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분자 분산제 주입을 통한 철산화물(Magnetite, Fe3O4) 입자의 분산 안정성 향상
Improvement in the Dispersion Stability of Iron Oxide (Magnetite, Fe3O4) Particles with Polymer Dispersant Inject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4 no.6, 2013년, pp.656 - 662  

송근동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문환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재료개발부) ,  이용택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맹완영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재료개발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자력발전소의 2차 계통수 중에 존재하는 철산화물(magnetite)은 열전달 튜브의 표면에 침착(fouling)되어 열전달 성능을 떨어뜨리거나 부식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원전 2차 계통수 중에 고분자 분산제(polymeric dispersant) 주입을 통해 철산화물의 분산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카르복실기(-COOH, carboxyl group)를 함유한 3종의 음 이온성 고분자(PAA, PMA, PAAMA)를 선정하였으며, 이들에 농도변화(1~1000 ppm)에 의한 마그네타이트 분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침강시험, 투과율 측정, 입도 측정, 제타전위 측정을 수행하였다. 고분자 분산제는 수용액 중 철산화물 분산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분산제가 주입되면 분산 안정성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분산제 농도 증가에 따라 마그네타이트의 분산 안정성이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임계 분산제 농도 이상에서는 철산화물 사이의 응집(agglomeration)이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분산안전성 향상 효과는 분산제-철산화물의 농도비(ppm, 분산제/마그네타이트)가 0.01~0.1 범위에서 현저하였다. 분산제 주입을 통한 철산화물 제거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적용 환경 특성, 철산화물 농도, 분산제 농도 및 철산화물-분산제 농도비의 최적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ron oxide ($Fe_3O_4$) particles in the coolant of the secondary system of a nuclear power plant reduce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r induce corrosion on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tube. To prevent these problems, we conducted a study to improve the dispersion stability of i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2차 계통수를 모사한 염기성 환경에서 마그네타이트의 분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3종의 음 이온성 고분자(PAA, PMA, PAAMA)를 선정하여 이들의 첨가 농도가 마그네타이트의 분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분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염기성 환경에서의 마그네타이트 침강 시험, 투과율 측정, 입도 분석, 제타전위 측정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고분자 3종을 선정하여 이들의 첨가가 마그네타이트 분산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후보 고분자 분산제로 polyacrylicacid (PAA, 분자량 : 100000, 9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기성 환경에서 마그네타이트 분산 향상을 위한 음 이온성 고분자는 어떠한 작용기를 함유하는가? 염기성 환경에서 마그네타이트 분산 향상을 위한 음 이온성 고분자는 대부분 작용기(functional group)로 산성기(acid group)가 함유되어 있으며, 카르복실기(-COOH, carboxyl group) 또는 술폰기(-SO3H, sulfonic group)를 함유하는 고분자들이 대표적인 음 이온성 고분자들이다. 고분자에 함유된 작용기에 따라 마그네타이트 분산에 다소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원전 불순물 규제 및 재질 부식에 대한 영향을 생각했을 때, 상대적으로 약산이며 원전에서 규제되는 불순물질이 없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고분자가 분산제로 적합하다[15].
수용액에 포함된 다른 이온들은 어떠한 층을 형성하는가? 그리고 수용액에 포함된 다른 이온들 또한 제타전위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전기적 이중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양이온 흡착은 제타전위를 양의 방향으로 상승시키며, 음이온 흡착은 음의 방향으로 상승시킨다[5-9].
분산제로 사용될 고분자를 선택할 떄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분산제로 사용될 고분자는 마그네타이트의 제타전위에 따라 수용액에서 해리되어지는 고분자의 음 이온성 또는 양 이온성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산성 환경에서 마그네타이트의 제타전위는 주로 양의 값을 형성하기 때문에 정전기적 효과 향상을 위해 양 이온성 고분자가 선택되어야 하며, 원자력 발전소 2차 계통과 같은 염기성 환경에서는 음의 값을 형성하기 때문에 음 이온성 고분자가 선택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 Fruzzetti, Reducing Deposits in Steam Generators, Nuclear Plant Journal, March, 42 (2009). 

  2. I. Piirma, Polymeric Surfactants, Marcel Dekker, New York (1992). 

  3. K. Fruzzetti, Dispersant Application for Mitigation of Steam Generator Fouling, Paper presented a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ater Chemistry of Nuclear Reactor System (2008). 

  4. K. Fruzzetti, Steam Generator Management Program : Generic Plant Qualification and Application Plan for Dispersant Use During Steam Generator Wet Layup, EPRI TR-1022826 (2011). 

  5. S. J. Jung, S. I. Lee, and H. M. Lim,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suspension and electrolyte on zeta potential, J. Kor. Ceram. Soc., 40, 293-300 (2003). 

  6. E. Tombacz, I. Y. Toth, D. Nesztor, E. Illes, A. Hajdu, M. Szekeres, and L. Vekas, Adsorption of organic acids on magnetite nanoparticles, pH-dependent colloidal stability and salt tolerance, Col. Surf. A, 435, 91-96 (2013). 

  7. E. Illes and E. Tombacz, The effect of humic acid adsorption on pH-dependent surface charging and aggregation of magnetite nanoparticles, J. Col. Interf. Sci., 295, 115-123 (2006). 

  8. A. Hajdu, E. Illes, E. Tombacz, and I. Borbath, Surface charging, polyanionic coating and colloid stability of magnetite nanoparticles, Colloids Surf. A, 347, 104-108 (2009). 

  9. A. Hajdu, M. Szekeres, I. Y. Toth, R. A. Bauer, J. Mihaly, I. Zupko, and E. Tombacz, Enhanced stability of polyacrylate-coated magnetite nanoparticles in biorelevant media, Col. Surf. B, 94, 242-249 (2012). 

  10. G. J. Bahun, C. Wang, and A. Adronov, Solubilizing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with pyrene-functionalized block copolymers, J. Polym. Sci. Part A : Polym. Chem., 44, 1941-1951 (2006). 

  11. R. Bandyopadhyaya, E. Nativ-Roth, O. Regev, and R. Yerushalmi- Rozen, Stabilization of Individual Carbon Nanotubes in Aqueous Solutions, Nano Lett., 2, 25-28 (2002). 

  12. V. C. Moore, M. S. Strano, E. H. Haroz, R. H. Hauge, and R. E. Smalley, Individually suspend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in various surfactants, Nano Lett., 3, 1379-1382 (2003). 

  13. M. F. Islam, E. Rojas, D. M. Bergey, A. T. Johnson, and A. G. Yodh, High Weight Fraction Surfactant Solubilization of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in Water, Nano Lett., 3, 269-273 (2003). 

  14. C. Richard, F. Balavoine, P. Schultz, T. W. Ebbesen, and C. Mioskowski, Supramolecular self-assembly of lipid derivatives on carbon nanotubes, Science, 300, 775-778 (2003). 

  15. K. Fruzzetti, The Use of Polymeric Dispersants in the Condensate/ Feedwater Line during Long-Path Recirculation Cleanup at Pressurized Water Reactors, EPRI TR-1019237 (2009). 

  16. 국윤환 외 3명, 콜로이드와 계면활성제, 77, 대광서림. 

  17. B. J. Lee, M. A. Schlautman, and E. Toorman, Michael Fettweis, Competition between kaolinite flocculation and stabilization in divalent cation solutions dosed with anionic polyacrylamides, Water Research, 46, 5696-5706 (2012). 

  18. G. J. McFann, K. P. Johnston, and S. M. Howdle, Solubilization in Nonionic Reverse Micelles in Carbon-Dioxide, Aiche Journal, 40, 543-555 (1994). 

  19. M. J. Rosen, Surfactants and interfacial phenomena,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7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