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느릅나무 근피드레싱이 쥐에 유발된 욕창의 섬유아세포성장인자와 혈관내피성장인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lmus Root-bark Dressing in Fibroblast Growth Factor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of Induced Pressure Ulcer in Ra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5 no.4, 2013년, pp.257 - 263  

나연경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lmus root-bark dressing in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of induced pressure ulcers in rats. Methods: 54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and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The rat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느릅나무 근피드레싱이 욕창의 조직재생에 중요한 지표가 되는 FGF와 VEGF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여 상처의 예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간호중재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느릅나무 근피드레싱이 쥐에 유발된 욕창의 조직재생 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하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느릅나무 근피드레싱이 쥐에 유발된 욕창의 섬유아세포성장인자(FGF)와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순수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느릅나무 근피드레싱이 쥐의 유발된 욕창의 섬유아세포성장인자(FGF)와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순수실험연구, 체중 400 ±50 g의 수컷 흰쥐(SpragueDawley) 54마리를실험군 27마리, 대조군 27마리에 무작위 배정하여 실험군에는 느릅나무 근피드레싱, 대조군에는 습윤 거즈드레싱을 2일 1회 총 8회 실시한 후, 면역염색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느릅나무 근피드레싱이 흰쥐에 유발된 욕창의 조직재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욕창의 치유과정과 반흔형성의 예후를 측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되는 FGF와 VEGF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처의 자가 치유 기전인 삼출물이 과도하게 생성될 시 야기되는 문제는? , 2009; Takayama, Kuramoto, Okuyama, Yamasaki, & Aiba, 2010). 그러나 상처 기저에 과도한 삼출물을 형성하는 요인들 때문에 염증기에 오래 머무르는 경우, 콜라겐 과다 형성으로 반흔 조직이 과도하게 형성될 수 있다(Gabriel et al., 2003).
욕창의 조직재생과정의 3단계는 무엇인가? 욕창의 조직재생과정은 일반적으로염증기(inflammatory phase), 증식기(proliferative phase), 성숙기(maturational phase)의 3단계를 거치며, 특히 3기 이상의 욕창은 개방된 창상에서 현저한 조직의 결손이나 괴사 또는 감염을 유발할 수 있고 이차유합에 의한 치유과정이 일어난다. 치유과정을 촉진하는 인자로는 섬유아세포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형질변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TGFβ) 등이있으며(Gabriel, Mussman, Rosenberg, & Torre, 2003; R&D system, 2002), Dai 등(2012)은 FGF와 VEGF의 발현은 3-4기 욕창의 창상회복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고 하였다.
욕창의 치유과정을 촉진하는 인자로는 무엇이 있나? 욕창의 조직재생과정은 일반적으로염증기(inflammatory phase), 증식기(proliferative phase), 성숙기(maturational phase)의 3단계를 거치며, 특히 3기 이상의 욕창은 개방된 창상에서 현저한 조직의 결손이나 괴사 또는 감염을 유발할 수 있고 이차유합에 의한 치유과정이 일어난다. 치유과정을 촉진하는 인자로는 섬유아세포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형질변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TGFβ) 등이있으며(Gabriel, Mussman, Rosenberg, & Torre, 2003; R&D system, 2002), Dai 등(2012)은 FGF와 VEGF의 발현은 3-4기 욕창의 창상회복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o, P., Kodra, A., Tomic-Canic, M., Golinko, M. S., Ehrlich, P., & Brem, H. (2009). The rol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wound healing. Journal of Surgical Research, 153(2), 347-358. http://dx.doi.org/10.1016/j.jss.2008.04.023 

  2. Cho, S. K., Lee, S. G., & Kim, C. J. (1996).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ies of water extract of root bark of ulmus parvifoli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7(3), 274-281. 

  3. Corral, C. J., Siddiqui, A., Wu, L., Farrell, C. L., Lyons, D., & Musloe, T. A. (1999).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s more important than basic fibroblastic growth factor during ischemic wound healing. Archives of Surgery, 134(2), 200-205. http://dx.doi.org/10.1001/archsurg.134.2.200 

  4. Dai, Y. L., Pan, Y. Y., Sun, Y., Cui, F. F., Zhang, L., Xiao, J., et al. (2012).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n the late stage of pressure ulcer. Zhonghua Shao Shang Za Zhi, 28(5), 363-366. 

  5. Fujiwara, M., Muragaki, Y., & Ooshima, A. (2005). Upregul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cultured keloid fibroblasts: relevance to angiogenic activity. Achives of Dermatological Research, 297(4), 161-169. http://dx.doi.org/10.1007/s00403-005-0596-2 

  6. Gabriel, A., Mussman, J., Rosenberg, Z. L., & Torre, J. I. (2003). Wound healing, Growth factor. Retrieved August 22, 2011, from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1298196-overview 

  7. Gale, N., W., & Yancopoulos, G. D. (1999). Growth factors acting via endothelial cell-specific receptor tyrosine kinases: VEGFs, angiopoietins, and ephrins in vascular development. Genes & Development, 13(9), 1055-1066. http://dx.doi.org/10.1101/gad.13.9.1055 

  8. Greenhalgh, D. G., Sprugel, K. H., Murray, M. J., & Ross, R. (1990). PDGF and FGF stimulate wound healing in the genetically diabetic mous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36(6), 1235-1246. 

  9. Han, D. O., Kim, G. H., Choi, Y. B., Shim, I. S., Lee, H. J., Lee, Y. G., et al. (2005). Healing effects of astragali radix extracts on experimental open wounds in rats. Korean Journal. Oriental Physiology of Pathology, 19(1), 92-97. 

  10. Kang, E. Y. (2003). Conservative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with ulmus dres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1. Kang, S. H., Oh, T. Y., Cho, H., Ahn, B. O., & Kim, W. B. (1999). Accelerated wound healing by recombinant huma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n healing-impair-ed animal models. The Journal of Applied Pharmacology, 7(1), 7-13. 

  12. Kim, H. Y., & Park, H. A. (2009). Identifying minimum datasets for pressure ulcer assessment and analysis of nursing records in home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 105-111. 

  13. Kim, J. M., & Park, J. S. (2010).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2(4), 353-364. 

  14. Kim, K. S. (2001). The effects of ulums root-bark on the pressure ulc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5. Kim, K. S., Cho, N. O., & Park, Y. S. (1997). A study on prevalence and nursing intervention of bed sore patients who received regional home care servic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4(1), 43-60. 

  16. Kim, Y. O., Seo, Y. C., Lee, H. Y., Oh, S. M., Lee, S. W., & Kim, H. D. (2011). Anti-wrinkle effect of ulmus davidiana extrac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6), 508-513. http://dx.doi.org/10.7783/KJMCS.2011.19.6.508 

  17. Korean Society of Pathologists. (2010). Pathology I, II. (7th ed.). Seoul: Komoonsa. 

  18. Liechty, K. W., Adzick, S., & Crombleholme, T. M. (2000). Diminished interleukin 6(IL-6) production during scarless human fetal wound repair. Cytokine, 12(6), 671-676. http://dx.doi.org/10.1006/cyto.1999.0598 

  19. Lim, A. K., Kim, K. S., Park, S. J., Hong, J. H., Choi, H. J., & Kim, D. I. (2010). Healing effects of ginsenoside Rg1 on experimental open wound in ra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Nutrition, 39(10), 1452-1458. http://dx.doi.org/10.3746/jkfn.2010.39.10.1452 

  20. Lin, Z. Q., Kondo, T., Ishida, Y., Takayasu, T., & Mukaida, N. (2003). Essential involvement of IL-6 in the skin wound-healing process as evidenced by delayed wound healing in IL-6-deficient mice. Journal of Leukocyte Biology, 73(6), 713-721. http://dx.doi.org/10.1189/jlb.0802397 

  21. Mandriota, S. J., & Pepper, M. S. (1997).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induced in vitro angiogenesis and plasminogen activator expression are dependent on endogenous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Journal of Cell Science, 110(18), 2293-2302. 

  22. Na, Y. K., & Hong, H. S. (2006). The effects of the ulmus root-bark dressing in tissue regeneration of induced pressure ulcer in ra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6(6), 523-531. 

  23. Nam, M. H., & Lim, J. H. (2012). Analysis on the situation of inpatients with pressure ulcer by patient safety indicator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10(3), 197-205. 

  24. R&D System Inc. (2002, January 1). Cytokines in Wound Healing. Retrieved August 10, 2013, from http://www.rndsystems.com/mini_review_detail_objectname_MR02_CytokineWoundHealing.aspx 

  25. Robson, M. C., Philips, L. G., Lawrence, W. T., Bishop, J. B., Yongerman, J. S., Hayward, P. G., et al. (1992). The safety and effect of topically applied recombinant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on the healing of chronic pressure sores. Annals of Surgery, 216(4), 401-408. http://dx.doi.org/10.1097/00000658-199210000-00002 

  26. Ryu, H. S., Park, C. S., Kim, I. A., Kwon, Y. D., & Kang, S. W. (2008). Use of home nursing therapy and need of home care equipm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19(2), 157-166. 

  27. Seghezzi, G., Patel, S., Ren, C. J., Gualandris, A., Pintucci, G., Robbins, E. S., et al. (1998). Fibroblast growth factor-2 (FGF-2) induce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xpression in the endothelial cells of forming capillaries: An autocrine mechanism contributing to angiogenesis. Journal of Cell Biology, 141(7), 1659-1673. http://dx.doi.org/10.1083/jcb.141.7.1659 

  28. Stravi, G. T., Zachary, I. C., Baskerville, P. A., Martin, J. F., & Erusalimsky, J. D. (1995).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upregulates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Synergistic interaction with hypoxia. Circulation, 92(1), 11-14. http://dx.doi.org/10.1161/01.CIR.92.1.11 

  29. Takayama, M., Kuramoto, Y., Okuyama, R., Yamasaki, K., & Aiba, S. (2010). The exudate of pressure ulcers contains a substantial amount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otor. The Tohoku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221(4), 315-319. http://dx.doi.org/10.1620/tjem.221.315 

  30. Wang, H., & Keiser, J. A. (1998).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upregulates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role of flt-1. Circulation Research, 83(8), 832-840. http://dx.doi.org/10.1161/01.RES.83. 8.83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