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공학교육 연구주제의 동향 분석(I):한.미 공학교육학회지 투고논문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n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 and United States(I): Based on the Articles in JEER of Korea and JEE of U.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6 no.2, 2013년, pp.37 - 49  

정준오 (호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선미 (호서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rticles in full body of JEER in Korea and JEE in U.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Research area and Key words-to endeavor a comparative study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EER) topics and their temporal changes. In the recent 4 year term, 'Accreditation of Enginee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현재 각 공과대학과 유관 기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학교육 진흥을 위한 다양한 실천 경험들이 학술적 체계 내에서 검증되고 일반화 될 수 있도록 연구커뮤니티가 더욱 공고해 지며, 이를 위한 연구 재원이 확충되기를 제언한다. 본 논문은 공학교육연구 분야 확대와 아젠다 수립에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연구 논문들의 주제 분류와 분포 동향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연구주제 별 내용 동향도 개략하였으나 항목별 심도 있는 비교 분석이 요구된다.
  •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한국과 미국의 공학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진행된 공학교육연구 동향을 양 국의 대표적 학회지 수록 연구들의 주제와 내용을 통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공학교육연구 현황을 점검하고 후속 연구들의 연구 분야 확장과 연구 아젠다 수립에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비교 분석에 활용된 양 국의 학회지는 한국공학교육학회 논문 지 공학교육연구(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이하, JEER)와 American Society of Engineering Education의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이하, JEE)이다.
  • 본 연구는 한국 공학교육 연구분야의 확장과 연구 아젠다 수립에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한국과 미국의 대표적 공학교육 연구 학술지인 JEER과 JEE의 수록 논문을 연구주제와 연구저 자별로 분석하였다. 연구주제별 분류는 다시 연구분야와 핵심 주제어의 두 차원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를 확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연구분야나 핵심주제어 분류 모두 세부기준은 조작적 분류의 자의성을 최소화하고 분류의 재현성(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술하였다. 연구주제 별 분류와 동시에, 연구자 소속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자별 분 류 기준도 수립하였는데, 이 기준은 공학교육연구 주체를 통해 연구 주제 동향 정보를 확보하고자 함이다. 각 분류 체계 기준의 수립 방법 및 절차, 분류 사례는 Ⅲ-3.
  • 또한 분류체계, 분류기준, 분류항목 및 명칭의 적절성 파악을 위하여 선행적으로 JEER의 연구논문을 연도별로 무작 위로 100편을 표본 추출하여 논문의 주제어, 연구방법, 연구대상, 추구하는 내용, 도출된 결과 등을 요약하여 분류를 위한 논문의 성격과 범위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확인과정을 통하여 모든 연구논문들을 개별 연구자가 반복 분류하였고, 최종 분류자료는 교차 검토를 통하여 분류의 일관성을 유지하려 노력하였다.
  • 연구주제 별 내용 동향도 개략하였으나 항목별 심도 있는 비교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연구주제 중 최근 분포 비율이 높고, 연구 의미가 크다고 판단되는 연구분야(교육정책, 학습 등)와 핵심주제어 (공학교육인증, 공학교육연구, 공학저변 등)를 중심으로 각 항목 별 세부적인 비교분석을 후속 논문으로 계속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공학교육에 관한 연구는 언제부터 본격화되었는가? 한국의 공학교육에 관한 연구는 공학교육학회가 설립된 시점(1994년)인 1990년대 이후 본격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는, 1970-80년대 국가 주도의 산업기술인력 양성정책과 1990년대 대학자율화를 거치면서 공과대학의 양적 팽창은 지속되었지만 교육 시스템과 졸업생 역량이 시대사회적 변화와 수요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공학교육의 한계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발생하던 시기였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의 설립은 무엇을 표방하였는가? 공학교육의 변화에 대한 요구는 공학 교육에 대한 연구활동을 포함하여, 다각적인 공학교육개혁으로 추진되었다. 1999년 이른바 ‘자율개선 순환적 공학교육 시스템’을 표방하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의 설립은 한국 공학 교육의 발전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2001년 2개 대학 11개 공학프로그램(EAC)의 인증을 시작으로 2012년 현재 컴퓨터 정보기술(CAC), 공학기술(ETAC)을 포함 총 63개 대학 393개 프로그램이 참여하는 공학교육인증제는 공과대학의 보편화 된 공학교육 운영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한국공학교육인증원).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분류 체계의 특징을 네 가지로 요약하면? 연구자는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분류 체계의 특징을 네 가지로 요약 할 수 있었다. 첫째, 대상 논문 들을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하고, 둘째, 분류의 재현성이 확보되도록 보편적이어야 한다. 셋째, 분류 항목은 분류를 통하여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적절한 수로 구성되며, 마지막으로 분류 항목 명칭은 분류의 목적이 명확히 드러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의 분류체계의 특징에 근거하여, 한국 공학교육연구 분야의 확장과 아젠다 수립에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분류체계를 다음과 같이 수립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한국공학교육인증원, http://www.abeek.or.kr/htmls_kr/contents. jsp?menu_l4&menu_m24. 

  2. 주우석 외(2009). 2020 엔지니어교육 미래공학교육에 대한 비전. (주)시그마프레스, 39-42. 

  3. 조벽(2008). 미국의 공학교육, 서울대학교 미국학, 31(2): 141-161. 

  4. 김진수(2007). '공학교육연구' 논문들에 대한 연구방법론과 내용의 분석. 공학교육연구, 10(2): 19-43. 

  5. Wankat, P.(1999). An Analysis of the Articles in th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88(1): 37-42. 

  6. Wankat, P.(2004). Analysis of the First Ten Years of th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3(1): 13-21. 

  7. Whitin, K. and Sheppard, S.(2004). Taking Stock: An Analysis of the Publishing Record as Represented by th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3(1): 5-12. 

  8. Koro-Ljungberg, M. and Douglas, E.(2008). State of Qualitative Research in Engineering Education: Metaanalysis of Jee articles, 2005-2006.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7(2): 163-175. 

  9. Borrego, M., Douglas, E. and Amelink, C.(2009).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Research Methods in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8(1): 53-66. 

  10. CASEE, http://www.nae.edu/Activities/Projects/CASEE/ GeneralInformation/ResearchThrusts/Research Areas.aspx. 

  11. Purdue University, https://engineering.purdue.edu/ENE/ Research. 

  1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http://ocean.kisti.re.kr/IS_mvpopo00 1P.do?methodmultMain&poidkseedu&free. 

  13.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http://www.jee.org/pastissues. 

  14. The Steer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Colloquies(2006). The research agenda for the new discipline of engineering edcation (Special Report).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5(4): 259-261. 

  15. 김명랑, 윤우영, 이경훈(2004). 학습 성과(outcomes) 만족도 분석 -K대학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7(1): 74-78. 

  16. 한지영(2009) 공학교육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코스 임베디드 평가의 적용 가능성 고찰. 공학교육연구 12(3): 96-106. 

  17. 진성희 외(2011). 프로그램 교육목표 개선을 위한 수행문제분석 및 추진전략 수립. 공학교육연구 14(3): 45-54. 

  18. Marra, R., Palmer, B.. and Litzinger, T.(2000). The Effects of a First-Year Engineering Design Course on Student Intellectual Development as Measured by the Perry.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89(1): 39-45. 

  19. Sorby, S., Bartmans, B.(2000).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a Course for Enhancing the 3-D Spatial Visualization Skills of First Year Engineering Student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89(3): 301-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