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건강통제위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in Nursi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9 no.2, 2013년, pp.177 - 185  

차남현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43 subjects aged between 17 and 27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from March 2 to 25, 201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알고 스트레스가 건강통제위 유형과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여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와 건강통제위의 관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학생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스트레스에 대한 감정표현이 건강통제위에 미치는 영향과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그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과에 다니는 간호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자신의 감정적 스트레스정도를 알고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강의와 실습의 이중 부담감 속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는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는 건강통제위의 정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 반응이란? 스트레스 반응은 주변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자극상태가 신체나 심리, 행동에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신체증상이라 할 수 있다. 대학생은 사회적생활환경의 변화와 적응 및 진로선택과 장래에 대한 불안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Gong & Lee, 2006).
대학생이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 이유는? 스트레스 반응은 주변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자극상태가 신체나 심리, 행동에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신체증상이라 할 수 있다. 대학생은 사회적생활환경의 변화와 적응 및 진로선택과 장래에 대한 불안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Gong & Lee, 2006). 간호대학생은 1학년 때는 타 학과생과 비슷하게 교양과정 수강을 하는 등 여유 있는 캠퍼스 생활을 할 수 있지만, 2학년에 진급하면서 전공 기초과목과 전공 선택과목으로 여유 없는 대학생활을 보내야 하고 3학년으로 올라오면서 전공강의 수강은 물론, 취득 학점의 상당부분을 임상실습을 해야 하는 엄격한 교육과정(Jeong & Shin, 2006; Yoo, Jang, Choi, & Park 2008)으로 편성되어 있는데 1학점당 실습은 3시간 비율로 시행해야 하며 학기 중 실습까지 마치기 위해서는 학기 8주 동안 강의를 2배로 하고 남은 8주 동안 실습을 나가야 하는 시스템을 운영할 수밖에 없다.
간호대학생에게 긍정적인 성격특성을 갖게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스트레스 반응을 극복하고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여 간호대학생이 원하는 학습목표 도달과 좋은 병원에의 취업을 위해서는 현재의 어려운 상황이나 스트레스를 성장의 바탕으로 여기고 긍정적인 성격특성을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정신적, 신체적 건강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스트레스는 건강통제위와 상관관계가 있으며(Nam, 1994), 건강통제위가 인간의 건강과 관련된 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으므로(Kim & Park, 2006) 간호학생이 기대하는 자신의 건강통제위 특성은 본인의 스트레스관리는 물론, 타인에게도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기에 중요한 변수라 하겠다. 즉, 간호학생의 건강통제위 수준 및 건강통제위 형성 경험은 예비 간호사로서 훗날 대상자의 건강통제위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다른 사람의 건강통제위 형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 I., & Seo, M. J. (1989). Study of work stress by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3), 259-272. 

  2. Byun, I. S. (2003). Health locus of control for college students specializing in dancing and research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women, 17(2), 127-137. 

  3. Cha, N. H., & Seok, S. R. (2013). Relationships among health locus of control, coping methods, and dysmenorrhea of Korean adolescence in middle school. Journal of Nursing and Care, 2:131, 1-6. 

  4. Cho, S. H., & Kim, K. W. (198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HLC) and self-esteem of obese children. Sook-Myung Journal of Science for Better Living, 3, 51-67. 

  5. Choo, S. Y., & Lim, S. M.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undergraduates: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blem-focused cop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2), 309-332. 

  6. Chung, M. H., Chao, T. Y., Chou, K. R., & Lee, H. L. (2009). Health-promoting lifestyle factors of cancer survivors in Twaiwan. Cancer Nursing, 32(3), 8-14. 

  7.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 385-396. 

  8. Gong, S. J., & Lee, E. H. (2006). Mediation effect of coping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1(1), 21-40. 

  9. Hannish, A. K. (1999). Job and Unemployment research from 1994 to 1998;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5, 188-220. 

  10. Im, M. A. (2007).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the aggressiveness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ungji University, Youngin. 

  11. Jang, Y. G., Park, K., & Choj, S. Y. (2006). Mental health of modern man. Seoul: Hakjisa. 

  12. Jeong, M. H., & Shin, M. A.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170-177. 

  13. Kim, N. Y. (2011).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stres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4. Kim, R., & Park,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th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162-169. 

  15. Kim, S. S. (2001). Stress and stress response of female graduat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Ko, K. W., & Nam, C. Y. (2012). A study on the perceived level of stress of college students with part-time work experience.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2), 149-168. 

  17. Lee, C. H. (2007). The causes of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18. Lee, J. H. (2013). The effect of new sports and health education that influenced on the physical strength, the action of health control and health promotion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19. Lee, J. H., Jung, N. W., & Cho, S. H (2008). Basic counseling psychology. Seoul: Hakjisa. 

  20. Nam, Y. H. (1994). A study of stress coping and health locus of control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Central Journal of Medicine, 59(5), 407-423. 

  21. Paek, K. S. (2003).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4(2), 232-238. 

  22. Park, B. Y. (2008).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Park, I. S., Kim, C. S., Kim, R., Kim, Y. J., & Park, M. H. (2005). Stress, anxiety and fatigu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2), 151-160. 

  24. Park, J. H., & Seo, Y. S. (2010). Validat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on sampl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9(3), 611-629. 

  25. Park, J. S. (1995).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late-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6. Park, J. Y. (2011). Stress, stress response and influencing factors on resilience among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nam University, Asan. 

  27. Shim, M. S. (2000). A study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depending on the response patterns of HLOC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Konyang University, 1(8), 253-265. 

  28. Wallston, K. A., & Wallston, B. S. (1978). Who mult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Journal of Consult Clinic Psychology, 46(6), 1197. 

  29. Wallston, K. A., Wallston, B. S., & Devellis, R. (1978). Developement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MHLC) scales. Health Education & Behaviour, 6(1), 160-170. 

  30. Yoo, J. S., Jang, Y. J., Choi, E. K., & Park, J. W. (2008). Developing a stress measurement tool for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410-4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