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온실 피복재 및 보온재의 관류열전달계수 측정 장치 원문보기

전원과 자원 = Rural resource, v.55 no.4, 2013년, pp.50 - 58  

이현우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  이종원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는 표준화된 관류열전달계수 측정시스템 및 측정기준의 부재로 최근 개발되어 상용화된 피복재와 보온재에 대한 관류열전달 특성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통일된 정량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환경에 적합한 표준화된 피복재 및 보온재의 관류열전달계수 측정시스템과 측정방법 및 기준의 개발이 필요하며 본고에서는 현재 개발되고 있는 관류열전달계수 측정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 온실의 피복재 및 보온재의 관류열전달계수 측정시스템의 개발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현황을 소개하고 국내에서는 개발되고 있는 관류열측정시스템을 소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실의 난방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합니까? 온실의 난방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난방에 소요되는 경비가 정확히 계산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난방설비의 적정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최대난방부하와 재배기간 동안의 난방소요열량을 산정하기 위한 기간난방부하의 정확한 계산이 필요하다. 난방부하의 요인이 되는 온실의 열손실량은 피복재를 통한 관류열손실량, 온실 표면의 틈새를 통한 환기전열손실량 및 실내공기와 토양과의 열교환에 의한 지중전열손실량의 합으로 계산되지만 이 중 관류열손실량은 전체 열손실량의 60∼100%정도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난방부하량을 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온실의 열손실량은 어떻게 계산됩니까? 온실의 난방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난방에 소요되는 경비가 정확히 계산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난방설비의 적정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최대난방부하와 재배기간 동안의 난방소요열량을 산정하기 위한 기간난방부하의 정확한 계산이 필요하다. 난방부하의 요인이 되는 온실의 열손실량은 피복재를 통한 관류열손실량, 온실 표면의 틈새를 통한 환기전열손실량 및 실내공기와 토양과의 열교환에 의한 지중전열손실량의 합으로 계산되지만 이 중 관류열손실량은 전체 열손실량의 60∼100%정도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난방부하량을 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관류열손실량은일반적으로관류열전달계수와온실내외부온도차의 곱으로 구해지고, 관류열전달계수는 외부기온, 풍속 및 천공상태 등의 기상조건, 피복재의 표면상태, 피복재 내외부 표면의 대류열전달 방식, 장파복사열교환량, 틈새환기량, 피복면적, 온실형태, 온실바닥면적, 보온커튼의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지며.
국내에서는 개발되고 있는 관류열측정시스템으로 인하여 예상되는 장점은 무엇입니까? 개발될 시스템은 향후 자재 생산업체, 연구기관 및 시험기관에 보급하여 정량화된 기준에 따라 자재의 보온 성능을 분석함과 동시에 피복재 및 보온재의 보온성능에 대한 국내 기준을 정량적으로 제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온재의 사용적격 판정을 위한 정량적 기준이 제시되어 보온재의 규격화에 기여할 것이고, 관류열손실을 억제하는 피복재 및 보온재의 본질적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경제적·산업적 측면에서는 온실용 피복재 및 보온재의 국내 기준과 측정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제품의 규격화와 표준화에 기여할 것이고, 피복재 및 보온재의 성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보온재 생산기술이 우수하게 되어 보온재 산업의 대외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bdel-Ghany, A.M. and T. Kozai. 2006. On the determination of the overall heat transmission coefficient and soil heat flux for a cooled, naturally ventilated greenhouse: Analysis of radiation and convection heat transfer.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47:2612-2628. 

  2. Albright, L.D., I. Seginer, L.S. Marsh, and A. Oko. 1985. In situ thermal calibration of unventilated greenhouse. J. agric. Engng Res. 31:265-281. 

  3. ASABE. 2008. Heating, ventilating and cooling greenhouses. ASABE Standards. 

  4. Bailey, B.J. 1981. The reduction of thermal radiation in glasshouses by thermal screens. J. agric. Engng Res. 26: 215-224. 

  5. Bailey, B.J. and Z.S. Chalabi. 1994. Improving the cost effectiveness of greenhouse climate control.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10:203-214. 

  6. Feuilloley, P., and G. Issanchou. 1996. Greenhouse covering materials measurement and modeling of thermal properties using the hotbox method, and condensation effects. J. agric. Eng. Res. 65:129-142. 

  7. Garzoli, K.V. and J. Blackwell. 1987. An analysis of the nocturnal heat loss from a double skin plastic greenhouse. J. Agric. Engng Res. 36:75-85. 

  8. Geoola, F., Y. Kashti, A. Levi, and R. Brickman. 2009. A study of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greenhouse cladding materials with thermal screen using the hotbox method. Polymer Testing 28:470-474. 

  9. Holman, J.P. 1986. Heat transfer. Mc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s, New York. 

  10. Japan Protected Horticulture Association (JPHA). 1994. Handbook of protected horticulture. Japan Protected Horticulture Association. p.170-173 (in Japanese). 

  11. Kittas, C., 1994.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a greenhouse cover.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9:205-221 (in French). 

  12. Minagawa, H. and K. Tachibana. 1982. The overall heat transfer of greenhouses covered with PE and PVC single layer - The heat insulation efficiency of greenhouses and their covering materials (1). J. Agr. Met. 38(1):15-22 (in Japanese). 

  13. Nijskens, J., J. Deltour, S. Coutisse, and A. Nisen. 1984a. Heat transfer through covering materials of greenhous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3:193-214. 

  14. Papadakis, G., D. Briassoulis, G.S. Mugnozza, G. Vox, P. Feuilloley, and J.A. Stoffers. 2000. Radiometric and thermal properties of, and testing methods for, greenhouse covering materials. J. Agric. Eng. Res. 77(1):7-38. 

  15. Seginer, I., D. Kantz, U.M. Peiper, and N. Levav. 1988. Transfer coefficients of several polyethylene greenhouse covers. J. agri. Engng Res. 39:19-37. 

  16. Ursula E, Antoine D (2011) Photovoltaic-thermal collectors for night radiative cooling of buildings. Solar Energy 85(7): 1322-1335. 

  17. 김영복, 박중춘, 허무룡, 이시영, 정성우. 2007. 알루미늄반사재의 배치형태에 따른 보온 효과.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16(4): 284-290. 

  18. 김영복, 이시영, 정병룡. 2009. 보온단열재의 설치방법에 따른 보온성 효과 분석.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18(4): 332-340. 

  19. 신용습, 연일권, 도한우, 이지은, 정종도, 강찬구, 최충돈, 전희, 최영하, 정두석. 2007. 필름두께 및 적외선 흡수율 차이가 참외의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16(3): 167-173. 

  20. 이시영, 김학주, 전희, 염성현, 이현주. 2007. 다겹보온자재의 보온성 비교 및 커튼개폐장치 개발.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16(2): 89-95. 

  21. 이현우. 2011. 플라스틱 피복재의 관류열전달계수 변화.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20(2): 72-77. 

  22. 장유섭. 1996. 시설하우스용 보온커튼재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5(1): 34-52. 

  23. 전희, 최영준, 최영하, 김학주, 이시영, 정두석, 신용습, 최충돈. 2007. 기능성 연질필름 온실의 미기상.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16(2): 96-100. 

  24. 전희, 최영하, 박경섭, 우영회. 2008. 단동온실의 내 외층피복자재 조합별 미기상 분석.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발표논문집 17(1): 476-479. 

  25. 정성원, 김동건, 이석건, 남상헌, 이용범. 2009. 시설원예용 조합형 다겹보온자재의 보온 특성.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18(4): 341-347. 

  26. 日本施設園藝協會, 2007, 五訂施設園藝ハンドブック. 

  27. 皆川秀夫, 立花一雄. 1982. PE, PVC一中被覆ハウスの熱貫流. 農業氣象38(1): 15-22. 

  28. 三原義秋, 林?紀夫. 1979. 溫室の保溫に關する硏究. 農業氣象35(1): 13-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