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자외선 차단제 사용과 골 건강증진행위 및 골밀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un-Screening Agent Use, Bon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5 no.4, 2013년, pp.202 - 209  

현혜진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주현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고가연 (강릉영동대학교 간호학과) ,  박복순 (강릉영동대학교 간호학과) ,  최은영 (강릉영동대학교 간호학과) ,  안미향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sun-screening agents use, bon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bone mineral dens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5 female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bout sun-screening 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 대학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외선 차단제 사용과 골 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하여 골밀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개 대학 여대생의 골밀도를 확인하고 자외선차단과 골 건강증진행위 및 골밀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연구결과 모자나 옷의 차단정도와 차외선 차단제의 차단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골감소증 위험 대상자의 비율은 21.
  • 또한 현재 골밀도 정상군의 경우도 우유와 뼈째 먹는 생선의 섭취에 있어서는 권장섭취량에 미달되었고, 일주일동안의 운동량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외선차단과 골 건강 행위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외선 차단제 사용이 늘어가는 시점에서 골밀도와의 관계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으나 대상자 선택에 있어 일대학의 여학생을 대상하였고, 골밀도에 미치는 생활습관을 사전에 통제하지 못하여 연구의 제한점이 있으므로 향후 더 큰 규모의 대상으로 한자외선 차단제 사용과 골밀도의 관계를 규명할 것과 골밀도에 미치는 생활습관을 사전에 통제하여 여대생의 골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를 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최근에는 남학생들도 피부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남학생들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골밀도 정도도 파악해 볼 필요가 있겠다.
  • 본 연구는 젊은 여성의 골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와 골 건강증진행위와 골밀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일 대학여대생을 대상으로 자외선 차단과 골 건강증진행위 및 골밀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초음파 골밀도측정기인 오스테오 프로(Ultrasound Bone Densitometer/Osteo Pro Series)는 말단골의 골밀도를 측정하거나, 종골의 초음파 측정을 통하여 정상인과 치료를 요하는 골다공증 환자를 구분하는데 도움이 된다.
  • 자외선차단제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피부에 도포하여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제제로 화학적 작용과 물리적 작용으로 구분된다(Kim, 2006). 본 연구에서는 썬블록 로션과 크림 등 자외선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제품을 의미한다. Kwak (2011)의 연구에서 사용한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질문지를 간호학과 교수 2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일반적 특성에 포함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성인기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외선 차단제 사용과 골 건강증진행위 및 골밀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여대생의 골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외선차단제와 골 건강증진행위 및 골밀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골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골다공증은 골량의 감소, 골조직의 퇴화, 미세구조의 이상으로 뼈의 강도가 약해져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질환이다(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KSBMR], 2008). 골밀도는 무기질이 침착되어 있는 골량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골다공증은 낮은 골밀도를 특징적으로 나타낸다(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NOF], 2013).
골다공증과 골절의 위험인자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골다공증과 골절의 위험인자로는 알코올, 낮은 칼슘 섭취, 비타민 D 부족, 부적당한신체적활동, 흡연, 지나치게 마른 체구 등 생활 습관 요인과, 유전적 요인, 질병, 가족력, 조기폐경, 무월경, 자가면역 질환, 기타 건강상태와 약물 등(NOF, 2013; KSBMR, 2008)이있다.
오스테오 프로장비의 장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초음파 골밀도측정기인 오스테오 프로(Ultrasound Bone Densitometer/Osteo Pro Series)는 말단골의 골밀도를 측정하거나, 종골의 초음파 측정을 통하여 정상인과 치료를 요하는 골다공증 환자를 구분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요추 및 대퇴골 골밀도 측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방사선 피폭량도 적기 때문에 개원가나 검진센터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기에(Kim, 2004), 본 연구에서도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yun, Y. S. (1999).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BMD in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1), 56-70. 

  2. Cho, D. S., & Lee, J. Y. (2008). Bone mineral density and factors affecting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4), 297-305. http://dx.doi.org/10.4069/kjwhn.2008.14.4.297 

  3. Chon, M. Y., Jeon, H. W., & Kim, M. H. (2012). Bone mineral density and factors influencing bone mineral density in college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8(3), 190-199.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3.190 

  4. Chung, C. W., & Lee, S. J. (2013). Effects of body weight control behaviors 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young adul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1), 57-65.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1.57 

  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2). News release, Retrieved January 24, 2013, from hira.or.kr/dummy.do?pgmidHIRAA020003010000&cmsurl/cms/notice/06/1315456_14151.html 

  6.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 (2013). 2013 ISCD Official positions Adult., Retrieved, 2013, from http://www.iscd.org/official-positions/ 

  7. Jung, H. A. (2006). Study on harmfulness recognition degree of ultraviolet ray and behavioral use in sunblock.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8. Kang, H. Y. (2009). Relationship among life style,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3), 325-332. 

  9. Kim, D. Y. (2004). Clinical applic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lmaging, 38(4), 275-281. 

  10. Kim, A. R., Lee, S. E., Lee, Y. M., Baek, S. H., Chung, H. I., An, J. H., et al. (2010). Development of regression equ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BMD and body composi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9, 667-672. 

  11. Kim, J. H., Choi-Kwon, S., Bark, Y. H., Park, K. A., Suh, M. H., & Lee, S. O. (2010). The effect of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education program on bone mineral density in the middle-aged women: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2(3), 195-205. 

  12. Kim, M. H., & Kim, J. S.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lleg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3), 312-320. 

  13. Kim, M. S. (2006). The theory and practice of esthetics (3rd ed.). Seoul: Hyunmoonsa. 

  14. Kim, S. C., & Kwon. D. M. (2005). The relation between a practical life and a bone mineral density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8(3), 235-239. 

  15. Kim, S. W. (2010). New insight into the vitamin D. Journal of Meteorological Technology and Policy, 3(4), 88-92. 

  1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7). How do I use sunscreen cosmetics. Seoul: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17.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2008). Physician's guide for diagnosis & treatment of osteoporosis,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1-25. 

  18. Kwak, E. Y. (2011).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ultraviolet-rays and the use of sunscreen by female 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9. Lee, E. N. (2009).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bone health promoting behavioral change after the bone mineral density test in college women.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16(2), 105-115.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Retrieved April 05, 2012, from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1. Min, H. J., & Oh, H. Y. (2011). A study o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2), 111-120. 

  22.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2013). NOF's newly revised 2013 clinician's guide to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Washington, DC. Retrieved, 2013, from http://nof.org/hcp/clinicians-guid 

  23. Oh, E. G., Ko, I. S., Chu, S. H., Lee, J. E., & Yoo, J. Y. (2012). Female college student' knowledge, self-efficacy and health behaviors related to bone health.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8(1), 38-42. http://dx.doi.org/10.4069/kjwhn.2012. 18.1.38 

  24. Patel, R., Collins, D., Bullock, S., Swaminathan, R., Blake, G. M., & Fogelman, E. (2001). The effect of season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bone mineral density in healthy women: A double-masked crossover study. Osteoporosis International, 12(3), 319-325. 

  25. Shearer, M. J. (1997). The roles of vitamin D and K in bone health and osteoporosis prevention.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7(56), 915-937. 

  26. Tangpricha, V., Turner, A., Spina, C., Decastro, S., Chen, T. C., & Holick, M. F. (2004). Tanning is associated with optimal vitamin D status(serum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 and higher bone mineral density.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0, 1645-9. 

  27. Yoon, E. J. (2001). The model explaining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osteoporo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