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인의 사회자본이 자존감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ocial Capitals Affecting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2, 2013년, pp.235 - 245  

정원철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선희 (부산여자대학교 사회복지재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자본이 자존감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162명을 상대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사회자본과 심리적 복지감에서는 공적신뢰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규범이 낮다고 인식할수록 그리고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보다 심리적 복지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사회자본과 자아존중감의 관련성에서는 공적신뢰, 공식적 네트워크, 규범이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과제와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노인의 사회자본과 자존감 및 심리적 복지감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capitals and self 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is study took a questionnaire survey to 162 elderly persons over 65 years ol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e impact of social capitals upon mental heal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자본에 대해 학자들은 사회구조 속에서 개인 간의 협력과 사회관계를 조장하는 ‘규범’과 ‘신뢰’ 및 ‘네트워크’를 공통적으로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개인이 자신의 행동목적을 달성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사회관계 구조 내에 내재하는 자원으로 노인의 사회자본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이 지니는 사회자본의 양은 자신이 효과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연결망의 규모와 그 연결망의 이익을 조종하고 극대화하는데 투여하는 규범이나 네트워크 내에서의 인간관계를 토대로 상호 간의 효혜성에 토대하는 신뢰의 수준이 노인의 삶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간주 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개인이 자신의 행동목적을 달성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사회관계 구조 내에 내재하는 자원으로 노인의 사회자본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이 지니는 사회자본의 양은 자신이 효과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연결망의 규모와 그 연결망의 이익을 조종하고 극대화하는데 투여하는 규범이나 네트워크 내에서의 인간관계를 토대로 상호 간의 효혜성에 토대하는 신뢰의 수준이 노인의 삶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간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노인의 사회자본과 자존감 및 심리적 복지감 간의 연관성을 경험적으로 실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가질 수 있지만 보완되어야 할 몇 가지 한계를 지닌다. 우선 표집방법이 무작위 표집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대상이 모든 노인을 대표하지 못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자본과 자존감 및 심리적 복지감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이 자존감 및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자본과 자존감 및 심리적 복지감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이 자존감 및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의 구성요소로 신뢰, 네트워크, 규범을 포함시켰으며, 노인의 사회자본과 심리적 복지감 및 자아존중 간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자본의 활성화를 통한 노인의 자존감 함양 및 심리적 복지감 증진에 요구되는 방안모색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이를 토대로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신뢰(공적, 사적), 네트워크(공식적, 비공식적), 규범을 사회자본의 주요개념으로 설정하고, 노인의 자존감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연관성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자본과 자존감 그리고 심리적 복지감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노인의 사회자본은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에게 있어서 사회자본은 어떠한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까? 특히 노인에게 사회자 본이 강조되는 이유는 사회자본을 통해 노인의 사회적 욕구충족이 용이해질 수 있고, 공동체의 생활조건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기에 사회자본이 충분한 잠재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50]. 다시 말해 노인에게 있어서 사회자본은 노인에게는 개인적 이익인 동시에 공적인 이익도 동시에 만족시켜 준다는 장점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사회자본이란 무엇입니까? 한편 근래 들어 사회구성원들이 공동목표를 효율적 으로 추구할 수 있게 하는 특성으로서 ‘사회자본(social capital)’이 부각되고 있다[35]. 사회자본이란 종전의 인적, 물적 자본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사회구성원들이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회의 조건 또는 특성’을 지칭한다[50]. 특히 노인에게 사회자 본이 강조되는 이유는 사회자본을 통해 노인의 사회적 욕구충족이 용이해질 수 있고, 공동체의 생활조건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기에 사회자본이 충분한 잠재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50].
노인에게 있어서 자아존중감은 어떠한 특징을 띄고 있습니까? 특히 노인에게 있어서 자아존중감은 자신을 수용하고 존중하며 자신의 존재와 본질에 대한 신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심리적 건강의 기초가 될 뿐 만 아니라 질적인 삶을 유지시켜 주는 기반이 된다[27]. 특히 노년기에는 상대적으로 감각적, 인지적, 사회적 상실이 커짐에 따라 자존감이 점차 감소되며[46], 자존감이 낮은 노인은 외로움을 더 이 느끼게 되며, 외적 결핍에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정도가 크며[3],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은 높은 상관 관계가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기영화, 김남숙, "고령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사회자본화 이론모델 정립 현장사례연구: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제30권, 제3호, pp.25-48, 2011. 

  2. 김기태, 박봉길,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 지지망: 지역복지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제20권, 제1호, pp.153-168, 2000. 

  3. 김애련,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4. 김영숙,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심리학회, 제9권, 제1호, pp.115-137, 2003. 

  5. 김태현, 한은주,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경험유무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 제9권, 제3호, pp.81-106, 2004. 

  6. 박미진, 노인의 우울과 지지네트워크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과 사회사업, 제40권, 제1호, pp.207-233, 2012. 

  7. 백경숙, 권용신, "재가복지서비스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제46권, pp.337-356, 2007. 

  8. 서지원, "중고령기 건강에 대한 인적자본과 사회 자본의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제44권, 제10호, pp.133-144, 2006. 

  9. 서홍란, 김희년, "요보호여성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제35권, pp.176-202, 2010. 

  10. 손덕순, 노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에 관한 연구: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1. 신상식, 최수일, "노년기 여가활동과 사회자본및 삶의 만족 간의 관계", 한국호텔관광학회, 제38권, pp.173-189, 2010. 

  12. 옥진미, 독거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원망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3. 유광수, 박현선,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23권, 제4호, pp.163-179, 2003. 

  14. 유홍준, 홍훈식, "집단참여가 사적 공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발행 사회과학, 제42권, 제2호, pp.55-77, 2009. 

  15. 이경재, 남궁선, "여가활동 참여 만족도가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서울지역 노인 여가시설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제53권, pp.49-70, 2009 

  16. 성기월,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 한국간호과학회, 제27권, 제1호, pp.36-48, 1997. 

  17. 이현기, "노년기 생활환경과 중 고령자의 자원봉사활동: 현금기부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9권, 제4호, pp.305-329, 2010. 

  18. 이혜경, "노인의 사회적 배제 정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제46권, pp.315-336, 2009. 

  19. 이홍직,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3호, pp.25-42, 2009. 

  20. 임우석, 사회자본과 노인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1. 임재영, 조창익, "한국 노인의 흡연 및 음주행위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14권, 제2호, pp.73-92, 2008. 

  22.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제11권, 제1호, pp.107-130, 1974. 

  23. 정순둘, 이현주, 최혜지, 김고은, 이소영, "한국중산층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사회자본 경험과 의미: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7권, 제1호, pp.221-259, 2012. 

  24. 정혜정, 김태현, 이동숙, "독거 여성노인의 생활 만족도 연구: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제20권, 제2호, pp.49-70, 2000. 

  25. 진미정, 중년기 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부담과 심리적 복지,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26. 전지원, 박미석, 노인의 직업활동 참여동기, 직업만족도 및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인과모형 분석, 한국노년학, 제26권, 제3호, pp.521-545, 2006. 

  27. 최영애, "노인이 지각하는 건강상태와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일부 지역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제23권, 제3호, pp.129-142, 2003. 

  28. H. Bhandari and K. Yasunobu, "What is social capital?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oncept," Asian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37, pp.480-510, 2009. 

  29. K. Arrow, "Observations on Social Capita" in Dasgupta, P. and Serageldin, I. (eds.), Social Capital: A Multifaceted Perspective,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2000. 

  30.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Richardson, J. G.(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Press, 1986. 

  31. R. C. Brown and S. Lindskold, "Correlations between trust, self-esteem, sociometric choice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Psychological Reports, Vol.32, No.1, pp.739-743, 1973. 

  32. E. N. Castle, "Social Capital: An Interdisciplinary Concept," Rural Sociology, Vol.67, pp.331-349, 2002. 

  33. H. K. Choi, "The process of caregiving stress among Korean caregivers for elderly," Cornell Univer. Graduate School A thesis for doctorate, 1992. 

  34.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G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pp.94-121, 1988. 

  35. J. Coleman, The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36.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1976. 

  37. F. Fukuyama,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 Free Press, 

  38. T. Hamano, M, Yamasaki, Y. Fujisawa, K. Ito, T. Navika, and K. Shiwaku,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distress of elderly in Japanese rural communities," Stress and Health, Vol.27, No.1, pp.163-169, 2011. 

  39. L. J. Hanifan, "The rural school community center," Annu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Vol.67, pp.130-138, 1916. 

  40. J. S. House and R. L. Kahn, "Measures and concepts of social support," In S. Cohen and S. L. Syme(eds.), Social support and health, NY: Academic Press, 1985. 

  41. E. R. Weitzman and I. Kawachi, "iving Means Receiving: The Protectiv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Binge Drinking on College Campus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0, pp.1936-1939, 2000. 

  42. I. Kawachi and L. F. Berkman, "Social ties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Urban Health," Bulletin of the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Vol.78, No.3, pp.458-467, 2001. 

  43. R. C. Kessler and J. D. McLeod,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in Community Samples," in Cohen, Sheldon and Syme, S. Leonard (eds), Social Support and Health, New York: Academic Press, 1985. 

  44. B. McWhirter, "Loneliness, learned resourcefulness, and self-esteem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75, pp.460-468, 1997. 

  45. P. Moen, D. Dempster-McClain, Jr. and R. M. Williams, "Social integration and longevity: An event history analysis of women`s roles and resilie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4, pp.633-647, 1989. 

  46. U. Orth and K. H. Trzesniewski, "Self-Esteem Development from Young Adulthood to Old Age," A Cohort-Sequential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8, No.4, pp.645-658, 2010. 

  47.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65. 

  48.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1998. 

  49. R. Rose, "How much dose social capital add to individual health? A survey study of russian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1, No.9, pp.1421-1435. 

  50. R. Putn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