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중 애니메이션산업 교류를 위한 지원정책 비교
For exchange compared Korea-china-animation industry support policy - government support policies Focuse on since 2000 -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33, 2013년, pp.203 - 221  

김진영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한국ICC 중화권코디)

초록

21세기 영상산업이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부상하면서 영상산업의 대표적인 장르인 애니메이션도 정부가 주목하는 산업으로 발전하였다. 한국과 중국 또한 2000년대 이후 정부가 애니메이션 산업진흥정책을 실행해 애니메이션의 발전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고 있지는 않다. 한국은 시장의 한계로 인해 중국시장진출을 희망하고 있고, 중국 또한 한국의 영상시장이 활성화되어 있어 함께 성장하고 싶은 시장중의 하나이다. 이에 아직 정부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산업의 특성을 살펴보고, 서로 신뢰하고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양국정부의 정책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한국은 창작기획을 중심으로 하는 제작지원정책이 주를 이루었던 반면, 중국은 애니메이션 수요시장을 확보하고, 제작할 수 있는 공간을 설립하는 지원정책에 주력하였다. 10여년이 지난 지금 한국은 애니메이션 수요시장이 불안정하고 창작공간이 부족해 새로운 인재의 배출이 어려워지고 있는 반면, 중국은 애니메이션 수요시장을 확보하고, 창작공간을 전국 각 지역에 성립했지만, 소재와 캐릭터의 제한과 기획, 창작요소의 결핍으로 원하는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런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산업의 특징을 살려 합작이나 공동제작을 하고 시장을 공유할 경우 양국은 더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visual industry of the 21st century is becoming higher value-added industry, animat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genre of visual industry is also developed to the industry focused by government. Korea and China also pursue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as government executed animation indust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여년이 지난 지금 양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정부의 지원정책에 많은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기 때문에, 정책에 따라 애니메이션산업이 편중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 특징을 분석해 한-중 애니메이션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렇게 편중된 애니메이션 산업은 전반적인 지원정책이 시행됨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산업이 침체되는 현상의 원인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한국의 애니메이션산업 지원정책이 가장 주력하는 제작지원 사업과 중국에서 가장 주력하는 지원정책인 애니메이션 산업기지 정책을 살펴봄으로서, 한국과 중국의 편중된 애니메이션 산업의 특징을 알아보고, 한중 애니메이션 상호보완적 관계성립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가 있다. 이 논문은 양국 애니메이션 산업정책을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애니메이션 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하지만 2008년 이후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산업 지원 정책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아직 나오지 않고 있으며, 애니메이션 지원정책이 10여년이 지난 지금 한국과 중국의 진흥정책이 애니메이션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쳐서 양국의 애니메이션산업이 어떤 특성을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가설 설정

  • 3%로 규정하였다.1) 지상파TV에서 애니메이션 방송시간의 45%를 국산애니메이션이 방영된다는 건 상당한 혜택일 것이다. 하지만 국산애니메이션 방영 시간대가 정해진 것이 아니고, 또한 쿼터제의 분량만 정해 있을 뿐, 국산애니메이션을 방영하는 것에 대한 우대 혜택이 없어서, 방송쿼터제가 시행된 이후 국산애니메이션은 새벽이나, 늦은 밤, 또는 아이들이 시청할 수 없는, 황금시간대를 피해서 편성되는 정책의 비율만 채우는 폐단을 낳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 관련 지원정책은 어떻게 나누어 볼 수 있는가?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 관련 지원정책은 크게 방송지원 쿼터제와 제작지원, 그리고 창작공간 및 장비지원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세 부분의 지원정책은 애니메이션산업의 하드웨어적인 부분 즉, 애니메이션의 수요시장과 제작을 담당하는 상영시간 확보, 제작공간, 장비지원 등이 포함되어 있고, 애니메이션산업의 소프트웨어라 할 수 있는 제작지원 이렇게 3분야의 지원정책이 두루 포함되어 있어서 애니메이션 산업 전반을 지원하는 폭 넓은 지원정책이다.
한국에서 중국시장은 왜 이상적인 해외시장이라 평가 받는가? 한국의 입장에서도 중국시장은 지리적, 문화적으로 가까운 거대시장이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해외시장으로 평가받는다. 때문에 한국영상산업은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 많은 시도와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한국영상산업이 지금까지 중국시장에 진출하기 어려웠던 이유는? 때문에 한국영상산업은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 많은 시도와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시장은 정부의 보호정책과 까다로운 심사과정, 익숙하지 않은 시장체제로 인해 지금까지 몇 편의 영화를 제외하고는 진출자체가 어려웠다. 특히 애니메이션은 더욱 더 그 성공사례가 드물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한국콘텐츠진흥원, 애니메이션 지원정책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2010. 

  2. 한국콘텐츠진흥원, 애니메이션산업 주요이슈 및 성공사례 분석, 2011년 애니메이션 산업백서. 

  3. 허인욱, 한국애니메이션 영화사, (주)신한미디어, 2000. 

  4. 최돈일, "한국과 유럽의 애니메이션지원정책 비교분석 연구", 2008,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5. 김영재, "한국과 중국의 문화콘텐츠 산업정책 비교: 애니메이션 산업정책을 중심으로", 2008. 

  6. 최민규, "국내 장편애니메이션 제작지원 시스템의 한계분석 연구 -2000년대 제작지원을 통한 장편애니메이션 산업현황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트아트학회, 2013. 

  7. 탕뢰, 김일태,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과 정책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09. 

  8. ?慧, 索?斌, 中????影史, 中??影出版社, 2005. 

  9. 宋磊, 中?????配?政策?究-保??迷失, 中??媒大?出版社, 2009. 

  10. 耿?, "中??漫??集群?展?究", 武?大?, 博士?位?文, 2010. 

  11. 王?,"中??漫??政策探析", ?北大?, ?士?位?文, 2009. 

  12. 광전총국 http://www.sarft.gov.cn 

  13. 서울애니메이션센터 http://www.ani.seoul.kr/ 

  14. 한국만화영상진흥원 http://www.komacon.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