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화근처 헵탄 풀화재의 화염불안정성
Flame Instability in Heptane Pool Fires Near Extinction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B, v.36 no.12 = no.327, 2012년, pp.1193 - 1199  

정태희 (부경대학교 안전공학과) ,  이의주 (부경대학교 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풀화재에서 화염불안정성에 대하여 산화제 유속변화와 농도변화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컵버너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료는 헵탄을 사용하였고, 산화제는 공기에 질소와 이산화탄소를 희석하였다. 소화근처에서 축방향 및 화염 밑면에서 두 가지 형태의 대표적인 불안정성이 관찰되었다. 화염 밑면에서 발생되는 불안정성은 셀, 스윙, 회전 모드로 특성화 할 수 있고, 산화제의 유속이 증가할수록 모든 불활성 기체에서 셀, 스윙 모드에서 회전모드로 천이하였다. 이러한 화염밑면 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기혼합률, Le 수, 단열화염온도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되었다. 이 중 Le 수가 불안정성 모드와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지만 보다 정확한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실험조건에서의 결과가 요구된다. 또한, 소화농도근처의 화염에서는 유속이 작거나 큰 경우에는 축방향 주기적인 진동불안정성이 나타나지 않고, 적절한 산화제 속도 영역에서만 관찰된다. 이는 작은 유속에서는 증발하는 연료속도가 임계유속이하이며, 큰 유속에서는 반응중인 연료유속과 산화제 유속이 유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up burner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oxidizer velocity and concentration on flame instability near extinction. Heptane was used as a fuel and air diluted by nitrogen and carbon dioxide was used in the oxidizer stream. Two types of flame instabilities at the flame 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트 대신 풀화재를 화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력지배적인 화염이 형성되므로 두 가지의 불안정성 모드인 축방향 떨림과 밑면의 불안정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컵버너(cup burner)를 모델로 확산화염의 산화제에 불활성기체(N2, CO2)를 희석한 헵탄연료로 유속변화와 농도변화에 대한 화염밑면과 축방향 진동에 관한 불안정성에 관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N2 CO2 등 다양한 불활성가스 희석에 대한 화염불안정성을 컵버너에서 형성된 풀화재에서 검토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또한, 연료나 산화제에 불활성기체를 주입하면 반응물의 조성 비율이 달라져 물질확산과 열확산의 비(Lewis number)가 변화하여 이로 인해서 화염전파속도나 화염면의 온도가 변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화제에 다양한 불활성 기체를 첨가하여 유속변화와 농도변화에 대해 화염 밑면에서의 불안정성 형태를 조사함과 동시에 각 불안정성의 떨림 주파수를 측정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풀화재에서의 산화제 유속과 농도 변화에 따른 화염의 떨림 주파수를 측정하였다. 컵버너 실험 장치는 NFPA 2001 Standard(15) 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으며, 자세한 구성은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컵버너 실험을 수행한 이유는 무엇인가?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풀화재에서 화염불안정성에 대하여 산화제 유속변화와 농도변화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컵버너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료는 헵탄을 사용하였고, 산화제는 공기에 질소와 이산화탄소를 희석하였다.
화염밑면 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기 위해 무엇을 하였는가? 화염 밑면에서 발생되는 불안정성은 셀, 스윙, 회전 모드로 특성화 할 수 있고, 산화제의 유속이 증가할수록 모든 불활성 기체에서 셀, 스윙 모드에서 회전모드로 천이하였다. 이러한 화염밑면 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기혼합률, Le 수, 단열화염온도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되었다. 이 중 Le 수가 불안정성 모드와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지만 보다 정확한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실험조건에서의 결과가 요구된다.
두 가지 모드의 화염불안정성에서 첫 번째 모드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부력지배 확산화염 에서는 크게 두 가지 모드의 화염불안정성을 관찰할 수 있다. 첫 번째 모드는 축방향의 주기적 진동이다. 축방향 화염진동은 주변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를 주기적 진동(flickering) 으로 일반적으로 부르고 있고, 큰 와(vortex)의 형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amberlin, D. S. and Rose, A., 1928, "The Flicker of Luminous Flames," Industrial Engineering Chemistry, Vol. 20, pp. 1013-1016. 

  2. Barr, J., 1953 "Diffusion Flames," 4th Symposium (International) on Combustion, Vol. 4, pp. 765-771. 

  3. Rasbash, D. J., Rogowski, Z. W. and Stark, G. W. V., 1956, "Properties of Fires of Liquids," Fuel, Vol35, pp. 94-107. 

  4. Grant, A. J. and Jones, J. M., 1975, "Low Frequency Diffusion Flame Oscillations," Combustion and Flame, Vol. 25, pp. 153-160. 

  5. Jeong, T. H. and Lee,E. J., 2012, "The Effects of Velocity and Concentration in the Oxidizer of Heptane Pool Fires on the Flame Stability," Trans. of the KSME (B), Vol. 36, No. 3, pp. 309-314. 

  6. Katta, V R., Roquemore, W. M., Menon, M., Lee, S. T., Santoro, R. J. and Litzinger, T. A., 2009, "Impact of Soot on Flame Flicker," Proc. Combustion Inst., Vol. 32, pp. 1343-1350. 

  7. Buckmaster, J., Hegab, A. and Jackson, T. L., 2000, "More Results on Oscillating Edge-Flames," Phys. Fluids, Vol. 12, pp. 1592-1600. 

  8. Buckmaster, J., 2001, "Large-Lewis-Number Instabilities of Model Edge-Flames," Combust. Flame, Vol. 127, pp. 2223-2233. 

  9. Cheamtham, S. and Matalon, M., 1996, "Heat Loss and Lewis Number Effects on the Onset of Oscillation in Diffusion Flames," Proc. Combust. Inst., Vol. 26, pp. 1063-1070. 

  10. Kirkby, L. L., Schmitz, R. A., 1996, "An Analytical Study of the Stability of a Laminar Diffusion Flame," Combust. Flame, Vol. 26, pp. 205-220. 

  11. Kurdyumov, V. N. and Matalon, M., 2002, "Radiation Losses as a Driving Mechanism for Flame Oscillations," Proc. Combust. Inst., Vol. 29, pp. 45-52. 

  12. Sivashinsky, G, I., 1977, "Diffusion-Thermal Theory of Cellular Flames," Combust. Sci. Technol., Vol. 15, pp. 137-146. 

  13. Kim, J. S., Williams, F. A. and Ronney, P. D., 1996, "Diffusional-Thermal Instability of a Diffusion Flames," Fluid Mech, Vol. 327, pp. 273-301. 

  14. Marc, F., Papas, P. and Monkewitz, P.A., 2000, "Non-Premixed Jet Flame Pulsations near Extinction," Proc. Combustion Inst., Vol 28, pp. 831-838. 

  15. Anon, NFPA 2001, "Standard on Clean Agent Fire Extinguishing System," Proceedings National Fire Protection Agency, Quincy, MA, 2000. 

  16. Takahashi, F., Linteris, G. T., Katta, V. R., 2007, "Vortex-coupled Oscillations of Edge Diffusion Flames in Coflowing Air with Dilution," Proc. Combustion Inst., Vol. 31, pp. 1575-1582. 

  17. http://web.eng.ucsd.edu/mae/groups/combustion/mechanism.html 

  18. Kee, R. J. Rupley, F. M. and Miller, J. A., 1989, "Chemkin-II : A Fortran Chemical Kinetics", Sandia Report SAND89-8009B 

  19. Lutz, A. E., Rupley, F. M., Kee, R. J. and Reynolds, W. C., 2000, "EQUIL: A Program for Computing Chemical Equilibria,"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20. Jacono, D. L., Papas, P. and Monkewitz, P. A., 2003, "Cell Formation in Non-Premixed, Axisymmetric Jet Flames Near Extinction," Combust. Theory Model., Vol. 7, pp. 635-644. 

  21. Chen, R. H., Chaos, M. and Kothawala, A., 2007, "Lewis Number Effects in Laminar Diffusion Flames Near and Away from Extinction," Proc. Combustion Inst., Vol. 31, pp. 1231-1237. 

  22. Chaos, M. and Chen, R. H., 2004, "An Experimental Study of Pulsating Instability in Near- Limit Laminar Nonpremixed Flames," Combust. Sci. Thechnol, Vol. 176, pp. 1191-12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