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적·도전적 융합연구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초융합연구 지원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 Convergence Research Support Framework to Promote Creative and Transformative Basic Research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2, 2013년, pp.221 - 234  

박귀순 (한국연구재단) ,  신숙경 (한국연구재단) ,  송영동 (미래창조과학부) ,  이성종 (한국연구재단) ,  이은규 (한국연구재단) ,  차은종 (한국연구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연구재단은 이공분야와 인문사회분야 간 통합 연구를 포함한 융합연구 생태계 구축으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 이에 기초연구사업의 융합연구를 활성화하고 실질적인 융합연구를 발굴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고 창의적 도전적 융합연구 지원체계 구축을 골자로 하는 '융합연구 사업추진체계'를 수립하였다. 사업추진체계는 연구분야 중심의 지원분야 재설정, 문제중심융합 신설, 신청 자격 확대, '융합연구 우수성 평가' 신설, 최소 융합성 지표 및 가이드라인 도출로 구성되었다. 동 사업추진체계 적용 전 약 38%였던 복수 연구분야분류 지정 경향이 적용 후 98% 이상으로 급증하여 거시적 분야 분류 간 융합연구 지원이라는 근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 선정여부와 융합연구 평가프로세스 간 회귀분석피어슨 상관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평가 단계별 배점제에서 다음 단계 추천 방식으로 평가프로세스를 개선하였다. 또한 연구계획서 양식, 분야 지정 방식 개선안을 도출하여 2013년에 확대 적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provides underpinning to boos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convergence research including research amalgamating Science and Engineering with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ivision of Electrical Engineering, Information Sciences and Convergence Res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융합연구 우수성 평가’를 신설하여 기존의 ‘연구자 역량 및 연구계획의 우수성’ 평가와의 분리를 통한 ‘융합연구과제 선정평가 이원화’를 추진하였으며 연구계획서 양식 개선 및 최소융합성 정량지표 개발을 통한 평가전문성을 강화하고자 하였다[16][17].
  • 또한 타학문단(전자정보분야 포함)과 중복되는 분야를 이관하여 학문단 내 융합연구로 유도하고 분야별 소외분야 및 거시적 관점의 융합분야를 보호·육성하고자 하였다.
  • 더불어 ‘융합연구 우수성 평가’를 신설하여 기존의 ‘연구자 역량 및 연구계획의 우수성’ 평가와의 분리를 통한 ‘융합연구과제 선정평가 이원화’를 추진하였으며 연구계획서 양식 개선 및 최소융합성 정량지표 개발을 통한 평가전문성을 강화하고자 하였다[16][17]. 본 연구에서는 융합연구분야 재설정 및 사업추진체계의 시범적용 및 분석을 통한 융합연구에 최적화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에 따른 후속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래에서 말하는 창의와 변혁은 무엇을 요구합니까? 또한 [5]는 과학과 인문학의 결합을 통한 초학문적 융합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식융합을 첫째,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의 학제간 연구, 둘째,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글쓰기, 세 번째, 융합기술에서 발전된 융합학문연구로 제시하였다. 미래에서 말하는 창의와 변혁은 연구의 주체인 연구자, 학문의 주체인 학문분야 뿐만 아니라 사고 및 협력의 범위, 주체, 방식까지도 전환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크라우드소싱, 위키노믹스, 오픈소스와 같이 기존의 관습적 개념의 사고의 틀을 벗어난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을 통한 혁신 사례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6].
한국연구재단은 2009년에 어떠한 연구지원기관의 통합을 통해서 무엇을 지원하였습니까? 한국연구재단은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現, 미래창조과학부와 교육부) 산하 3개 연구지원기관(한국과학재단1), 한국학술진흥재단2), 국제과학기술협력재단3))의 통합을 통해 전 학문분야의 기초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학문분야 간 융·복합 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은 ‘기관 중장기(’12~‘14) 경영목표 및 추진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기초연구를 지원하는 2개 본부(기초연구본부, 인문사회본부) 산하 2개 단(전자정보·융합연구단, 문화융복합단)과 원천연구를 지원하는 국책연구본부 나노융합단을 융합연구 전담부서로 지정하였다.
ESF에서는 복수학제를 다학문적, 학제간, 교차학문적, 초학문적 연구로 구분하였는데 각각의 정의는 어떠합니까? ESF에서는 복수학제를 다학문적, 학제간, 교차학문적, 초학문적 연구로 구분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1) 다학문적 연구 : “단일분야의 한 가지 주제를 연구하되 타분야로부터 지원을 받는다. 여러 가지 관점이 결합하지만 주도적 학문분야의 목적이 최우선시 된다. 각 분야별 요소들은 원래의 정체성을 유지한다. 다학문성은 지식, 정보, 방법의 확대를 증진한다.” 2) 학제간 연구 : “다수 분야에 속하는 하나의 주제에 관해 연구하되 서로 타학문분야의 방식을 활용한다. 연구주제는 서로 다른 분야의 접근 방식과 방법들을 통합한다.” 3) 교차학문적 연구 : “다수 분야의 교차지점에 해당하는 주제를 연구하며 분야 간 공통부분이 존재한다.” 4) 초학문적 연구 : “학문분야 간, 여러 분야에 걸친 분야를 초월하는 연구 활동으로 지식의 통합이라는 대전제하에 현존하는 세계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 Toffler and H. Toffler, Revolutionary Wealth, 김중웅 역, 부의 미래, 서울: 청림출판, pp.47-48, 2006. 

  2. 정윤, 2030년, 미래전략을 말한다, 서울: (주)이학사, p.114, 2011. 

  3. 이중만, 허태영, 이정배, 황규희, 엄기용, "과학기술분야 융합기술 인력현황 및 이동형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pp.446-459, 2010. 

  4. 이중만, 최민석,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415-428, 2010. 

  5. 이인식, 지식의 대융합, 서울: 고즈윈, pp.446-453, 2009. 

  6. B. Libert, J. Spector, and D. Tapscott, We Are Smarter Than Me, 김정수 역, 나보다 똑똑한 우리, 파주: 럭스미디어, p.10, 2008. 

  7. NSF(National Science Foundation, USA) and DOC (Department of Commerce, USA), Conversing Technologies for Improving Human Performance, Arlington, Virginia, 2002. 

  8. R. Nordmann, Converging Technologies-Shaping the Future of European Societies, Luxembourg: European Commission, 2004. 

  9.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09-'13)(안), 서울: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8. 

  10. 박선희, 이성종, 박희웅, 박귀순, 2009 융합과학 분야발전 전략 도출 연구, 대전: 한국연구재단, p.2, 2009. 

  11. 박영준, 융합과학분야 집단연구사업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대전: 한국연구재단, 2009. 

  12. ESF(European Science Foundation, EU), European Peer Review Guide, 한국연구재단 역, 유럽과학재단 동료평가 가이드, 대전: 한국연구재단, p.43, 2011. 

  13.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연구재단,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보고서, 2011. 

  14.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연구재단,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보고서, 2012. 

  15.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연구재단,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보고서, 2013. 

  16.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도 중견연구자지원사업 하반기 신규과제 공모, 교육과학기술부 공고문, pp.5-7, 2012. 

  17. K. Park, S. Shin, and E. Cha, "Shifting the Paradigm for Enhancing NRF's Convergence Research: S&E and H&SS, They are Connected,"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vergence Content 2012, Saga, Japan, December 14-17, pp.151-152, 2012. 

  18. 권만우, 인문사회를 기반으로 한 학제간 융합연구의 심사평가 방법론에 관한 연구, 대전: 한국연구재단, 2011. 

  19. 최현철,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한 신규과제 발굴, 전문가 DB구축 및 과제평가 시스템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대전: 한국연구재단, 2012. 

  20. http://www.nsf.gov/∼interdisciplinary_research/ 

  21. M. Roco, "Possibilities for global governance of conversing technologies," J. of Nanoparticle Research, Vol.10, No.1, pp.11-29, 2008. 

  22. National Academies, "Emerging frameworks and strategies for enabling and controlling knowledge," in Proceedings of Workshop of National Academies, Washington, D.C., USA, January 29-30, 2007. 

  23. 교육과학기술부, 2013년도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3. 

  24. 교육과학기술부, 2013년도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사업공모, 교육과학기술부 공고문, pp.9-11,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