flux에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설명이 가능했다. $CH_4$과 유사하게 $CO_2$ flux도 비산재무처리구에 비해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는데, 이는 비산재의 원소 구성 중 Ca과 Mg과 토양수내 탄산이온의 탄산염 ($CaCO_3$과 $MgCO_3$)화 반응에 의한 $CO_2$ 침전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비산재 처리에 의한 $CH_4$과 $CO_2$ flux 감소에 의해 지구온난화지수 역시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산재는 논 토양에서 $CH_4$과 $CO_2$ 방출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재 벼 재배 포장에서의 실험을 통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To estimate potential use of fly ash in reducing $CH_4$ and $CO_2$ emission from soil, $CH_4$ and $CO_2$ fluxes from a paddy soil mixed with fly ash at different rate (w/w; 0, 5, and 10%)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fertilizer N ($(NH_4)_2SO_4$
To estimate potential use of fly ash in reducing $CH_4$ and $CO_2$ emission from soil, $CH_4$ and $CO_2$ fluxes from a paddy soil mixed with fly ash at different rate (w/w; 0, 5, and 10%)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fertilizer N ($(NH_4)_2SO_4$) addition were investigated in a laboratory incubation for 60 days under changing water regime from wetting to drying via transition. The mean $CH_4$ flux during the entire incubation period ranged from 0.59 to $1.68mg\;CH_4\;m^{-2}day^{-1}$ with a lower rate in the soil treated with N fertilizer due to suppression of $CH_4$ production by $SO_4^{2-}$ that acts as an electron acceptor, leading to decreases in electron availability for methanogen. Fly ash application reduced $CH_4$ flux by 37.5 and 33.0% in soils without and with N addition, respectively, probably due to retardation of $CH_4$ diffusion through soil pores by addition of fine-textured fly ash. In addition, as fly ash has a potential for $CO_2$ removal via carbonation (formation of carbonate precipitates) that decreases $CO_2$ availability that is a substrate for $CO_2$ reduction reaction (one of $CH_4$ generation pathways) is likely to be another mechanisms of $CH_4$ flux reduction by fly ash. Meanwhile, the mean $CO_2$ flux during the entire incubation period was between 0.64 and $0.90g\;CO_2\;m^{-2}day^{-1}$, and that of N treated soil was lower than that without N addition. Because N addition is likely to increase soil respiration, it is not straightforward to explain the results. However, it may be possible that our experiment did not account for the substantial amount of $CO_2$ produced by heterotrophs that were activated by N addition in earlier period than the measurement was initiated. Fly ash application also lowered $CO_2$ flux by up to 20% in the soil mixed with fly ash at 10% through $CO_2$ removal by the carbonation. At the whole picture, fly ash application at 10% decreased global warming potential of emitted $CH_4$ and $CO_2$ by about 20%.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fly ash application can be a soil management practice to reduce green house gas emission from paddy soils. Further studies under field conditions with rice cultivation are necessary to verify our findings.
To estimate potential use of fly ash in reducing $CH_4$ and $CO_2$ emission from soil, $CH_4$ and $CO_2$ fluxes from a paddy soil mixed with fly ash at different rate (w/w; 0, 5, and 10%)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fertilizer N ($(NH_4)_2SO_4$) addition were investigated in a laboratory incubation for 60 days under changing water regime from wetting to drying via transition. The mean $CH_4$ flux during the entire incubation period ranged from 0.59 to $1.68mg\;CH_4\;m^{-2}day^{-1}$ with a lower rate in the soil treated with N fertilizer due to suppression of $CH_4$ production by $SO_4^{2-}$ that acts as an electron acceptor, leading to decreases in electron availability for methanogen. Fly ash application reduced $CH_4$ flux by 37.5 and 33.0% in soils without and with N addition, respectively, probably due to retardation of $CH_4$ diffusion through soil pores by addition of fine-textured fly ash. In addition, as fly ash has a potential for $CO_2$ removal via carbonation (formation of carbonate precipitates) that decreases $CO_2$ availability that is a substrate for $CO_2$ reduction reaction (one of $CH_4$ generation pathways) is likely to be another mechanisms of $CH_4$ flux reduction by fly ash. Meanwhile, the mean $CO_2$ flux during the entire incubation period was between 0.64 and $0.90g\;CO_2\;m^{-2}day^{-1}$, and that of N treated soil was lower than that without N addition. Because N addition is likely to increase soil respiration, it is not straightforward to explain the results. However, it may be possible that our experiment did not account for the substantial amount of $CO_2$ produced by heterotrophs that were activated by N addition in earlier period than the measurement was initiated. Fly ash application also lowered $CO_2$ flux by up to 20% in the soil mixed with fly ash at 10% through $CO_2$ removal by the carbonation. At the whole picture, fly ash application at 10% decreased global warming potential of emitted $CH_4$ and $CO_2$ by about 20%.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fly ash application can be a soil management practice to reduce green house gas emission from paddy soils. Further studies under field conditions with rice cultivation are necessary to verify our finding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농경지 토양에서 CO2 및 CH4 발생 저감을 위한 토양개량제로서의 비산재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예비 연구의 한 방편으로 농경지 토양을 대상으로 수분변동조건에서 비산재 처리 수준에 따른 CO2와 CH4 방출량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비료 종류 및 토양개량제 투입에 따른 CO2와 CH4 방출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된 다양한 연구의 일부로 수행되었으며, Eh 및 수분함량 변화는 이미 Lim et al. (2012a)에 이미 보고되었다.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산화환원전위차는 처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담수 직후 200 mV에서 30일까지 Eh가 -400 mV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수분공급을 중단한 30일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50일 이후부터는 약 500 mV를 유지하였다 (Lim et al.
제안 방법
시험토양은 전남대학교 부속 논에서 표토 (0-20 cm)를 채취하였으며, 이 토양은 미농무성 Soil taxonomy에 의하면 coarse loamy, mixed, nonacid, mesic family of Fluvaquetic Endoaquepts (석천통)로 분류되며 토성은 식양토였다. 채취한 토양을 풍건한 후 2 mm 체를 통과한 시료를 대상으로 토양산도 (pH), 전기전도도 (EC), 총탄소, 총질소, 양이온교환용량 (CEC), 토성을 분석하였다 (Table 1). pH는 토양과 증류수의 비를 1:5 (w/v)로 혼합하여 150 rpm 에서 30분 진탕한 후 pH meter (Ecomet P25, Istek, Inc,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EC는 pH 측정 후 #42 여과지로 여과한 토양용액을 EC meter (Orion 3 star, Thermo, Singapor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조 토양 중 일부를 고운 분말 (<0.42 mm)로 만든 후 탄소와 질소함량을 원소분석기 (FLASHEA-1112, Thermo, USA)로 분석하였다.
시비처리는 무처리 (control)와 유안 ((NH4)2SO4) 처리구 (AS, 110 kg N ha-1 기준 처리)를 두었으며, 각 시비 처리구에서 비산재 (FA)를 무처리 (FA0), 무게기준 5% 처리 (FA5), 10% 처리 (FA10)하였으며, 3반복 실험하였다 (Table 2). 구체적으로 Septa 마개가 있는 50 mL 유리병에 토양 25 g을 충진 하고 수분함량을 25% (v/v)로 조절한 후 25℃에서 5일간 사전배양 하여 미생물 활성을 회복시켰다.
기준 처리)를 두었으며, 각 시비 처리구에서 비산재 (FA)를 무처리 (FA0), 무게기준 5% 처리 (FA5), 10% 처리 (FA10)하였으며, 3반복 실험하였다 (Table 2). 구체적으로 Septa 마개가 있는 50 mL 유리병에 토양 25 g을 충진 하고 수분함량을 25% (v/v)로 조절한 후 25℃에서 5일간 사전배양 하여 미생물 활성을 회복시켰다. 별도의 플라스틱용기에 동일하게 비산재와 비료를 처리한 후 pH와 EC를 측정하였으며, 총탄소, 총질소, 탄질비는 공시재료의 이화학성을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Table 2).
구체적으로 Septa 마개가 있는 50 mL 유리병에 토양 25 g을 충진 하고 수분함량을 25% (v/v)로 조절한 후 25℃에서 5일간 사전배양 하여 미생물 활성을 회복시켰다. 별도의 플라스틱용기에 동일하게 비산재와 비료를 처리한 후 pH와 EC를 측정하였으며, 총탄소, 총질소, 탄질비는 공시재료의 이화학성을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Table 2). 시료가 충진된 각 유리병에 수분을 공급하여 담수심을 표토에서 1 cm 높이로 조절한 후 25℃에서 60일간 항온배양실험을 수행하였다.
별도의 플라스틱용기에 동일하게 비산재와 비료를 처리한 후 pH와 EC를 측정하였으며, 총탄소, 총질소, 탄질비는 공시재료의 이화학성을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Table 2). 시료가 충진된 각 유리병에 수분을 공급하여 담수심을 표토에서 1 cm 높이로 조절한 후 25℃에서 60일간 항온배양실험을 수행하였다.
Table 2. Treatments laid out and properties of the soil without (control) or with ammonium sulfate (AS) after mixing with fly ash (FA) at 0% (FA0), 5% (FA5), and 10% (FA10).
항온배양실험 중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마개를 열어두었다. 담수심 1 cm를 유지하기 위해 매일 부족한 수분을 공급하였으며, 수분 변동 조건을 모의하기 위해 30일째에 과잉의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공급을 중단하여 혐기적인 조건에서 호기적인 조건으로 전환시켰다. 별도의 유리병에 동일한 처리를 한 후 산화환원전위계 (RM-20P, TOA, DKK, Japan)를 설치하여 산화환원전위 (Eh)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였으며, 동시에 유리병을 칭량하여 수분함량을 계산하였다.
담수심 1 cm를 유지하기 위해 매일 부족한 수분을 공급하였으며, 수분 변동 조건을 모의하기 위해 30일째에 과잉의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공급을 중단하여 혐기적인 조건에서 호기적인 조건으로 전환시켰다. 별도의 유리병에 동일한 처리를 한 후 산화환원전위계 (RM-20P, TOA, DKK, Japan)를 설치하여 산화환원전위 (Eh)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였으며, 동시에 유리병을 칭량하여 수분함량을 계산하였다.
항온 배양 2, 4, 15, 30, 35, 40, 50, 60일 째에 유리병의 마개를 닫고 0, 10, 20분 간격 으로 유리병 상단부 공간 (headspace)에서 1-mL syringe로 가스를 채취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 (7890A GC system with methanizer, Agilent Technologies, USA)로 CH4과 CO2 농도를 측정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칼럼은 Porapak Q를 사용하였으며, 온도는 column 50℃, Front inlet 250℃, FID 300℃, methanizer 375℃이었고, Flow rate는 column 이 N2 15 mL min-1, FID가 H2 45 mL min-1, Air 400 mL min-1, N2 0.
비산재 혼합에 의한 CH4 과 CO2 방출 저감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질소 ((NH4)2SO4) 무처리구와 처리구를 두고 비산재를 0, 5, 10% 수준으로 혼합한 후 토양 수분 변동조건 (습윤기간, 전이기간, 건조기간)에서 60일간 실험실내 항온배양실험을 통해 CH4과 CO2 flux를 분석하였다. 전체 항온배양기간 중 평균 CH4 flux는 0.
CO2와 CH4의 지구온난화지수 (GWP)를 고려하여 전체 GWP를 탄소당량 (g C m-2 day-1)으로 계산하였다 (IPCC, 2001). 질소 처리와 비산재 처리 수준에 따른 CH4 및 CO2 flux 차이는 SPSS 17.
대상 데이터
시험재료
시험토양은 전남대학교 부속 논에서 표토 (0-20 cm)를 채취하였으며, 이 토양은 미농무성 Soil taxonomy에 의하면 coarse loamy, mixed, nonacid, mesic family of Fluvaquetic Endoaquepts (석천통)로 분류되며 토성은 식양토였다. 채취한 토양을 풍건한 후 2 mm 체를 통과한 시료를 대상으로 토양산도 (pH), 전기전도도 (EC), 총탄소, 총질소, 양이온교환용량 (CEC), 토성을 분석하였다 (Table 1).
데이터처리
질소 처리와 비산재 처리 수준에 따른 CH4 및 CO2 flux 차이는 SPSS 17.0 (SPSS Inc. Chicago, IL)의 일반선형모형을 이용한 ANOVA 분석으로 평가하였으며, 처리효과가 인정될 경우 Duncan의 다중비교를 통해 처리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α=0.05).
이론/모형
양이온교환용량 (CEC)은 토양 10 g에 NH4OAc-Ethanol-NaCl 연속 침출하여 침출액을 켈달증류기로 증류하여 측정하였다 (Sumner and Miller, 1996). 입경분포 (clay:silt:sand)는 pipette법으로 분석하였으며, 토성은 미농무성 분류기준을 따랐다 (Gee and Bauder, 1986). 건조 토양 중 일부를 고운 분말 (<0.
성능/효과
수용성 칼슘, 마그네슘 및 붕소 함량은 비산재와 증류수를 1:5로 진탕 후 여과한 여액을 ICP-AES (Optima-7000DV, PerkinElmer, Boston, USA)로 분석하였으며, NH4OAc-침출태 붕소 함량은 양이온교환용량에서 NH4OAc로 침출한 여액을 이용하여 ICP-AES로 분석하였다. 비산재의 pH는 11.7로 강알칼리성을 나타냈으며, CaO와 MgO가 각각 7.0%, 2.5%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AS-FA5를 제외하고 각 질소 처리구내에서 비산재 처리에 의해 CH4 flux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0.001) 감소하였으며, 특히 대조구에 비해 비산재 10% 처리에 의해 질소 무처리구에서 37.5%, 질소 처리구에서 33.0% 감소하였다 (Table 3).
, 2012a). 따라서, 토양수분변동을 기준으로 항온 배양기간 0~30일까지는 습윤기간, 30~40일은 전이기간, 40~60일은 건조기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0% 감소하였다 (Table 3). 알칼리성 비산재 처리에 일반적으로 토양의 pH가 상승되는데, 본 연구에서도 토양 pH가 5.87에서 최대 7.95로 상승하였다. 일반적으로 CH4 생성균은 토양 pH가 중성이나 약알칼리성에서 가장 활동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Dalal et al.
2 g CO2 m-2 day-1으로 분포하였으며 경시적으로 감소하였다. 시기적으로 습윤 기간 초기에 CO2 flux가 최대치를 보인 후 경시적으로 감소하다가 전이기간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Fig. 2). 일반적으로 농경지 토양에서는 질소 투입에 의해 유기물 분해가 촉진되어 CO2 발생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Lee et al.
CH4과 유사하게 CO2 flux도 비산재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P<0.001) 감소하였으며, 비산재 무처리구에 비해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다 (Table 4).
GWP는 비산재 처리에 의해서 유의하게 (P<0.001) 감소하였으며, 감소폭은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는데 질소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비산재 10% 처리에 의해 GWP가 각각 23%와 21% 감소하였다.
7 g C kg-1으로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나타난 비산재에 의한 CO2 flux 감소의 주요 기작은 비산재의 원소 구성 중 Ca과 Mg과 토양수내 탄산이온의 탄산염 (CaCO3 및 MgCO3)화 반응에 의한 CO2 침전으로 판단된다 (Lim et al., 2012b; MontesHernandez et al., 2009).
flux를 분석하였다. 전체 항온배양기간 중 평균 CH4 flux는 0.59~1.68 mg CH4 m-2 day-1의 범위였으며, 질소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flux 가 낮았는데, 이는 질소 처리시 함께 시용된 SO42-의 전자 수용체 기능에 의해 CH4 생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질소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비산재 10% 처리에 의해 CH4 flux가 각각 37.
68 mg CH4 m-2 day-1의 범위였으며, 질소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flux 가 낮았는데, 이는 질소 처리시 함께 시용된 SO42-의 전자 수용체 기능에 의해 CH4 생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질소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비산재 10% 처리에 의해 CH4 flux가 각각 37.5%와 33.0% 감소하였는데, 이는 물리적인 측면에서 미립질 (실트 함량 75.4%)인 비산재 시용에 의해 통기성 대공극량이 감소되어 CH4 확산 속도가 저감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생화학적 측면에서는 비산재의 CO2 흡착능에 의해 CH4 생성의 주요 기작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 환원에 필요한 CO2 공급이 억제된 것도 원인일 수 있다.
CH4과 유사하게 CO2 flux도 비산재 무처리구에 비해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는데, 이는 비산재의 원소 구성 중 Ca과 Mg과 토양수내 탄산이온의 탄산염 (CaCO3과 MgCO3)화 반응에 의한 CO2 침전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비산재 처리에 의한 CH4과 CO2 flux 감소에 의해 지구온난화지수 역시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산재는 논 토양에서 CH4과 CO2 방출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재 벼 재배 포장에서의 실험을 통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후속연구
이상과 같은 비산재 처리에 의한 CH4과 CO2 flux 감소에 의해 지구온난화지수 역시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산재는 논 토양에서 CH4과 CO2 방출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재 벼 재배 포장에서의 실험을 통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의 특징은?
토양은 육상 생태계에서 가장 큰 탄소 저장고이지만, 토지이용 변화 및 토양 훼손 등 부적절한 관리에 의해 매년 약 58 Pg의 탄소가 토양으로부터 대기권으로 방출되고 있으며, 이 양은 화석 연료 사용에 의해 배출되는 탄소 (6.3 Pg)의 9배에 해당한다 (Houghton, 2007). 농업분야에서 배출 되는 온실 가스는 인간 활동에 의해 배출되는 전체 가스의 10~12%를 차지하기 때문에 농경지 토양 관리를 통한 온실 가스 감축 및 대기 CO2 격리가 필요하다 (IPCC, 2007).
농업분야에서 배출 되는 온실 가스 인간 활동에 의해 배출되는 전체 가스의 몇 %를 차지하는가?
3 Pg)의 9배에 해당한다 (Houghton, 2007). 농업분야에서 배출 되는 온실 가스는 인간 활동에 의해 배출되는 전체 가스의 10~12%를 차지하기 때문에 농경지 토양 관리를 통한 온실 가스 감축 및 대기 CO2 격리가 필요하다 (IPCC, 2007). 농경지에서 대기 CO2를 식물체를 매개로 토양 유기물로 저장 하여 안정화시키는 토양탄소격리 (soil C sequestration)는 기후 (Jastrow et al.
비산재와 같은 강알칼리성 개량제가 산성 토양에 투입되었을 때 토양 pH 개량에 의해 CH4 발생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이유는?
, 2012a; Mer and Roger, 2001). 그 중 토양 pH는 메탄 생성균 (methanogenes) 활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데, 메탄 생성균은 pH 5.0∼ 8.0에서 안정적으로 활동하며 특히 중성과 약알칼리성에서 활동성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Dalal et al., 2008; Mer and Roger, 2001).
참고문헌 (36)
Bedard, C. and R. Knowles. 1989. Physiology, biochemistry, and specific inhibitors of $CH_{4}$ , $NH_{4}^{+}$ , and CO oxidation by methanotrophs and nitrifiers. Microbiol. Mol. Biol. Rev. 53:68-84.
Chang, A.C., L.J. lund, A.L. Page, and J.E. Warneke. 1977. Physical properties of fly ash amended soils. J. Environ. Qual. 6(3):267-270.
Chen, R., X. Lin, Y. Wang, and J. Hu. 2011. Mitigating methane emissions from irrigated paddy fields by application of aerobically composted livestock manures in eastern China. Soil Use Manage. 27:103-109.
Dalal, R.C., D.E. Allen, S.J. Livesley, and G. Richards. 2008. Magnitude and biophysical regulators of methane emission and consumption in the Australian agricultural, forest, and submerged landscapes: a review. Plant Soil 309:43-76.
Dunfield, P., R. Knowles, R. Dumpont, and T.R. Moore. 1993. Methane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emperate and subarctic peat soils - response to temperature and pH. Soil Biol. Biochem. 25:321-326.
Ellert, B.H. and H.H. Janzen. 2008. Nitrous oxide, carbon dioxide and methane emission from irrigated cropping systems as influenced by legumes, manure and fertilizer. Can. J. Soil Sci. 88:207-217.
Gee, G.W. and J.W. Bauder. 1986. Particle size analysis. p. 383-412. In Campbell, G.S. et al.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1, Physical and mineralogical methods. Soil Sci. Soc. of Am., Madison, Wi, USA.
Halvorson, A.D., B.J. Wienhold, and A.L. Black. 2002. Tillage, nitrogen, and cropping system effects on soil carbon sequestration. Soil Sci. Soc. Am. J. 66:906-912.
Husch, B.W. 1998. Methane oxidation in arable soil as inhibited by ammonium, nitrite, and organic manure with respect to soil pH. Biol. Fertil. Soils 28:27-35.
Inobushi, K., Y. Furukawa, N. Shibasaki, M. Ali., A.M. Itang, and H. Tsurta. 2005. Factors influencing methane emission from peat soils, comparison of tropical and temperate wetlands. Nutrient Cycl. Agroecosys. 71:93-99.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Mitigation.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ic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Jala, S. and D. Goyal. 2006. Fly ash as a soil ameliorant for improving crop production-a review. Bioresour. Technol. 97:1136-1147.
Klubek, B., C.L. Carson, J. Oliver, and D.C. Adriano. 1992.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abundance and activity from three coal fly ash basin. Soil Biol. Biochem. 24:1119-1125.
Lee, H., S.H. Ha, C.H. Lee, Y.B. Lee, and P.J. Kim. 2006. Fly ash effect on improving soil properties and rice productivity in Korean paddy soils. Bioresour. Technol. 97:1490-1497.
Lee, S.B., Y.B. Lee, C.H. Lee, C.O. Hong, P.J. Kim, and C. Yu. 2008. Characteristics of boron accumulation by fly ash application in paddy soil. Bioresour. Technol. 99:5928-5932.
Lim, S.S., W.J. Choi, and H.Y. Kim. 2012a. Fertilizer and organic inputs effects on $CO_{2}$ and $CH_{4}$ emission from a soil under changing water regimes. Korean J. Environ. Agric. 31(2):104-112.
Lim, S.S., W.J. Choi, K.S. Lee, and H.R. Ro. 2012b. Reduction in $CO_{2}$ emission from normal and saline soils amended with coal fly ash. J. Soils Sediment 12:1299-1308.
Mandal, B., B. Majumder, P.K. Bandyopadhay, G.C. Hazra, A. Gangopadhyay, R.N. Samantaray, A.K. Mishra, J. Chaudhury, M.N. Saha, and S. Kundu. 2007. The potential of cropping systems and soil amendments for carbon sequestration in soils under long-term experiments in subtropical India. Global Change Biol. 13:357-369.
McCarty, G.W., R. Siddaramappa, R.J. Wright, E.E. Codling, and G. Gao. 1994. Sorbents for $CO_{2}$ capture from high carbon fly ashes. Waste Manage 28:2320-228.
Meijide, A., L.M. Cardenas, L. Sanchez-Martin, and A. Vallejo. 2010. Caron dioxide and methane fluxes from a barely field amended with organic fertilizers under Mediterranean climatic conditions. Plant Soil 328:353-367.
Montes-Hernandez, G., R. Prez-Lopez, F. Renard, J.M. Nieto, and L. Charelt. 2009. Mineral sequestration of $CO_{2}$ by aqueous carbonation of coal combustion fly-ash. J. Hazard. Mater. 161:1347-1354.
Nouchi, I. and S. Yonemura. 2005. $CO_{2}$ , $CH_{4}$ and $N_{2}O$ fluxes from soybean and barely double-cropping in relation to tillage in Japan. Phyton-ann. Rei. Bot. A. 45:327-338.
Nyberg, G., A. Ekblad, R. Buresh, and P. Hogberg. 2002. Short-term patterns of carbon and nitrogen mineralization in a fallow field amended with green manures from agroforesty trees. Biol. Fert. Soils 36:18-25.
Sumner, M.E. and W.P. Miller. 1996.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exchange coefficient. p. 1201-1229. In Sparks, et al.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3, Chemical methods. Soil Sci. Soc. of Am., Madison, Wi, USA.
Wang, Z.P., C.W. Lindau, R.D. Delaune, and W.H. Patrick. 1993. Soil redox and pH effects on methane production in a flooded rice soil. Soil Science Soc. Am. J. 57:382-385.
Yun, S.I., B.M. Kang, S.S. Lim, W.J. Choi, J. Ko, J. Yoon, H.M. Ro, and H.Y. Kim. 2012. Further understanding [ $CH_{4}$ emission from a flooded rice field exposed to experimental with elevated [ $CO_{2}$ ]. Agric. For. Meteorol. 154-155:75-8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