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증 설문문항 개발
Developing Questionnaire of BiJeung(痺證) which is similar to Arthralgia and Paresthesia Syndrom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34 no.3, 2013년, pp.96 - 105  

안지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생기능의학과) ,  이순호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  박영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생기능의학과) ,  박영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생기능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Bi Jeung (비증) is a pain syndrome derivative of pathological patterns of East Asian medic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rated questionnaire for Bi Jeung. Methods: Twelve questionnaire items for Bi Jeung (3 items for the Wind Bi, 5 items for the Cold Bi, and 4 item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본 연구는 임상에서 비증의 3대 분류인 행비, 통비, 착비를 구분하여 변증해서 정량화, 표준화된 설문으로 한의사의 비증 진단 및 변증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한방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통증평가도구가 한의학적 변증 및 진단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데 착안하였다. 기존 비증의 문헌적 연구 성과를 토대로 전문가가 참여하는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여 비증의 정량적 평가에 활용할 수 있다.
  • 최근 증가 추세에 있는 근골격계 통증 환자를 한의학적으로 변증, 진단하여 한의학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상 한의사를 대상으로 1,2차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결정된 비증 평가 문항을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증이란? 비증은 체내에서 기혈이 잘 통하지 않아 생기는 통증 및 저림 등의 제반 증상을 주증으로 한다. 비증은 풍·한·습·열 등의 사기에 의하여 팔다리의 관절, 근육, 피부 등에 통증을 위주로 하여 시리거나 감각의 변화, 저림 등이 나타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결합 조직의 이상상태를 포함하는 증상이다3).
비증의 주된 증상은 무엇입니까? 한의학은 통증을 비증의 범주로 인식하여 취급한다. 비증은 체내에서 기혈이 잘 통하지 않아 생기는 통증 및 저림 등의 제반 증상을 주증으로 한다. 비증은 풍·한·습·열 등의 사기에 의하여 팔다리의 관절, 근육, 피부 등에 통증을 위주로 하여 시리거나 감각의 변화, 저림 등이 나타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결합 조직의 이상상태를 포함하는 증상이다3).
델파이 기법은 어떤 방법으로 결론을 도출합니까? 델파이 기법은 연구 수준이나 미래의 시점을 예측하거나 현재의 상태에 대해 표준화된 자료가 부족할 때 전문가집단의 직관을 객관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이다. 몇몇 사람의 의견이 아닌 다수의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논리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수차례에 걸친 피드백(feedback)을 시행한다. 이로써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종합하여 체계화 하는 기법이다17-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KS, Park JK, Kim DS.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10;29(4): 405-422. 

  2. Han YJ. Management of Acute Pain. Korean journal of pain. 1992; 5(1):9-16. 

  3. Chung SK. The Literatural Study on Arthralgia Syndrom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1995;16(1):9-20. 

  4. Yang YG, Hwangjenaegyeongsomunnyeokseok. Seoul:Seongbosa. 1980. 

  5. Jang JG. Geumgweyoryak. Beijing:Inminwisaengchul pansa. 1989. 

  6. Jang R. Jangssiuitong. Shanxi:Sanseogwahakgisulchul pansa. 2010. 

  7. Jang GB. Gyeongakjeonseo. Seoul:Daeseongchulpansa 1993. 

  8. Jin GM. Jeunginmaekchi. Taipei:Seonpungchulpansa. 1979. 

  9. Chung SK, Kim SS, Shin HD. Bijeungui Bullyuwa Chiryoe Gwanhan Gochal. Journal of Oriental Physio Therapics. 1992; 2(1):181- 190. 

  10. Hong SS, Oh MS, Youn IJ. A Study of Literature Review on Tong Bi. The Journal of Daejeon Oriental Medicine. 2005;14 (1):187-200. 

  11. Jang DH, Jang JY, Keum KS, Park K. A Study on the Bi Lon of the So Moon. The Journal of Wonkwang Oriental Medicine. 1996;6(1):84-124. 

  12. Sohn DW, Oh MS. Study of BiJeung by 18 doctors. The Journal of Daejeon Oriental Medicine. 2000;9(1):595 -646. 

  13. Park GB, Hwang CW. Sambijeungui Chibange Daehan Munheonjeok Gochal. The Journal of Daejeon Oriental Medicine. 1999;7(2): 453-478. 

  14. Jeong SH, Roh GH, Kang KS, Moon SK, Joh KH, Bae HS. Case of Treating the Paresthesia Suggested from Peripheral Neuropathy.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2000; 21(3):242-247. 

  15. Lee C. Pyeonjuuihagimmun. Seoul:Daeseongchu lpansa. 1982. 

  16. Heo J. Donguibogam. Seoul:Donguibogamchulp ansa. 2006. 

  17. Hasson F, Keeney S, McKenna H. Research guidelines for the Delphi survey techniqu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0;32(4):1008- 1015. 

  18. Danielle Cabral, Jeffery N. Katz, Michael E.Weinbatt, Gladye Ting, Jerry Avorn, Daniel H. Solomon.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Indicators of Rheumatoid Arthritis Severity: Results of a Delphi Panel. Arthritis & Rheumatism. 2005;53(1): 61-66. 

  19. Lee HJ, Nam SS, Lee YH. The Study of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Scales for Low Back Pain.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2;19(2): 137-148. 

  20. Jeon CH, Kim DJ, Kim SK, Kim DJ, Lee HM, Park HJ. Validation in the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J Kkorean Med Sci. 2006;21(6): 1092-7. 

  21. Kim DY, Lee SH, Lee HY, Lee HJ, Chang SB, Chung SK et al.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2005; 30(5):E123-7. 

  22. Roland M, Morris R. A study of the natural history of back pain. Part 1: Development of a reliable and sensitive measuer of disability in low-back pain. Spin. 1983;8(2):141-4. 

  23. Roland M, Fairbank J, The Roland-Morris 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 and the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Spine. 2000; 25(24):3115-24. 

  24. Lee H, Nicholson LL, Adams RD, Maher CG, Halaki M, Bae SS.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Korean language versions of 4 neck pain and disability quenstionnaires. Spine. 2006;31(16):1841-5. 

  25. Bae NS, Yang DH, Park YJ, Park YB, Lee SC, Oh HS.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for Yol Patterniz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6; 10(1):98-108 

  26. Cho SW, Park YJ, Park YB.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Acoustic Profiles and Fatigu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10; 14(1):15-35. 

  27. Yang DH, Park YJ, Park YB, Lee SC.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for Blood Stasis Pattern.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6; 10(1):141-1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