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모의 한약 복용이 모유에 미치는 영향 - HPLC와 LC/MS/MS를 이용한 생화탕 지표성분 분석 -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Breastfeeding - Analysis of Marker Substances in Saenghwa-tang by HPLC and LC/MS/MS -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26 no.4, 2013년, pp.48 - 65  

박가영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학교실) ,  이아영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학교실) ,  반지혜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학교실) ,  박정경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학교실) ,  이은희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e took breast milk samples and analyzed them using HPLC and LC/MS/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aking Saenghwa-tang during breastfeeding on breast milk.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0 lactating women who admitted in Korean medical postpartum care center. Breast milks were c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O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산후클리닉에서 生化湯加減方을 복용 중인 산모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므로, 본 병원에서 시행하는 임상투여 원칙에 따라서 진행하였다. 임상시험 기간 동안 生化湯加減方의 약재는 동일한 구입처에서 일괄 구입한 것을 사용했으며, 처방의 첩당 분량과 구성 및 가감 약재는 아래와 같다(Table 1).
  • 이에 저자는 모유수유 중 한약 복용이 모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生化湯 加減方을 복용하고 있는 건강한 산모 20명을 대상으로 한약 복용 후 이행 유에 해당하는 모유를 채취한 후, HPLC와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LC/MS/MS)를 이용하여 生化湯의 지표물질로 amygdalin, liquiritin,6-gingerol,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를 선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유의 장점은 무엇인가? 모유는 생후 첫 6개월 동안 영아의 성장과 발육에 필요한 모든 양분을 공급하는 가장 이상적인 식품이다1). 이러한 모유수유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1970년대 이후 WHO와 UNICEF를 중심으로 모유수유 운동이 전세계적으로 전개되었고2), 우리나라 역시 2000년에 약 10%로 저조했던 생후 1개월 된 아기의 완전모유 수유율이 2005년에는 58.
수유 중인 산모가 경험하는 질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수유 중인 산모는 임신 혹은 출산 후 발생한 질환(임신성 당뇨 및 혈압, 유선염, 산후우울증, 치질, 피부질환, 폐수종, 각종 관절통 등), 치과 치료나 만성 질환(고혈압, 당뇨, 갑상선 질환, 결핵, 류마티스 관절염, 정신질환 등)으로 인한 다양한 약물 노출3)을 경험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산모가 약물 복용시 약물이 모유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약물의 임상시험이 불가능한 상황이다4).
약물의 임상시험을 한 산모가 수유를 중단하게 되는 원인은? 이와 더불어 산모가 약물 복용시 약물이 모유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약물의 임상시험이 불가능한 상황이다4). 모유 수유시 약물 복용의 다양한 가이드 라인이 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인들의 미흡한 정보와 이에 따른 산모의 불안은 수유를 중단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Lawrence PB. Breast milk: Best source of nutrition for term and preterm infants. Pediatr Clin North Am. 1995;41:925-41. 

  2. International Pediatric Association. Recommendations for action programmes to encourage breastfeeding. Acta Pediatr Scand. 1976;65(3):275-7. 

  3. 육지형 등. 한국 마더세이프 전문 상담 센터의 수유부 약물 상담 내용 분석 ; 5년간의 경험. 대한주산회지. 2011; 22(2):129-35. 

  4. Fleishaker JC. Models and methods for predicting drug transfer into human milk.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2003;55(5):643-52. 

  5. Rebecca M, et al. 모유수유 A to Z. 서울:민족의학신문. 2010:195-227. 

  6. 장석우, 허수정, 조현주. 서울시 소재 산후조리원의 의료인 연계 및 한방의료 현황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4):174-85. 

  7. 이태균, 오주석, 김동일. 를 중심으로 살펴본 생화탕의 운용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9; 12(2):327-48. 

  8. 김성준. 한의사가 처방한 한약 투여는 안전합니다. 서울:민족의학신문. 2011. 

  9. 서창섭 등.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농도변화- 소화기계 약을 중심으로. 대한본초학회지. 2009;24(1):111-9. 

  10. 서창섭 등.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농도변화-감기약을 중심으로. 대한본초학회지. 2008;23(4):51-8. 

  11. Hale TW. Medications and mother's milk. 14th edition. Amarillo:Pharmasoft Publishing. 2010:13-20. 

  12. 유영법 등. HPLC-MS/MS에 의한 사물탕의 지표성분 분석. 대한본초학회지. 2007;22(2):97-102. 

  13. 서창섭, 김정훈, 신현규. HPLC-PDA 를 이용한 오약순기산 중 6종 성분의 동시분석.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12; 20(2):37-46. 

  14. Sobti J, Mathur GP, Gupta A. WHO's proposed global strategy for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a viewpoint. J Indian Med Assoc. 2002;100(8):502-6. 

  15. 대한산부인과학회. 산과학. 서울:군자출판사. 2007:483-4. 

  16. 연승은, 이혜경. 산후 모유수유 교육 방법에 따른 초산모의 모유수유 적응, 태도 및 실천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2;18(2):75-84. 

  17. 양현주, 서지민. 효과적인 모유수유 개념 분석.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1; 17(4):317-27. 

  18. 차선화 등. 수유 중 약물 복용에 따른 불안과 수유율. 대한주산회지. 2003; 14(3):290-5. 

  19. 윤영진 등. 모유를 통한 한약의 유아 노출 정도 측정법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133-47. 

  20. Budzynska K, et al. Systematic review of breastfeeding and herbs. Breastfeed Med. 2012;7(6):489-503. 

  21. Barnes PM, Bloom B, Nahin R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among adults and children: United States, 2007. Natl Health Stat Rep. 2008;10(12):1-23. 

  22. Nordeng H, Havnen GC. Use of herbal drugs in pregnancy: a survey among 400 Norwegian women.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04;13:371-80. 

  23. 강종근, 이인선, 조혜숙. 연령에 따른 산후조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가 산후풍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3):143-66. 

  24. 박장경 등. 협진 의뢰 산모의 한방산후조리 현황 분석 및 만족도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1):108-23. 

  25. 하정일, 김동일. 가미생화탕과 가미보허탕의 연속 투여가 산후 체중정체와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2):164-75. 

  26. 박소월 등. 보허탕과 생화탕의 산후 회복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2):113-28. 

  27. 이승훈, 최호영, 박창호. 한약재 내 중금속 함량분석 및 물세척 효과. 한국생물공학회지. 2003;18(2):90-3. 

  28. 조현례 등. 한약제제(액제)의 안전성 평가. 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11; 26(3):266-72. 

  29. 강석용, 박영철, 박용기. 알러지성 비염 한약제제 KOB의 랫드에서의 13주 반복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13;28(1):15-21. 

  30. 김창석 등. 보생탕이 랫드의 모체와 태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5;9(2):59-75. 

  31. 김동현 등. 한약이 임신 중 태아에 미치는 영향(3) - 한약 및 한약 처방이 돌연변이원성과 염색체 이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2):1-8. 

  32. 서춘희 등. 부산 지역 임산부의 모체혈, 제대혈, 모유에서 PFOA, PFOS 의 농도.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11; 38(1):8-17. 

  33. 위성욱 등. 대도시에 거주하는 여성 의 모유 중 Indicator PCBs와 식이 습성 및 인구통계학적 인자간의 관계.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10;36(3):199-207. 

  34. Rath K, et al. Pharmacokinetic study of artemisinin after oral intake of a traditional preparation of Artemisia annua L.(annual wormwood). Am J Trop Med Hyg. 2004;70(2):128-32. 

  35. 엄영란 등. HPLC를 이용한 발효 감초의 지표 성분 분석.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9;15(1):85-9. 

  36. Kmetec V, Roskar R. HPLC determination of tramadol in human breast milk. J Pharm Biomed Anal. 2003;32(4-5): 1061-6. 

  37. 황덕상 등. 목향생화탕(木香生化湯) 산후음료의 안전성과 산후조리에 관한 유효성 임상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4):216-24. 

  38. 손추영 등. 신약 개발을 위한 참당귀 (Angelicae gigas Nakai) 추출 Decursin 과 Decursinol Angelate의 약리작용. 약학회지. 2009;53(6):303-13. 

  39. Kim KM, et al. Oral acute and subacute toxicity studies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of Angelica gigas Nakai. Mol Cell Toxicol. 2009;5(2):15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