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rmented lotus extracts on the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Methods: Extracts of lotus leaf and lotus root were fermented using 4 different probiotics separately, including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 추출물이 당뇨 유발 동물 모델에서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감소시켜 항 혈당 및 항지질 효과를 발휘한다는 연구보고가 있었고9) 연근이 비알콜성지방간과 항비만작용에 효과적이라는 결과10) 및 연잎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 동물에 대하여 비만 증상과 고지혈증을 개선시킨다는 점과11) 혈당강하효과12), 항산화 및 뉴런세포 보호효과13) 등에 대해서도 각각 밝혀져 있다. 발효 한약의 항염14) 및 항비만15), 항당뇨16) 작용에 대한 효과가 지속적으로 보고됨으로써 최대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발효 기술이 한약에 구현되고 있는데17) 본 연구에서 또한 연근 및 연잎에 이를 적용하여 기존에 보고된 효과를 배가시키고 한약이 가지고 있는 중금속 문제, 소화 불내성의 문제, 흡수 저하에 따른 약효 저감의 문제18)에 대한 해소의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 . 본 실험에서 연잎-연근 혼합 발효물이 비만 억제 활성에 관여하는 biomarker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중성지방을 형성하는 효소들을 조절하는 전사 인자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잎 및 연근 성분이 발효된 상태에서 지방 분화 억제 효과를 나타낼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in vitro 실험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의 발효 과정에서 사용된 유산균은 Lactobacillus와 Bifidobacterium균이다.
  • 본 연구에서는 연잎-연근 혼합 발효물이 지방세포 분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서 연잎-연근 혼합 추출물을 4가지 주요 유산균으로 각각 발효시킨 후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활성과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와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 γ (PPARγ)의 유전자 발현 억제 작용을 관찰하였다.
  • 이들 유산균은 당류를 발효하여 유산을 생성하며 체내 유익균을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다25). 이들 자체만으로 체내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고 체내 콜레스테롤 흡수를 저해하는 효과 등의 다양한 생리조절 작용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들이 연잎 및 연근과 발효되었을 때 어떠한 부가적인 효과를 나타내는지 관찰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이란? 연(Nelumbo nucifera Gaertner, 連)은 한국 일본 등에 널리 분포하는 고생대의 식물로 수련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이다6). 꽃은 관상용과 차 재료로 이용해 왔으며 잎과 뿌리는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연의 꽃은 무엇으로 사용되어 왔는가? 연(Nelumbo nucifera Gaertner, 連)은 한국 일본 등에 널리 분포하는 고생대의 식물로 수련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이다6). 꽃은 관상용과 차 재료로 이용해 왔으며 잎과 뿌리는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연잎에 해당되는 하엽(Nelumbo nucifera leaves, 荷葉)은 더위를 내리고 습을 제거하며 지혈 효과가 있어 暑濕으로 인한 설사 및 부종, 출혈질환에 치료하는 데 사용되어 왔고7), 연근에 해당되는 우절(Nelumbinis rhizomatis nodus, 藕節)은 연꽃의 근경 마디를 잘라 씻은뒤 건조시킨 약재로 주름이 져 있고 짧은 원주상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횡단면이 7~9개의 둥근 구멍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약을 이용한 비만치료제는 무엇을 반영한 것인가? 비만을 동반하는 내과적인 질환을 연계해서 효율적으로 치료하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는 가운데 전통방식을 고수하여 한약을 이용한 비만치료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4,5). 이는 안전하면서도 근본적으로 대사개선에 접근할 수 있으면서 복용하기 편한 검증된 대체요법을 갈구하고 있는 현재 한약시장의 동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여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NHANES. Health behaviors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Cheongwon: KNHANES; 2010. Available from http://knhanes. cdc.go.kr/knhanes/index.do. 

  2. Lee HS, Anesthetic management of the bariatric surgery. J Korean Med Assoc. 2012 ; 55(10) : 996-1002. 

  3. DeFronzo RA, Ferrannini E. Obesity,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Care. 1991 ; 14(3) : 173-94. 

  4. Song MY, Bose S, Kim HJ. Effect of probiotics-fermented Samjunghwan on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 42(1) : 1-7. 

  5. Kang DH, Kim HS. Functionality analysis of korean medicine fermented by Lactobacillus strai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011 ; 39(3) : 259-65. 

  6. Kim SM, Yun HJ, Yi HS, Won CW, Kim JE, Park SD. Original articles: Nelumbo nucifera Leaves Inhibit HASMC proliferation and migration activated by TNF- $\alpha$ . The Society for Herbal. 2009 ; 24(4) : 77-86. 

  7. Kim CM, Shin MG, Lee KS, Ahn DG. Dictionary or oriental herbs. Seoul : Jeongdam. 1997 : 4623-5. 

  8. Professors of Dept. of Herbalogy in Oriental Medical School Nationwide. Herbalogy. Seoul : Younglimsa. 1995 : 434. 

  9. Sakuljaitrong S, Buddhakala N, Chomko S, Talubmook C. Effects of flower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on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 Engineering Research. 2013 ; 4(7) : 1441-6. 

  10. Tsuruta Y, Nagao K, Shirouchi B, Nomura S, Tsuge K, Koganemaru K, et al. Effects of lotus root (the edible rhizome of Nelumbo nucifera) on the deveolop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obese diabetic db/db mice.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2012 ; 76(3) : 462-6. 

  11. Du H, You JS, Zhao X, Park JY, Kim SH, Chang KJ. Antiobesity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lotus leaf hot water extract with taurine supplementation in rats fed a high fat diet. J Biomed Sci. 2010 ; 17(1) : S42-47. 

  12. Kim AR, Jeong SM, Kang MJ, Jang YH, Choi HN, Kim JI. Lotus leaf alleviates hyperglycemia and dyslipidemia in animal model of diabetes mellitus.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013 ; 7(3) : 166-71. 

  13. Jeong CH, Choi SG.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aqueous extracts from lotus leaf tea. Annual Report of Researches i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2012 ; 46(2) : 115-27. 

  14. Han K, Kim K, Wang J, Kim H. Effect of unfermented and fermented Atractylodes macrocephalae on gut permeability and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J Korean Med Obes Res. 2013; 13(1) : 24-32. 

  15. Kim DB, Chang SK, Cho CS, Kim CJ. The effect of zymolysis-dietotherapy with herbal formula on the obesity. Daejeon Univ Inst Korean Med. 2008 ; 17 : 75-82. 

  16. Ham SH, Lim BL, Yu JH, Ka SO, Park BH. Fermentation increases antidiabetic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8 ; 22 : 340-5. 

  17. Pahng SH. A literature study on fermented Korean medicinals used in dermatology. Korean J Orient Med. 2011 ; 17 ; 53-60. 

  18. Kim YM. A study on the trend of researches in fermented herb medicines. MS Thesis. Sungnam: Kyungwon University. 2009 : 1-10. 

  19. Wenigmann M. Phytotherapie. 1st ed. Munchen : Urban & Fischer. 1999 : 324-6. 

  20. Kim SB, Rho SB, Rhyu DY, Kim DW.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on hyperlipidemic and atherosclerotic bio F1B hamster. Korean Soc Pharmacogn. 2005 ; 36 : 229-34. 

  21. Kim KY, Song HJ. Herbal processology. Seoul : Shinil Press. 2002 : 547. 

  22. Lee SJ, Lee MJ, Jung JE, Kim HJ, Bose S. In vitro profiling of bacterial influence and herbal applications of lonicerae flos on the permeability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 41(7) : 881-7. 

  23. Cani PD, Bibiloni R, Knauf C, Waget A, Neyrinck AM, Delzenne NM, et al. Changes in gut microbiota control metabolic endotoxemia-induced inflammation in high-fat diet- induced obesity and diabetes in mice. Diabetes. 2008 ; 57(6) : 1470-81. 

  24. Park JH, Kim HJ, Lee MJ. The role of gut microbiota in obesity and utilization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J Soc Korean Med Obes Res. 2009 ; 9 : 1-14. 

  25. Jung HK. Selection criteria for probiotics and their industrial applications. Bioindustry News. 2001 ; 14 : 39-48. 

  26. Lee K, Paek K, Lee HY, Park JH, Lee Y. Antiobesity effect of trans-10, cis-12-conjugated linoleic acid-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PL62 on diet-induced obese mice. J Appl Microbiol. 2007 ; 103(4) : 1140-6. 

  27. Bukowska H, Pieczul-Mroz J, Jastrzebska M, Chelstowski K, Naruszewicz M. Decrease in fibrinogen and LDL-cholesterol levels upon supplementation of diet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in subjects with moderately elevated cholesterol. Atherosclerosis. 1997 ; 137 : 437-8. 

  28. Frayn KN, Karpe F, Fielding BA, Macdonald IA, Coppack SW. Integrative physiology of human adipose tissu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3 ; 27 : 875-88. 

  29. Freytag SO, Paielli DL, Gilbert JD. Ectopic expression of the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promotes the adipogenic program in a variety of mouse fibroblasticcells. Genes Dev. 1994 ; 8 : 1654-63. 

  30. Shoelson SE, Lee JS, Goldfine AB.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J Clin Investig. 2006 ; 116(7) : 1793-801. 

  31. Wu Z, Rosen ED, Brun R, Hauser S, Adelmant G, Troy AE, et al. Cross-regulation of C/EBP $\alpha$ and PPAR $\gamma$ controls the transcriptional pathway of adipogenesis and insulin sensitivity. Mol Cell. 1999 ; 3(2) : 151-8. 

  32. Rossen ED, Sarraf P, Troy AE, Bradwin G, Moore K, Milstone DS, et al. PPAR gamma is required for the differentiatio of adipose tissue in vivo and in vitro. Mol Cell. 1999 ; 4 : 611-7. 

  33. Lee KH, Jeong HS, Choi KY, Kim H, Lee DS, Kang GY, et al. Association study of the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 $\gamma$ 2 Pro12Ala polymorphism with diabetic nephropathy. Korean Diabetes J. 2008 ; 32 : 402-8. 

  34. Kondo S, Xiao JZ, Satoh T, Odamaki T, Takahashi S, Sugahara H, et al. Antiobesity effects of Bifidobacterium breve strain B-3 supplementation in a mouse model with high-fat diet-induced obesity.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2010 ; 74(8) : 1656-61. 

  35. Lee IA, Bae EA, Lee JH, Lee H, Ahn YT, Huh CS, et al. Bifidobacterium longum HY8004 attenuates TNBS-induced colitis by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in mice. Inflamm Res. 2010 ; 59(5) : 359-68. 

  36. Xu H, Barnes GT, Yang Q, Tan G, Yang D, Chou CJ, et al. Chronic inflammation in fa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obesity-related insulin resistance. J Clin Invest. 2003 ; 112(12) : 1821-30. 

  37. Hotamisligil GS, Shargill NS, Spiegelman BM. Adipose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direct role in obesity-linked insulin resistance. Science. 1993 ; 259 : 87-91. 

  38. Moller DE, Berger JP. Role of PPARs in the regulation of obesity-related insulin sensitivity and inflammation. Int J Obes. 2003 ; 27 : S17-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