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속 쌍동형 낚시 레저보트 선형개발과 저항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f Hull Form Development and Resistance Performance of Catamaran-type High Speed Fishing Leisure Boat 원문보기

韓國海洋工學會誌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27 no.6 = no.115, 2013년, pp.1 - 6  

정우철 (인하공업전문대학 조선해양과) ,  권수연 (선박안전기술공단 기술연구실) ,  최지훈 ((주)대원마린텍) ,  김도정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전남분원) ,  홍기섭 (인하공업전문대학 조선해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25ft class fishing leisure boat is developed, and the resistance performances are investigated by a model test in a high-speed circulating water channel. The design speed of the developed ship is 25 knots using a 150 ps outboard engine. A catamanan type hull form using a planing section is adop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Center body는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파랑 충격에 대한 보강재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Niwa, 2002), 그 크기와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결과는 발표된 사례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선에 두 가지 크기와 형상의 Center body를 부착하여 고속회류수조에서 모형시험을 통하여 그 영향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활주형 단면을 갖는 쌍동형 고속 낚시레저보트 선형을 개발하고, 그 기본 성능을 회류수조에서 모형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쌍동형 고속선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Center body의 역할을 활주성능 측면에서 함께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모터보트들의 크기와 형식은 어떠한가? 최근 초기 레저활동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터보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모터보트들은 전장 10미터 이하의 비교적 소형이고, 단동형 활주선이 대부분이다.
쌍동형 보트의 Center body는 어떤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가? 쌍동형 보트의 경우, 갑판 하부에 수면으로 돌출된 Center body를 길이방향으로 부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Center body는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파랑 충격에 대한 보강재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Niwa, 2002), 그 크기와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결과는 발표된 사례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선에 두 가지 크기와 형상의 Center body를 부착하여 고속회 류수조에서 모형시험을 통하여 그 영향을 검토하였다.
쌍동선의 선폭 결정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은? 쌍동선의 선폭은 갑판면적 뿐 아니라 조종성능과 횡방향 굽힘모우멘트, 무게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선폭이 커지면 갑판면적은 넓게 사용할 수 있으나, 조종성능이 나빠질 뿐아니라 두 선체 연결 부분의 강도가 취약해 질 수 있으며, 배수량 증가에 따라 저항성능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lement, E.P., 2004. The Plum Hulls. Boat Builder, 88, 82-95. 

  2. Jeong, U.C., Park, J.W., Jeong, S.H., 2004. Hull Form Development of a Small-Size High-Speed Coastal Leisure Boat.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18(1), 80-84. 

  3. Jeong, U.C., Park, J.W., Kim, K.S., 2008. Hull Form Development of 32-ft Class Leisure Boat by Statistical Analysis of Actual Ship.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22(3), 58-63. 

  4. Jeong, U.C., Kim, D.J., Choi, H.S., 2012. Study on Hull Form Development and Resistance Performance of High Speed Aluminum Leisure Boat.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26(6), 14-18. 

  5. Kihara, K., Ishii, T., 1986. A New Method of Initial Design for High Speed Craft(2). Transition of West Japan Society of Naval Architecture, 72, 293-300. 

  6. Kwon, S.Y., Jeong, U.C., Hong, K.S., Lee, H.J., Na, H.J., 2012. Study on Development of Control Fin of Longitudinal Position for High Speed Leisure Boat. Proceeding of KAOSTS, Daegu Korea, 1189-1192. 

  7. Niwa, S., 2002. Engineering of High Speed Boat(Resistance and Propulsion). A Foundation of Ship and Ocean(in Japanese). 

  8. Savitsky, D., 1985. Planing Craft. Naval Engineering Journal, February, 8-15. 

  9. Van, S.H., Kim. S.H., 2003. A Study on the Concept Design of Public Motor Boat. Journal of Ships and Ocean Engineering, 35, 139-156. 

  10. Yamaha Motors. [Online] Available at: [Accessed 13 Sep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