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과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영향요인
Influenc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Middle Aged Adults and Elderly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9 no.2, 2013년, pp.150 - 158  

김미정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김귀분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psycho-social in the elderly and middle aged Adults. Methods: A sample of the 209 elderly and 181 middle aged adults. Data analysis was done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본 연구는 중년과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그 영향 변인을 중심으로 이들에게 보다 성공적인 노화로 자신의 노후를 신체, 심리, 정서 및 영적으로 건강하고 긍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중년에게는 노년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노인은 기존환경을 그대로 수용하고 즐기면서, 두 집단 모두 향후보다 나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 제공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기는 어떤 세대를 말하는가? 중년기는 한 가정의 가장이자 그 문화 집단의 사회적인 중추역할 담당자로, 위로는 집안의 어른을 모셔야 하고 아래로는 자녀를 돌보아야 하며, 특히 한 사회를 이끌어 가는 역군으로 그들의 역할무게는 과중할 정도의 부담감이 있는 세대이다. 따라서 중년기의 위기란 우리가 상상하기 어려운 그 이상의 것으로, 이들의 시기가 잘못 이행될 경우 다음 노년기 역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므로, 중년세대의 위기관리, 즉 심리적 안녕감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주요하리라 생각된다.
심리적 안녕감이란 무엇인가? 심리적 안녕감이란,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한 질적 수준을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정도를 의미하며(Veenhoven, 1991), 심리적 안녕감, 즉 주관적 안녕감은 인지적인 측면인 생활 만족도와 정서적인 측면인 긍정적, 부정적 정서의 요소를 지니는 것으로 객관적이고 외적 조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경험내적인 주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삶에 대한 전반적이고 통합적인 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Cho, 2007). 한편 McDowell과 Newell (1996)은주관적안녕감은 일상생활 사건에 사람들이 적응하면서 느끼는 정서로서 환경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나 환경의 자극과 개인적 반응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개인의 지각된 주관적인 경험에 기초한 행복감 또는 전체적인 감정을 일컫는 것으로, 자아 존중감이 수반된다.
주관적안녕감이란 무엇인가? 심리적 안녕감이란,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한 질적 수준을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정도를 의미하며(Veenhoven, 1991), 심리적 안녕감, 즉 주관적 안녕감은 인지적인 측면인 생활 만족도와 정서적인 측면인 긍정적, 부정적 정서의 요소를 지니는 것으로 객관적이고 외적 조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경험내적인 주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삶에 대한 전반적이고 통합적인 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Cho, 2007). 한편 McDowell과 Newell (1996)은주관적안녕감은 일상생활 사건에 사람들이 적응하면서 느끼는 정서로서 환경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나 환경의 자극과 개인적 반응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개인의 지각된 주관적인 경험에 기초한 행복감 또는 전체적인 감정을 일컫는 것으로, 자아 존중감이 수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eck, A. T., Weissman, A., Lester, D., & Trexler, L. (1974).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The hopelessness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iatry, 20, 779-785. 

  2. Cho, Y. J. (2007). The effects of productive activities on women's subjective well-being: An application of the demand-control-support model. Unpublished docto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 Choi, H. I., Chae, H. T., & Song, I. U. (2009).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elderly's stressful life events and hopelessness. Th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3, 183-202. 

  4. Choi, Y. H. (2008). Narrative transfiguration study of cartoon 'land'.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2(2), 1-16. 

  5. Chon, J. W., & Park, M. S. (2006). A test of causal model for motivation for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3), 521-545. 

  6.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7. Feldman, D. B., & Snyder, C. R. (2005). Hope and the meaningful life: Theoretical and empirical associations between goal-directedthinking and life mean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4, 401-421. 

  8. Hwang, J. H. (2004). The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in perception of physical and health condition with participant in sports the senior citize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Busan. 

  9. J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Journal of Yonsei publications, 11, 101-124. 

  10. Kang, H. S., & Kim, K. J. (2000).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among the aged. The Journal of Korea Public Health Association, 26(4), 451-459. 

  11.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Th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 Association, 35(2), 298-307. 

  12. Kim, D. H. (2001).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family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elderly welfare association, Autumn, 113-114. 

  13. Kim, H. S. (2006). Impact of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The case of welfare center us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nam University, Seoul. 

  14. Kim, J. A. (2007). A study on how social supports impact senior citizens' feeling of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5. Kim, M. M. (2009). New! elder and health. Hong Kyung Press. 

  16. Kim, K. A. (199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7. Kim, K. B., Lee, K. H., Sok, S. H., & Oh, H. K. (2002). Effects of meridian exercise on health status, life-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s in institutions.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4(1), 5-15. 

  18. Kim, M. S., Kim, H. W., & Cha, K. H. (2001). Analyses on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male and female middle aged adultss. The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5(2), 19-39. 

  19. Lee, B. J., & Hong, S. O. (2012). The effect of older people's leisure activities on their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8(2), 139-156. 

  20. Lee, H. G. (1997). A study on promotion of the industry in Korea. Journal of Kijeon College, 17, 171-210. 

  21. Lee, H. J. (2006).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Lim, J. Y., & Jeon, G. Y. (2003). The related facto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familly welfare, 8(1), 127-144. 

  23. McDowell, I., & Newell, C. (1996). Psychological well-being.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2, 177-237. 

  24. Miller, S. M. (1975).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on sex role perception, interests, and self-esteem in kindergarten girls. Developmental Psychology, 11(3), 405. 

  25. Mutchler, J. E., Burr, J. A., Massagli, M. P., & pienta, A. (1999). Work transitions and health in later life. Journal of Gerontology, 54B(5),-S261. 

  26.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2011 Statistics of aged. Seoul: National Statistical office. http://www.kostat.gp.kr 

  27.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3). 2013 Statistics of aged. Seoul: National Statistical office. http://www.kostat.gp.kr 

  28.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Ryff, C. D. (1989). Happiness os everything, oris it? Explorati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57, 1069-1081. 

  30. Shin, J. Y., Lee, Y. A., & Lee, K. H. (2005). The effects of life meaning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4), 1035-1057. 

  31. Son, D. S., & Lee, H. J. (2006). Determinan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Welfare for the Aged, 31, 181-205. 

  32. Son, D. S., & Lee, H. J. (2009). Determinants of psycholgical well-being of elderly-Focusing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1, 181-205. 

  33. Song, Y. S.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self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cersity, Seoul. 

  34. Synder, C. R., & Harris, C. (1991).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 differences measure of ho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570-585. 

  35. Taft, L. B. (1985). Self-esteem in later life: A nursing perspectiv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1), 77-84. 

  36.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1), 1-34. 

  37. Wong, P. T. (1989). Personal meaning and successful aging. Canadian Psychology/Psychologie Canadienne, 30(3), 5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