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올라이트를 사료에 0~2.0% 첨가하여 3개월 동안 비육돈 84두를 사양하여 조리 전후의 돼지고기 품질 특성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돼지고기 등심 생육의 pH 측정 결과, 대조구와 제올라이트 2.0% 급여구가 5.9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가열감량은 제올라이트 0.5%, 1.0% 급여구가 각각 26.24%, 26.42%로 높게 나타났다. 조리 시 용출되는 지방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제올라이트 1.0% 급여구가 3.11%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돼지고기 등심 생육의 L값과 a값은 제올라이트 1.0% 급여구가 가장 높았고, b값은 제올라이트 2.0% 급여구가 가장 높았다. 구운 돼지고기 등심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대조구가 75.49로 가장 높았고, 제올라이트 급여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낮아졌다. a값과 b값은 제올라이트 0.5% 급여구가 가장 높았다. 굽기 전후 돼지고기 등심의 경도, 탄력성, 점착성씹힘성은 제올라이트 2.0% 급여구가 가장 높았고 제올라이트 급여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구운 돼지고기의 등심 부위 관능검사 결과, 색에 대한 선호도는 제올라이트 급여량이 많을수록색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맛에 대한 선호도는 제올라이트 1.0% 급여구가 10.70으로 가장 높았고, 2.0% 급여구, 0.5% 급여구, 대조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향미와 외형에 대한 선호도는 시료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질감에 대한 선호도는 제올라이트 급여량이 많을수록 질감에 대한 선호도는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제올라이트 1.0% 급여구가 10.80으로 가장 높았고, 0.5% 급여구, 대조구, 2.0% 급여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구이용으로 많이 활용하는 돼지고기 등심부위는 제올라이트를 0.5~1.0% 정도로 급여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zeolite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fresh and broiled pork loin was investigated using 84 pigs that were fed with different feed ration of zeolite (0, 0.5, 1.0 and 2.0% zeolite) for 3 months. The pH of fresh pork loin fed with 0% and 2.0% zeolite was 5.95, which was higher than tho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질병 발생률과 폐사율을 감소시키고 사육환경에 도움이 되는 제올라이트를 급여한 돼지고기 품질 특성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토의 주성분인 제올라이트를 사료에 0~2.0% 첨가하여 급여한 돼지고기와 일반사료를 급여한 돼지고기 등심의 굽기 전후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제올라이트 첨가 사료가 돼지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제올라이트의 사료 내 적정 첨가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축산 생산업자들이 사육환경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는 이유는? 최근 국민 소득의 향상과 외국 식품의 수입개방 확대에 따라 소비자의 기호가 점점 고급화, 다양화되고 있는 반면, 암, 대사증후군, 면역관련 질환 등의 증가로 인하여 식품의 생산환경, 식품가공 시 첨가물, 식품위생 및 안전성 등에도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항생제 과다 사용에 대한 위기감과 소비자의 안전 축산물에 대한 요구는 더욱 높아져 식용으로 이용되는 가금류 및 육고기 등의 식재료뿐만 아니라 동물 생산 산업의 환경 등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축산 생산업자들도 육질의 품질 향상과 육량을 증가시킨 육제품의 생산과 더불어 사육환경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1-3).
육류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것은? 육류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는 돼지고기는 육색이 옅고 조직이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값이 비교적 싸고 맛이 좋아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식재료 중의 하나이다(3,5). 돼지고기는 비타민 B1의 좋은 공급원으로 돼지고기의 비타민 B1 함량은 소고기의 13배, 닭고기의 약 3.
제올라이트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사료에 첨가한 제올라이트(zeolite)는 illite와 같이 황토의 주성분 중 하나로 항균 및 탈취 효과가 있어 유해균, 독소, 가스 등을 흡착하여 배설하는 기능이 있고 소화율을 향상시키며, 정장작용, 질병 발생률 및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2,23). 또한 육계에 급여하였을 때에는 aflatoxin에 의한 독성을 경감하는 기능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BK, Woo SC, Kim YJ, Park CI. 2002. Effect of feeding mugwort level on pork quality.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310-315. 

  2. Jin SK, Kim IS, Kim SJ, Jeong KJ, Lee JR. 2006. Fatty acid, amino composition and sensory traits of pork from pigs fed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349-355. 

  3. Kang MJ, Lee JY, Shin JH, Choi SY, Lee SJ, Yang SM, Sung NJ. 2007. Feeding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on the quality property of pork loin at chilled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22-227. 

  4. Ha HM, Kim JH, Kim SC, Kim YM, Ko YD. 2001. Effect of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illite on the growing and finishing pigs. J Anim Sci & Technol 43: 663-670. 

  5. Yang JB, Ko MS. 2010. Physicochemical changes in pork boston butts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7: 351-357. 

  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Food composition table. 8th revis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 246-259. 

  7. Hah KH, Lee CW, Jin SK, Kim IS, Song YM, Hur SJ, Kim HY, Lyon HJ, Ha JH. 2005. Effect of feeding probiotic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295-303. 

  8. Kim IS, Jin SK, Song YM, Hah KH, Kim HY, Nam KY, Lyou HJ, Ha JH. 2004. The quality properties of pork meat by feeding mugwort powder during chilling storage. Korean J Intl Agri 16: 319-324. 

  9. Kim BK, Kang SS, Kim YJ. 2001. Effects of dietary oriental medicine refuse and mugwort powder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native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1: 208-214. 

  10. An JH, Kim YJ. 2003. Effect of feeding mugwort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16-20. 

  11. Kim BK, Kim YJ, Kim SM. 2004. Effects of feeding mugwort pelleted diet on the meat quality in pig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393-398. 

  12. Yoo YM, Ahn JN, Cho SH, Park BY, Lee JM, Kim YK, Park HK. 2002. Feeding effect of ginseng by-product on characteristics of pork carcass and meat quality.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337-342. 

  13. Yoo YM, Ahn JN, Chea HS, Park BY, Kim JH, Lee JM, Kim YK, Park HK. 2004. Characteristics of pork quality during storage fed with ginseng by-produ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37-43. 

  14. Kim D, Fan JP, Choi D, Park H, Han GD. 2007. Effects of fermented rice bran addition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pork.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08-613. 

  15. Shin SO, Yoo JS, Lee JH, Jang HD, Kim HJ. 2008. Effects of high protein diet containing barley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349-354. 

  16. Ji JR, Choi YM, Song DY, Choe HS, Na CS, Shim KS. 2011. Effect of feeding peppermint (Mentha piperita L.) powder on meat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finishing Korean native black pigs. Korean J Food Sci Resour 31: 224-231. 

  17. Yang SJ, Jung IC, Moon YH. 2006. Feeding effect of dried citrus byproduct on the quality of Jeju native pig mea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592-599. 

  18. Yang SJ, Koh SM, Yang TI, Jung IC, Moon YH. 2006. Feeding effect of citrus byproduct on the quality of crossbred black pig in Jeju islan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97-902. 

  19. Jung IC, Moon YH, Yang SJ. 2007. Quality of Jeju island's indigenous pork fed with dried citrus by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28-232. 

  20. Cho JH, Kwon OS, Min BJ, Son KS, Chen YJ, Hong JW, Kang DK, Kim IH. 2004. Effect of herb and bio-ceramic complex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329-334. 

  21. Kim CJ, Lee ES, Song MS, Cho JK. 2000. Effects of illite supplementation on the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0: 152-158. 

  22. Kim JH, Kim SC, Ko YD. 2005. Effect of dietary zeolite treated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J Anim Sci & Technol 47: 555-564. 

  23. Mumpton FA, Fishman PH. 1977. The application of natural zeolites in animal science and aquaculture. J Anim Sci 45: 1188-1203. 

  24. Huff WE, Kubena LF, Harvey RB, Phillips TD. 1992. Efficacy of hydrated sodium calcium aluminosilicate to reduce the individual and combined toxicity of aflatoxin and ochratoxin A. Poult Sci 71: 64-69. 

  25. Park JH, Lee DB, Kim SH, Shin WJ, Ryu KS. 2002.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rtificial and natural zeolites on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bes of broiler chicks. Korean J Poult Sci 29: 101-107. 

  26. Moon SS, Shin CW, Kang GH, Joo ST, Park GB. 2002. Effects of dietary activated carbon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ork. Korean J Food Sci Resour 22: 145-150. 

  27. Yang JB, Yang SJ, Ko SM, Jung IC, Moon YH. 2006. Effects of long term tangerine peel consump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crossbred pig mea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290-296. 

  28. Seong PN, Lee JE, Cho IC. 2005. The effects of dietary MgSO4 supplement on serum stress hormones concentrations and pork quality in late finishing pig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66-70. 

  29. Lee JI, Lee JD, Ha YJ, Jung JD, Lee JW, Lee JR, Kwack SC, Kim DH, Do CH. 2005. Effects of dietary silkworm dropping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175-188. 

  30. Park BY, Cho SH, Yoo YM, Kim JH, Chae HS, Ahn JN, Kim YK, Lee JM, Yun SG. 2002. Comparison of pork quality by different postmortem pH24 values. J Anim Sci & Technol 44: 233-238. 

  31. Kim IS, Min JS, Shin DK, Lee SO, Lee JI, Lee M. 1998. The quality comparison of domestic and imported chilled pork shoulder in Korean market. Korean J Anim Sci 40: 671-680. 

  32. Moon YH, Kim YK, Koh CW, Hyon JS, Jung IC. 2001. Effect of aging period,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on the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lo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71-476. 

  33. Jin SK, Kim IS, Jung HJ, Kim DH, Lee JR. 2006. Effects of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337-3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