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분자 분산제를 이용한 Core-shell 수성 감압점착제
Waterborne Core-shel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Based on Polymeric Nano-dispersant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7 no.3, 2016년, pp.89 - 95  

이진경 (인하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진인주 (인하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연한 식품포장필름에 사용되고 있는 드라이 라미네이션용 유성접착제를 대체하기 위해, 고분자 분산제를 사용하여 유화하는 방법으로 수성 감압점착제를 친환경적으로 설계하였다. 유화중합에서 널리 사용하는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는 물성의 변수로 작용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용액중합으로 polymeric nano-dispersant (PND)를 제조하고, 이 PND 입자들의 분산제를 micelle seed로 이용하여 core-shell grafted acrylic 점착제를 합성하였다. 이때 입자의 바깥층(shell)과 입자내층(core)의 $T_g$를 달리하여 얇은 필름의 점착조건인 초기접착력과 유지력의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하였다. 최적화된 시험군 합성 점착제의 물성을 국내외 제조사에서 개발된 연구시료들과 비교분석하여, 점착제로서의 물성을 검토하였다. 물성 비교 결과, 본 연구에서 설계 합성한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를 대체 사용한 고분자 나노분산제 기반 core-shell 점착제가 연포장에 적합한 점착물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was designed in an attempt to replace the solvent-based adhesive for dry lamination used in flexible food packaging films. Instead of using a low molecular weight surfactant, which may have variable material properties, a hi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Alcohol is considered to be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an exis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the micelle seed polymer assumes the role of the emulsifier surfactant. Material properties such as adhesive characteristics, the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storage stability wer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designed in this study for flexible packaging was examined.
  • To assess the particle stability of PND as a function of pH and the degree of dispersion, zeta potential measurement was employed at pH values of 4, 7, and 9 after the purified PND was diluted to 30%. When BPO was used as the catalyst, the dispersion was stable at pH 4 with a zeta potential of -48.

이론/모형

  • The viscosity was measured at 25℃ and 20 rpm using Brookfield viscometer. The acid number measurement of PND was based on ASTM D3643-2010[2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D. G. Oh, K. H. Lee, W. T. Kim, B. H. Min, D. W. Chung, J. D. Lee, and J. H. Kim, J. Korean Ind. Eng. Chem., 19, 370 (2008). 

  2. J. C. Delacal and J. M. Asua, J. Polym. Sci., Part A : Polym. Chem., 39, 585 (2001). 

  3. I. Piirma, Emulsion Polymerization, Academic Press, New York, 221 (1982). 

  4. M. C Park and M. C Lee, Polymer(Korea), 27(6), 596 (2003). 

  5. C. M. Gilmore, G. W. Poehlein, and F. J. Schork, J. Appl. Polym. Sci., 48, 1449 (1993). 

  6. Yujinpolytech, Korea Patent 10-2004-0055247 (2004). 

  7. I. Piirma, Polymer Surfactant, Marcel Academic Press, New York (1982). 

  8. D. G. Oh and J. H. Kim, Clean Technology, 13, 208 (2007). 

  9. X. Wang, E. D Sudol, and M. S. El-Aasser, J. Polym. Sci. A: Polym. Chem., 39(18), 3093 (2001). 

  10. I. Piirma, Polymeric Surfactant, in Surfactant Science Series, ed. I. Piirma, 42, 1, Marcel Dekker, New York (1992). 

  11. K. C. Lee, M. A. Winnik, and T. C. Jao, J. Appl. Polym. Sci., 32, 2333 (1994). 

  12. O. Percan, M. A. Winnik, and M. D. Croucher, J. Polym. Sci., Polym. Lett. Ed., 21, 1011 (1983). 

  13. Z. Liu and B. W. Brooks, Polymer, 40, 2181 (1999). 

  14. A. Samakande, P. C. Hartmann, M. Cloete, and R. D. Sanderson, Polymer., 48, 1490 (2007). 

  15. J. Stejskal, M. Spirkova, A. Riede, M. Helmstedt, P. Mokreva, and J. Prokes., Polymer, 40, 2487 (1999). 

  16. D. G. Oh, K. H. Lee, W. T. Kim, B. H. Min, D. W. Chung, J. D. Lee, and J. H. Kim, J. Korean Ind. Eng. Chem., 19, 370 (2008). 

  17. M. C. Park and M. C. Lee, J. Korea Ind Eng. Chem., 15, 49 (2004). 

  18. J. Richard and J. Maquet, Polymer, 33, 4164 (1992). 

  19. Y. Rharbi, F. Boue, M. Joanicot, and B. Cabane, Macromolecules, 29, 4346 (1996). 

  20. C. S. Kan and J. H. Blackson, Macromolecules, 29, 6853 (1996). 

  21. J. R. Feng and M. A. Winnik, Macromolecules, 30, 4324 (1997). 

  22. Y. Reyes-Mercado, F. Vazquez, F. J. Rodriguez-Gomez, and Y. Duda, Colloid Polym. Sci., 286, 603 (2008). 

  23. Rohm & Hass company, Korea Patent 10-2004-0031735 (2004). 

  24. Rohm & Hass company, Korea Patent 10-2003-0096102 (2003). 

  25. Rohm & Hass company, Korea Patent 10-2003-0038535(2003). 

  26. Rohm & Hass company, Korea Patent 10-2003-0038551(2003). 

  27. ASTM D3643-2010, Standard test method for acid number of certain alkali-soluble resins. 

  28. T. Wang, E. Canetta, T. G. Weerakkody, and J. L. Keddie,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1(3), 63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