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WAT을 이용한 기후변화가 충주댐 및 조정지댐 저수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Storage Behavior of Chungju and the Regulation Dams Using SWAT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6 no.12, 2013년, pp.1235 - 1247  

정현교 (한강홍수통제소 하천정보센터)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하림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2750{\times}10^6m^3$) 및 조정지댐($30{\times}10^6m^3$)을 포함한 유역을 대상으로 미래 기후변화가 댐 저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활용하였다. 3지점의 9개년(2002~2010)동안의 자료를 이용하여 검보정을 실시한 결과 유출량에 대해서는 Nash-Sutcliffe 모델 효율(NSE)이 0.73으로, 두 댐의 저수위에 대해서는 0.86으로 나타났다.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자료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공하는 GCMs (General Circulation Models) 중 HadCM3 모델의 SRES(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s)에 의한 B1과 A2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미래 월별 기온과 강수자료는 과거 30개년(1977~2006, baseline period) 자료는 편의보정(bias-correction) 기법을 이용하여 오차보정 후, Change Factor (CF) method를 이용하여 상세화 하였다. 미래 연평균 기온은 2040s (2031~2050)에 $0.9^{\circ}C$, 2080s (2071~2099)에는 $4.0^{\circ}C$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연평균 강수량은 2040s에 9.6%, 2080s에 20.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대비 미래 증발산량은 15.3%까지 증가하고, 토양수분은 최대 2.8% 감소하였다. 과거 9개년 평균 댐 방류스케줄에 따른 미래 댐 연평균 유입량은 가을철을 제외한 대부분 기간에 최대 21.1%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래 가을철 댐 유입의 감소로 인해 현재 방류 패턴으로는 연말까지 결국 저수량을 회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풍수년과 갈수년에는 댐 저수량의 시간적 변동이 더욱 불안정해지므로 각각 저수량의 상향 및 하향 조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댐 방류 패턴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mate change impact on future storage behavior of Chungju dam($2,750{\times}10^6m^3$) and the regulation dam($30{\times}10^6m^3$) using SWAT(Soil Water Assessment Tool) model. Using 9 years data (2002~2010), the SWAT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WAT 모델 내의 댐(저수지) 모의 기능을 적극 활용하며, 기후변화 시나리오 영향 평가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을 포함한 충주조정지댐 상류유역(8245.6 km2)을 대상으로 HadCM3 SRES B1, A2 기후변화시나리오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댐유역 수문변동이 댐 저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특히 댐 유입량, 저수량 방류량 자료를 이용한 모형의 검보정 후, SWAT모형에서의 저수지 물수지 모의기능의 활용성을 평가하고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는 기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충주댐 및 조정지댐 유역(8245.6 km2)의 수문순환 변동 및 댐 저수량 거동 예측을 통해 댐 운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SWAT 모형댐 모의 모듈을 활용하여 모형을 검보정(2002~2010년)하였으며, HadCM3 모델의 B1과 A2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유출, 증발산, 토양수분 및 댐 유입량, 저수량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SWAT 모형에서의 방류량은 관측일유량, 관측월유량, 연 평균 방류율, 목표 방류량의 4가지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공사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물정보관 실시간 댐 수문자료를 이용하여 충주댐 및 충주조정지댐 일 방류량, 저수량 및 유입량 자료를 구축하였다. 연구 기간인 2002~2010년 이외 SWAT 모형의 Warm-up 기간인 1999~2001년까지의 자료도 추가로 구축하였으며, SWAT 모형의 저수지 모의 및 보정에는 저수량 자료가 사용되었다.
  • 6 km2)을 대상으로 HadCM3 SRES B1, A2 기후변화시나리오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댐유역 수문변동이 댐 저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특히 댐 유입량, 저수량 방류량 자료를 이용한 모형의 검보정 후, SWAT모형에서의 저수지 물수지 모의기능의 활용성을 평가하고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는 기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자원의 시·공간적인 불균형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나라는 연중 강수량이 홍수기(6월말~9월초)에 집중되고, 지역적 편차가 심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치수와 이수는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수자원의 시·공간적인 불균형을 보완해주기 위해 특히 댐을 이용하여 홍수기는 첨두유량을 조절하고, 잉여수자원을 저류하여 갈수기의 용수부족을 보완하고 있다(Chung et al.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이란?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은 물리적 기반의 준분포형 장기 강우-유출 모형으로서, 수문 부모형에서는 토양과 토지이용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수문 반응단위(Hydrologic Response Unit, HRU)로 SCS (Soil Conservation Service) 유출곡선법과 Green & Ampt 침투법을 이용하여 지표유출량을 산정하며, 측방유출량은 동역학적 저류모형(Kinematic Storage Model)을 이용한다. 침투는 토층을 최대 10개 층까지 세분화하여 선형저수량 추적기법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수자원의 시·공간적인 불균형을 보완하기 위해 어떤 것을 하고 있는가? 우리나라는 연중 강수량이 홍수기(6월말~9월초)에 집중되고, 지역적 편차가 심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치수와 이수는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수자원의 시·공간적인 불균형을 보완해주기 위해 특히 댐을 이용하여 홍수기는 첨두유량을 조절하고, 잉여수자원을 저류하여 갈수기의 용수부족을 보완하고 있다(Chung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lcamo, J., Doll, P., Kaspar, F., and Siebert, S. (1997). Global change and global scenarios ofwater use and availability: an application of WaterGAP 1.0. Report A9701, Center for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University of Kassel, Germany. 

  2. Chung, G.H., Ryu, G.H., and Kim, J.H. (2010). "Optimization of Multi-reservoir Operation considering Water Demand Uncertainty in the Han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0, No. 1, pp. 89-102. 

  3. Diaz-nieto, J., and Wilby, R.L. (2005). "A comparison of statistical downscaling and climate change factor methods impacts on low flows in the River Thames." Climatic Change, Vol. 69, pp. 245-268. 

  4. Kwadijk, J., and Rotmans, J. (1995).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discharge of the river. Rhine: a scenario study." Climate Change, Vol. 30, pp. 397-426. 

  5. Lee, Y.J., Park, M.J., Park, K,W., and Kim, S.J. (2008). "Analysis of Hydrologic Behavior Including Agricultural Reservoir Operation using SWAT Model."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KAGIS, Vol. 11, No. 1, pp. 20-30. 

  6. Lim, H.J., Kwon, H.J., Bae, D.H., and Kim, S.J. (2006). "Analysis of Hydrological Impact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CA-Markov Technique on Soyanggang-dam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9, No. 5, pp. 453-466. 

  7. Nash, J.E., and Sutcliffe, J.E.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 

  8. Park, G.A., Ahn, S.R., Lee, Y.J. Shin, H.J., Park, M.J., and Kim, S.J. (2009).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Inflow And Outflow Of Two Agricultural Reservoirs In Korea."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ASABE, Vol. 52, No. 6, pp. 1869-1883. 

  9. Park, G.A., Ahn, S.R., Park, M.J., and Kim, S.J. (2010). "Assessment of the Contribution of Weather, Vegetation and Land Use Change for Agricultural Reservoir and Stream Watershed using the SLURP model(II)-Calibration, Validation and Application of th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0, No. 2B, pp. 121-135. 

  10. Park, J.Y., Park, M.J., Ahn, S.R., and Kim, S.J. (2009). "Watershed Modeling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on Stream Water Quality of Chungju Dam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2, No. 10, pp. 877-889. 

  11. Park, M.J., Park, G.A., and Kim, S.J. (2007). "Analysis of Hydrologic Behavior of SLURP Model Including Agricultural Reservoir 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7, No. 5B, pp. 515-523. 

  12. Park, M.J., Shin, H.J., Park, G.A., and Kim, S.J. (2010). "Assessment of future hydrological behavior of Soyanggang Dam watershed using SWA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0, No. 4B, pp. 337-346. 

  13. Saxton, K.E., Rawls, W.J., Romberger, J.S., and Papendick, R.I. (1986). Estimating generalized soil-water characteristics from texture.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 50, No. 4, pp. 1031-1036. 

  14. Wilby, R.L., and Harris, I. (2006). "A framework for assessing uncertainties in climate change impacts: Low-flow scenarios for the River Tham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2, pp. 1-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